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초보조사 공중정원입니다.
여러 선배조사님들의 조언을 듣고 오늘도 무작정 혼자서 배움의 낚시를 다녀왔습니다.
선배 조사님들의 조언 덕분에 찌의 안착과 맞춤을 저 나름대로는 정확하게 한 것 같았습니다.^^
오늘 궁금한점은 저는 왜 잉어만 잡힐까요?.... 낚시대를 넣고 집어를 할려고 마이웨이+어분을 썪었습니다.
처음부터 입질이 가히 폭팔적으로 오더라고요... 더운 땡볕에서도요.... 계곡형 저수지였습니다.
그런데 찌가 쑥올라와서 붕어라고 생각했는데 올라오는힘이 대단한걸 느끼고 보니 잉어였습니다.
붕어를 아직 한마리도 못잡아보고 잉어만 6마리째 잡고 있는 초보 조사한테 도움좀 주세요.^^:
그리고... 저가 유동채비를 사용하고 있는데 아래 위 찌멈춤고무를 찌가 안움직에게 찌고무 아래위로
딱맞게 조여 나야되나요?.... 오늘 저는 밑에 찌멈춤고무와 위의 찌멈춤고무를 멀리?? 떨어트려서
사용하였습니다. 이렇게 맞추면 안되는건가요?^^
선배 조사님들의 많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저는 왜 붕어는 못잡고 잉어만 나올까요?....
-
- Hit : 6894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0
해서 사용 하시고요
낚시하시는 곳이 잉어가 많은가봐요
어분이 안들어 간걸 사용해보시고 그래도 잉어만 문다면
거긴 잉어밖에 안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계곡지가 그럴수 있습니다
주변에 씨알은 작아도 마릿수가 좋은 곳 있으면(낚시점에서 떡밥 사시면서 여쭤 보세요...)
처음엔 그런 곳으로 다니시면서
낚시 요령을 익히 시면 금방 능숙해 지십니다 ㅎㅎ
찌멈춤 고무는 윗님 말씀처럼 하시구요
꼭 붕어 첫수 하시길 기원 합니다 ^^
그리고 잉어가 많이붙었다면 떡밥배합시 어분류가 많이 첨가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떡밥을 신장 + 곰표고운거 이렇게 두가지로 배합을 하셔서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신장거친거80% + 곰표고운떡밥20% 배합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첫번째는 어분 사용을 줄이구요.. 그래도 안되면 자리를 옮겨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유동채비 사용법은 월척지식에 검색하면 많은 정보가 있으니 검색해서 자기것으로 만드세요^^
찌맞춤을 더 예민하게 해 보시죠
미끼는 집어제 쓰지마시고 신장떡밥 단품으로 써보시면 어떨가 싶습니다.
유동구간의 조정은 사람마다 틀립니다. 대물낚시가 아니라면 순전히 개인의 취향이라고 생각됩니다. 떡밥낚시에서 유동구간을 크게 주면 투척하기 편하고 밤낚시하기 쉽죠(줄 잡기) 또한 찌가 잡아주니까 어느정도의 사선입수도 방지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단점은 찌의 입수 맛이 없습니다. 투척하면 질~질~질질 보기 싫죠
어분이랑 마이웨이말고 다른거 사용해보세요 아쿠아택종류로 배합
만약 곡물류를 많이써보면 다를겁니다
글루텐도 괜챦고요
찟어지는 낚시줄 소리와 진동~캬
본론으로 들어가서
현재 붕어잡이는 평지형추천드리며 멈춤고무의 간격은 저는 완전 예민할때는 멈춤고무 간격 (아래,위2cm) 을
충증 채비와 같이 하고 입질이 좋을때는 찌탑이 봉돌위에 위치하게 하여 투척이 용이하게 사용 합니다.
그리고 걸리는데로 다 낚아 버리세요. 그럼 붕어도 올라옵니다~ ㅋ
천하X쌍 단품도 붕어 입질 좋더라구요.
곡물류나 글루텐 종류의 떱밥으로 하심이 좋을것 같네요.....
하긴 옥수수 2개 껴놔도 잉어가 잘만 먹습니다....
떡밥 낚시시 참고가 됐음 합니다.
어분을 줄이세요
잉어 딥다 붙으면 붕어 손 맛 보기 어려워요....^^*
귀한 곳입니다.
윗 분들 말씀이 답으로는 충분합니다.
잘 응용하시면 되겠고요.
많이 아끼면서 찾으시면 좋겠습니다.^^
여러분들이 말씀해주셔도 궁금증이 안풀릴때가 있더라고요 ,
먼저 유동채비는 이렇게 생각하심 조금더 쉬울것 같습니다.
고정채비란 말그대로 찌고무가 고정되어있는 채비를 말합니다 .물속에 채비를 투척시 찌가 움직이질 않죠 .
하지만 유동채비는 위 찌멈춤 고무와 아래 찌멈춤 고무의 간격을 벌려 주므로써 찌가 위아래로 유동이 되게 됩니다.
찌멈춤고무 를 딱맞게 위아래로 조이면 안된다는 법은 없지만 이렇게 하면 고정채비와 다를게 없겠죠?그럼 유동채비의 의미가 없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위찌멈춤 고무의 위치는 수심의 측정이고 아래 찌멈춤 고무의 위치는 찌의 길이가 45cm라면 목줄을 다는 고리봉돌 윗고리에서 45.5cm정도는 떨어져야 합니다.
이유는 이렇게 채비를 해주셔야 찌가 고리봉돌과 바늘에 엉키는 일이 없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잉어가 많이 잡히신다면 어분계열대신 식물(곡물)성계열의떡밥을 한번 사용하여 보시고요~
잉어들이 어분을 더좋아하기
때문에 붕어보다 빨리 입질이 옵니다.
유동채비에 대해서는 모구님이 잘
설명을 하셨네요.
대명이 너무 잼납니다...ㅎㅎ
어분을 대폭 줄이시고 글루텐 쓰세요!
잉어로 손맛좀 보신후에 글루텐쓰세요
길게는 한시간정도까지 입질없을수도 있슴다
보통 30분정도 기다리시면....
이쁜붕어가 면담하러 오십니다 ㅎㅎ
그걸몰라 밤새도록(?) 잉어잡았던 기억이..... ㅋㅋ
아예 사용하지 마시고 글루텐만 사용하면 붕어 확율이 높습니다.
글루텐에도 잉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저는 어분은 잉어 잡이용이라 붕어 낙시에서 전혀 사용치 않습니다.
고기들이 들어오는 습성...
미끼랑은 상관없이 적는것임 오해는 마시길...
가물치 --> 잉어 --> 월척급붕어 --> 준척급 붕어 --> 잔챙이 --> 새우
등으로 고기가 들어오면 나가는 형식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가물치가 들어오면 잉어가 나가고 잉어가 들어오면 월척급붕어가 나가고 월척급 붕어가 들어오면
준척급 붕어가 나가고 준척급 붕어가 들어오면 잔챙이 붕어가 나가고 잔챙이 붕어가 들어오면
새우가 나갑니다... 낚시는 기다림의 연속이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