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세바입니다..
올해들어 이상하리만치 장찌에 꽂혀서.. 왠만한 길이의 찌는 눈에 잘 안들어오네요..ㅎㅎㅎ
가끔 손맛터나 붕어터 가면 미터급 장찌를 아주 천천히 결국 몸통까지 찍는 모습을 보게 될 때가 있는데요..
도대체 그 부력에.. 그 길이에.. 어떻게 몸통까지 찍게 하는건지.. 그 채비가 너무 궁금합니다..
혹시 장찌채비 어떻게 채비를 하는게 몸통까지의 찌오름에 적합한건지..
아시는 분 가르쳐주셨으면 합니다.. ^^
그럼 좋은 하루들 되셔요..
장찌 채비에 관한 질문 한가지.. ^^
-
- Hit : 1378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채비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날 붕어의 생각에 따라 틀려질 겁니다.
올리고 싶으면 끝까지 올리고, 싫으면 깔짝되고..
그래도 예민한 채비가 올림은 좋겠지요..
금색붕어님 말처림 예민한 좁쌀채비등이 유리하겠지만 상황에 따라 변화를 주는것이 중요합니다..
붕어의 활성도가 너무 좋은날은 오히려 좁쌀채비로는 중후하게 끝까지 올리는 찌올림을 보기는 힘듭니다..
보물섬은 수심이 3--3.5m가 나오기 때문에 장찌를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찌길이는 183cm. 찌몸통은 딱 계란만 하구요,봉돌무게는 8모메, 쉽게 이해 하시자면 민물 릴추로 생각하심 됩니다.
지렁이 미끼로 했는데 찌톱만 1m가 되는 이찌를 몸통까지 다 올려주었습니다.
찌맞춤은 캐미가 드러나는 정도의 가벼운 맞춤이었구요.
트로엘님의 말씀처럼 그날 붕어의 활성도가 찌올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을 하는건 틀림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예민한 채비를 하셨다면 충분하리라 봅니다.
아무리 맞춤을 잘해도 붕어가 바늘 뱉어 버리면 더더더 하다가 끝나버립니다.
붕어 활성도도 문제이구 붕어가 미끼를 끝까지 물고 늘어지게 떡밥도 맛나게 만드셔야 됩니다.
일부러 찌 올림 보기 위해 생미끼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고 늘어지라고 ~)
덩치가 큰놈들은 경계심이 많아서 중간에 뱉어 버리기 일수 이고 오히려 작은놈들이 막무가내로
밀어 올립니다.
동영상으로 자세히 설명이 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시구요!
원 부력 10호 정도 1m찌기준으로
3분할 로 감니다... 분할은 편남 홀더를 이용하셔도 되고 수중 붕돌 을 하셔도 됨니다....
분할 하는 배분은 맨위 상단 4호 정도 중간 3호 정도 맨 아래 본붕돌 3호 정도 에서 저는 맨 아래 본붕돌을 좁쌀채비로 감니니다...
좁쌀 크기는 2b나 b 호정도 목줄길이는 좁쌀 채운 목줄은 15cm에서 좁살 위치는 5cm 위치 좁쌀 안단 목줄은 10cm정도
약간 길게 가시는게 찌 올림에 좀더 유리 함니다....
분할 간격은 본붕돌 위로 40cm 정도 그 위로 50cm정도 이런 순으로 분할 간격을 둠니다...
위에 분 말씀처럼 저도 사계절 (용인) 가끔 가는 편인데 몸통을 찍을 때가 자주 있습니다... 숨넘어감니다...ㅎㅎ^^
찌맞춤은 전부 캐미 바늘 좁쌀 달고 캐미만 노출되게 맞춤니다....
횐님들 항상 안출하시고 어복충만하시길..
특히 부력체가 물속 깊이가 여타 찌보다 깊게 들어 앉기때문에 올라올때의 물위 무게에는 큰 영향을 안 받는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