채비...
1.(3칸대)...봉돌 4.3g 찌길이 45cm
2.(긴대.짧은대)...가리지않고 똑 같이 사용 하십시요.
3.(긴대)라고 해서...조금 무거운 (봉돌.긴찌)다르게 사용할 필요 없습니다.
4.(짧은대)라고 해서...조금 가벼운(봉돌.짧은찌)다르게 사용할 필요 없습니다.
5.(봉돌)의...(호수)도 몇가지
6.(찌)도...몇가지
7.(채비.소품)의...여러 가지로 다소 불편합니다.
8.(봉돌)은 몇그램 한 가지로...
9.(찌)도 몇cm 한 가지로 사용 하십시요.
10.(봉돌. 찌)...모두 한 가지로 사용 하십시요.
긴 대일수록 찌도 길게 사용하는 건 멀리 나가면 수심이 깊어진다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편의상의 선택입니다.
그러나 요즘은 칸수에 관계없이 통일하는 추세이죠.
그건 다대 편성이 보편화되면서 찌나 부력이 어느 정도 통일성이 있어야 감당이 된다는 측면도 큰 몫을 했을 겁니다.
장대용 찌에 관해서 말씀드리면 장대라도 수심은 포인트에 따라 달라지므로 찌의 길이는 무의미하고 그저 취향에 맞는 걸 쓰시면 되겠죠.
단 투척을 쉽게 하려고 고중량의 봉돌(고부력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봉돌이 너무 가벼우면 투척시 채비의 정렬이 흐트러지니까요.
4.3g이면 고중량은 아니지만 그리 무리없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단. 앞치기를 생각하신다면 순부력이 좋은 찌, 즉 찌의 자중 대비 부력이 높은 찌가 확실히 괜찮더라고요.
전 저수심용 찌 한 세트, 중~고수심용 한 세트를 따로 구비해 낚시대 케이스에 넣어다닙니다.
물론 한 세트의 찌는 모두 동일한 사양입니다.
많이들 쓰시는 방법이죠.
그리고 4.3g 이상 원봉돌은 찌올림을 못볼 것 같다는 말씀은 물가에선 안하시는 게 좋겠어요.
붕어가 들으면 엄청 화냅니다.
1.(3칸대)...봉돌 4.3g 찌길이 45cm
2.(긴대.짧은대)...가리지않고 똑 같이 사용 하십시요.
3.(긴대)라고 해서...조금 무거운 (봉돌.긴찌)다르게 사용할 필요 없습니다.
4.(짧은대)라고 해서...조금 가벼운(봉돌.짧은찌)다르게 사용할 필요 없습니다.
5.(봉돌)의...(호수)도 몇가지
6.(찌)도...몇가지
7.(채비.소품)의...여러 가지로 다소 불편합니다.
8.(봉돌)은 몇그램 한 가지로...
9.(찌)도 몇cm 한 가지로 사용 하십시요.
10.(봉돌. 찌)...모두 한 가지로 사용 하십시요.
찌제조사에서 출시할때 같은 찌라도 길이가 다르게 3~4종으로 구분해서 파는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하시면 됩니다.
원봉돌 그대로 쓰시고 더 무거운 봉돌도 기가막힌 찌올림을 보실수 있습니다.
이상~고수는 아닌 중수가 몇자 적어봅니다
그러나 요즘은 칸수에 관계없이 통일하는 추세이죠.
그건 다대 편성이 보편화되면서 찌나 부력이 어느 정도 통일성이 있어야 감당이 된다는 측면도 큰 몫을 했을 겁니다.
장대용 찌에 관해서 말씀드리면 장대라도 수심은 포인트에 따라 달라지므로 찌의 길이는 무의미하고 그저 취향에 맞는 걸 쓰시면 되겠죠.
단 투척을 쉽게 하려고 고중량의 봉돌(고부력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봉돌이 너무 가벼우면 투척시 채비의 정렬이 흐트러지니까요.
4.3g이면 고중량은 아니지만 그리 무리없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단. 앞치기를 생각하신다면 순부력이 좋은 찌, 즉 찌의 자중 대비 부력이 높은 찌가 확실히 괜찮더라고요.
전 저수심용 찌 한 세트, 중~고수심용 한 세트를 따로 구비해 낚시대 케이스에 넣어다닙니다.
물론 한 세트의 찌는 모두 동일한 사양입니다.
많이들 쓰시는 방법이죠.
그리고 4.3g 이상 원봉돌은 찌올림을 못볼 것 같다는 말씀은 물가에선 안하시는 게 좋겠어요.
붕어가 들으면 엄청 화냅니다.
편리성과 깔맞춤 이라고보여짐니다
아직은 저도 낚시대의길이에따라 찌를달리쓰는데
변화를줘봐야지 하면서도 잘안되네요
장대일수록 부력이많이나가는찌를사용하게되면 투척할때
편안한것은 사실인것같습니다
저는 긴대채비일수록 가볍게 운용합니다.
대의 탄성을 받아 잘 날라갑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