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전통바닥낚시 모노줄 사용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한창 낚시에 재미를 붙이고 있는 초보입니다 방금 낚시관련 자료 공부하다가 전통 바닥낚시에서는 물에뜨는 모노줄을 안쓰고 물에 가라 앉는 카본줄을 써야한다고 봤습니다 저는 여태까지 모노줄을 써와서 물에 떠있게 사용을 해왔는데 혼란이 오더군요 카본줄을 사용해서 줄이 가라 앉게 되면 그만큼 무게가 더나가니 찌맞춤 할때 그부분 까지 고려를 해야하는건가요? 그리고 왜 가라앉는 카본줄을 써야 하는건가요? 특별한 이유가 있는건가요? 그리고 또한가지 궁금한건 제가 손맛터에서 떡밥을달고 가라앉게 한뒤 찌올림을 보며 낚시를 하는데요 이게 전통바닥낚시인가요? 혹시 전통바닥낚시와 그냥바닥낚시가 다른건가요? 왜 전통이라고 부르는거죠? ㅎㅎ 답변 부탁드립니다

원봉돌 채비를 전통바닥이라고 하는것아닐까요등등 다른 봉돌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뭐그런거겟죠 요즘은 여러기법들이많으니 ..
일반 노지에선 찌맞춤이 그리 예민하지 않기에 모노 보다
평균적으로 카본줄을 더 많이 씁니다
손맛터 양어장등 예민성을 중요시하는 모노줄이
유리하구요 취향따라 선택하시고.....
전통바닥은 지금의 여러가지 채비가 나오기전 처음의
원봉돌 채비를 기준으로 말합니다
바닥낚시는 분할봉돌외 여러채비가 있어 그리 부릅니다
모노사와 카본사....개인의 취향 아닐까요?
모노사의 경우 물위에 떠있는것 때문에 바람이나 대류에 잘흘러내려가지요..그래서 일부러 초릿대를 강제로 물속에 집어 넣어 줄을 가라앉치기도 합니다..
다대편성시 줄이 다 떠있다면 아무래도 흘러가는것도 문제이고 챔질후 요리조리 째는 붕어로 인해 줄이 엉킬수도 잇겟지요?
보통 카본사가 스크레치에 강하고 물에 가라앉아 찌맞춤에 영향을 준다지만 노지에서는 그차이가 큰영향을 주지 않지만
양어장의 경우 예민한 입질때문에 찌맞춤에 영향을 적게주는 모노사를 주로 이용하는것 같습니다.

낚시에 정답은 없습니다.. 모노사든 카본사든 자신에게 맞는것을 쓰시면 될듯 하고
전통바닥낚시는 보통 원봉돌로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는상태의 낚시를 말합니다. 그걸한맥락으로 스위벨이니 분할채비니 파생이 된것이구요.
모노나 카본코팅줄이나 상관은 없으나,
아무런 악조건이 없다는 가정하에는 모노줄이 편하지만,
강계 댐 대류 바람 등등의 악조건 하에서는 영향을 적게 받는 카본코팅줄이 다용도로 대응할수가 있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안전한 곳 즉, 유료터나 수초구멍치기라면 ᆢ
자연의 영향이 적으므로 모노가 적당하지만
그외에 다양한 곳에서는 카본사가 유리합니다

전통바닥과 바닥낚시의 구분은 의미를 두기가 좀 모호한 부분이 많습니다
굳이 분류를 하자면,
올림과 내림낚시의 구분이 분명할 듯 하네요
시작은 원봉돌이었으나,
선친 때 부터 그러니깐 대나무낚시대에 갈대를 불에 그을려서 찌를 사용하던 시절 이전 부터
분할봉돌을 사용하였었는데
최근에 들어서 수 많은 변형채비가 나와서
찌맛이나 손맛 위주 보다는
고기를 잡는 것에 목적을 두다가 보니 헤아릴 수 조차 없을 만큼의 채비 종류가 나오고 또 더 나오리라 봅니다
전통바닥낚시의 개념을 나름대로 생각해 보면
찌올림맛에 챔질의 임팩트 순간의 손맛이 더해지는 채라라고 여겨집니다
원봉돌 형태의 떡밥낚시를 의미하는.것 같은데요
모노줄이든 카본줄이든 아무상관 없습니다.

다만 원봉돌의 경우 줄의 비중이 거의 없다보니
잘 가라 앉지 않고 바람이나 부유믈에 의해 흐르는 경향이 있고

카본줄의 경우 찌맞춤에 줄 무게를 계산해야하고
특히 장대이거나 굵은 줄일 경우 이런 점에 유의하몈 됩니다.
원래 민물낚시에 쓰이는 원줄은 모노라인이 맞습니다. 카본라인은 바다낚시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됐다고 들었습니다.
전통 올림낚시에서 모노줄을 사용하면 안된다는 근거와 논리는 없습니다~
단지 운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없다의 차이로 개인에게 맞는 라인을 선택하게 됩니다~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면 모노줄이 좋겠지만 짜증이 유발된다면 카본줄을 사용하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ㅎ
카본줄 사용하다가 모노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솔직히 라인 선택은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진다고 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카본줄의 장점보다 모노줄의 장점이 많다고 생각하여
모노줄을 쓰고 있는 경우입니다..
어떤분은 카본줄의 장점을 더 좋아하여 카본줄을 쓰시는분들도 있구요 ㅎㅎ
두가지 줄을 다 써보시고 편하시거나 조과에 좋은 줄을 사용하시는게 도움되실겁니다 ㅎㅎ
바닥 낚시면 바닥 낚시지, 전통 바닥 낚시는 또 뭐며...아마도 새로 나온 기법이 여럿 있다 보니까 그렇게 부르는 것 같구요...
웃기는 건 소위 전통 바닥 낚시를 했다고 하는 당시에는 카본줄이 없었거덩요 ^^ 명주실로 했지요 아마...
글루텐을 사용하면서부터
저부력찌를 선호 합니다.

글루텐이 보편화 되기전에는
신장,콩가루,어분을 제법 크게달아 쓰곤해서
저부력 보다는 고부력 큰 찌를 사용해서
카본사를 잘 써왔습니다.

입질이 예민해지면서 바늘만 감추듯
글루텐을 달아 투척하면 저부력찌는 물속으로 서서히 잠수~~~

저부력찌 사용시 카본사줄의 영향을 무시못합니다
입수 후 서서히 서서히 찌가 잠기며, 앞으로 다가오는현상.

지금은 모노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엔 카본이고 모노고 이딴거 모르고
낚시방에가서 아저씨 낚싯줄하나주세요
라고하면 먼지도 모르고 주는대로 써도 곧잘잡곤했는데
요즘은 참 어렵죠잉~
반드시 그런것은 없습니다.
이상한 글이네요.
몇가지 써보고 자신한테 맞는거 쓰면 됩니다.
모노줄단점
1.물에떠서 바람에밀리고 부유물에 잘밀려서 귀찬다
2.대물낚시때 줄이떠서 낚시대 줄끼리 잘엉킨다
고로 가라안는 카본줄이 노지 대물낚시에서는 유리하다
모노줄만 사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습니다..개인 취향이죠..같이다니는 친구는 모노에서 카본으로 왔다 갔다 하더군요..자기만의 채비 구성하면 아주편하게 할수 있습니다.
전통 바닥 낚시라면 오히려 모노줄이 아닐까요?

물론 전통바닥 낚시가 어느 시대부터를 말하는가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모노줄 나오기전 부터라면, 명주실이겠지요.

카본도 섞이지 않은 카본줄(카본줄에 카본 안들어 있는 것은 아시겠지요)이 나오기 전에는 모노줄만 존재하였으므로

소위 말하시는 전통 바닥낚시라면 모노줄이 맞습니다.,... ^^

만약 줄을 갈아 앉히고 싶다면, 방법은 맞습니다... ^^

상식적인 생각과 방법으로 갈아 앉히면 됩니다.
모노는 가볍고 카본은무겁죠 손맛터엔 모노가유리하고 자연지는 카본이유리하죠 개인취향이겠죠
카본은 줄의 무게도 있으므로 고부력찌를 사용하면 줄의무게상관없이 찌가 잘올라옵니다. 그리고 다대편성시 줄이 물밑으로 잠겨있어 혹 랜딩시 옆대의 낚시줄에 엉킴을 줄여줍니다.또한 자연지에서는 바람이나 부유물로 인해 줄이 쓸려간다던가 하는것을 줄여주죠.
저부력찌를 사용하거나 예민한 채비시라면 모노줄사용하시길.
전통낚시기법이라고 하기보단 옛낚시기법이라고 하면 좋을듯.
전통바닥낚시라고 하는것은 우리나라의 낚시형태는 봉돌을 바닥에 닿게하여 찌올림을 보는 올림낚시밖에 없어

내림,중층 등 낚시기법이 도입되면서 내림,중층등 낚시기법과 구분하고 우리고유의 낚시기법임을 나타내기 위해

전통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모노줄은 당연이 사용가능하고 카본줄이 대중화되기 전에는 전부 모노줄을 사용했습니다.

카본줄을 사용하는 것은 줄의 강도가 모노보다 월등히 강하여 후킹된 고기에 의한 줄끊어짐이 모노보다 덜 하기에 사용하는 겁니다.

그래서 대물낚시의 경우는 거의 카본줄을 사용하지요.

그렇지만 찌맞춤 측면에서 보았을때는 오히려 모노줄이 유리한 측면도 있는 것은 카본줄은 무거워서 침력으로 작용하기에

수조통에서 한 찌맞춤은 반드시 현장 찌맞춤을 해야할 정도로 많은 차이가 있으나 모노줄은 가벼워 침력으로 작용하는 것이

덜해 수조통맞춤과 그리 많은 차이가 없다는 겁니다.

물론 모노줄이던 카본줄이던 현장찌맞춤을 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장찌맞춤에 있어서는 모노줄이 유리한건 사실입니다.

그리고 내림은 바늘(미끼)가 바닥에 닿아있고 봉돌이 떠있는 형태의 낚시기법으로 입질형태는 찌가 빨려들어가는 입질과 올림입질이 같이

나타나나 빠는 입질형태가 월등하며

중층낚시는 바늘과 봉돌이 모두 바닥에서 떠있는 상태로 찌가 빨려들어가는 입질이 대부분입니다.

글로 쓸려니 표현이 잘 되었나 모르겠습니다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노지 물길세고 물 휘도는곳 카본 ,수초 카본, 정체된곳 대류정도만 하는 저수지면 모노도 괜찮습니다...^^

예전엔 모노만 썼지만 지금의 노지환경에 따르다보니 카본으로 가더군요...유료터는 모노가 더 장점이 될수도 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