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전통바닥낚시를 뜬봉돌로채비로 변경

저수지  노지낚시를합니다

원봉돌 이나  스위벨   바닥낚시를 하는

초보낚시꾼입니다

에어봉돌을 알게되어 예민한채비를

도전해볼까합니다

찌맞춤을 평상시 바늘빼고

케미꽂이하단맟춤을

하고   1목정도 내놓고 낚시합니다

 

질문1

평상시 똑같이 낚시하다가

에어봉돌의무게를 조금 감하면

찌는 그대로 1목을 유지하면서

봉돌은  바닥에서 감한만큼

봉돌이 뜬봉돌로되어  예민한입질이

되는건가요?

 

질문2

목줄의 길이는 10~13cm사용중인데

봉돌을 띄울경우 목줄의  길이가 

얼마정도가 적당할까요?

(주로글루텐으로 낚시합니다)


1.바닥낚시 기본은 동일합니다 에어봉돌 무게줄이면 찌는 더 올라오겠죠. 예로 줄여서 2마리 올라오면 그걸 1마디 내놓고 쓴다는것은 채비가 뜬다는거죠. 기존보다 가벼운 찌맞춤이죠
2.목줄길이는 그대로 가도 무방하고 띄우면 그게 얼래채비랑 동일할꺼같네요.
에어봉돌은 감으면 부력이 약해집니다. 풀어야 본글에 날려주신 의도대로 뜬봉돌채비로 전롼이 되는 것입니다

비싼 에어봉돌보다는 첫 찌맞춤을 뜬봉돌 찌맞춤으로 하시고, 바닥채비로 전환할때 핀도래 또는 핀도래에 구리선, 쇠링, 편동 등으로 무게추를 만들어 뜬봉돌채비에서 무게추를 추가하여 바닥채비로 전환하는 방법을 권합니다

목줄의 길이는 외줄에 20~23정도로 하시면 될것같습니다.

목줄이 바닥에서 수평으로 펼쳐진 형태가 아닌 봉돌쪽이 들린 휘어진 형태로 만들기 위함이므로 목줄이 짧으면 붕어가 꼬리치면서 바늘 부근을 지나가도 움찔거리는 예신이 자주 나타납니다. 그런한 초율트라 집중상태는 내림낚시에서나 필요하므로 조금은 느긋허게 낚시를 즐기기 위하여 목줄을 조금은 길게 하여 붕어가 먹이를 입에 담고 자세를 바꿀때에 찌에 표현되는 찌놀림에 챔질을 허시면 됨니다.

아시는 것이겠지만, 바늘을 작은 것이 유리하며, 큰바늘은 토종터에서 잡어의 입질을 거르기 위한 먹니를 크게 하여 먹지를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가급젓 작은 바늘니 유리합니다.
질문1
평상시 똑같이 낚시하다가 에어봉돌의 무게를 조금 감하면 찌는 그대로 1목을 유지하면서 봉돌은 바닥에서 감한만큼 봉돌이 뜬봉돌로되어 예민한입질이 되는건가요?

네. 예민한 입질이 됩니다.
다만, 찌를 1목 상태에서 봉돌의 무게를 감하면 봉돌이 바닥에서 뜬 만큼 찌가 1목 기준에서 더 올라옵니다.
즉, 기본 1목상태가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라면 1목 + 2목이면 2목의 길이만큼 바닥에서 봉돌이 떠 있다는 겁니다.

질문2
목줄의 길이는 10~13cm사용중인데 봉돌을 띄울경우 목줄의 길이가 얼마정도가 적당할까요? (주로글루텐으로 낚시합니다)

봉돌을 바닥에서 띄운다는 것은 내림낚시를 의미하며,
이 경우, 목줄을 보통 30cm정도 또는 더 이상 늘리기도 합니다.
봉돌이 떠 있으면 예민성은 높아지지만, 단점으로 물이 유속이 있거나 대류가 있으면 흐르며,
붕어가 주위를 지날경우에도 찌에 표현이 되어 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그래서, 내림낚시는 1대를 주로 사용하고, 올림낚시는 5대 이상해도 무난한 이유입니다. 서로 장단점이 있는 거지요.
채비에 대한 의심이 생기면 스트레스 장난 아닙니다.
에어봉돌을 감거나 푸시고 물속에 들가서 보세요~
원봉돌 풍덩채비로 가시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에어봉돌 수조에서 가감 범위를 확인하시면 현장에서 바닥채비 얼레 자유롭게 변형 가능합니다..

조금 피곤한 낚시가 댈수도 잇고 채비 손실에 부담도 잇으니 잘 판단하셔서 하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