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없이 봉돌만달고
주간케미만 아주살짝 나오게 또는 케미가 물과수평? 케미가 수면위로 나올듯 말듯
요렇게 하구 외바늘 옥수수달고
캐미고무 끝부분이나 한목정도 내놓구합니다
올해 6번정도 출조해서 입질한번 못받아봐서 뭔가 잘못된건가 싶기두하고
제대루 된건가요?
주위에 낚시하는 사람이 없어서 혼자
인터넷으로 배울려니 빡세네요
아 그리고 대물 무거운찌맞춤은 케미가 안뜨고 살살 가라읹게 만드는게 무거운 맞춤 맞나요?
제 찌맞춤은 어떤종류 인가요?
-
- Hit : 4133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9
가벼운 바닥낚시 채비인듯합니다.봉돌이 가로로 완전히 누워있지앉고 비스듬하게 서거나 세로로 있는 상태입니다.
정상적으로 바닥을 찍을 시에 1목이상은 맞추고 낚시하셔야하며 미끼를 띄울수도 있고 괜찮은 채비 입니다.
살살 가라앉게 맞추는 것은 전형적인 대물낚시 찌맞춤이고요 안출하십시요~
일반 수평채비와 크게 상관이 없는 찌맞춤이므로 입질을 못 받은 이유는 현장여건이 안 맞아서지 채비에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다만, 내림채비 보다는 현저하게 무거운 채비인지라 약은 입질이거나 약한 입질엔 입질을 읽을 수 없었을 확률이 높을 듯합니다.
출조지를 산란이 끝나 회복기를 벗어난 평지형 저수지나 수로권을 찾으시던지, 아니면 이제 산란을 위해 상류로 올라붙은 준계곡형 저수지나 소형 계곡지 최상류 수초권을 정확하게 겨냥하셔야 할 듯합니다.
애매하게 중류권 맨바닥이나 수초 없는 상류를 노리시면 입질을 못 받을 확률이 많을 것 같습니다.
세로로 서네요 ㅎㅎ 쪄끔 더 무겁게 해야겠네요
가벼운건 왠지 봉돌이 떠있을거 같아서리;;
원줄만 카본주로 바꾸면 자동으로 무거운 찌맞춤 되는게 맞나요?
카본줄이 무거워서 가라앉는다던데..
님의찌마춤으로 입질 받는데 문제 없습니다
찌마춤에 신경 쓰시는 만큼 현장 상황을 정확히 읽어 내는
것이 조과에 더 많은 도움이됩니다
봉돌을 그냥 물속에 던지면 당연히 옆으로 눕겠지만 우리가 낚시할때 봉돌은 부력을 가진 찌와 원줄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에지간히 무거운 찌맞춤을 해도 세로로 서있게 됩니다.
단. 수심보다 찌를 많이 올려 수면에 찌가 서지 못하고 눕게되는 경우에는 찌의 부력이 상실되고 봉돌의 침력만 작용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봉돌이 옆으로 눕게됩니다만 찌를 눕혀놓고 낚시할일은 거의 없으니 논외가 되겠습니다.
낚시를 배우시는 중이라시니 잘못된 정보에 이론정립이 어려우실까싶어 몇자 적었습니다.
요즘은 가변운추세로 일반 수평맞춤으로 하시는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조금 더 정밀하게 가실려면, 200kg드럼통에 물을 받아놓으시고 하루이틀 기포가 빠진뒤 낚시대에 채비를 다하고
찌맞춤을 하십니다. 캐미첫마디가 반목정도 나오게 정밀하게 맞추시고 낚시터 가셔서 그냥 수심찍고 하시면 됩니다.
조건이 있는데, 찌맞춤시 바늘은 달지않고, 하시고, 원줄은 카본줄이 아닌 모노줄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노지에서 쓰시기엔 무리가 없는 찌맞춤입니다
그러나................양어장에서 쓰시는분들은 최곱니다 ㅡㅡ; 캐미끼구 캐미절반나오게 깍고 하시는분도 계시고...
캐미 완전노출하시는분도 계십니다
암튼 지금 찌맞춤으로 한 목 내놓고 하시면 큰 입질받는데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월래월척님 글 읽으시고 이해 하시면
더이상 찌맞춤 고민 안해도 됩니다. 끝.
단 찌맞춤시 찌의 부력으로 케미가 수면에 닿은 것인지 아니면 케미의 부력으로 케미가 수면에 닿은 것인지 확인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봉돌이 무거워서 찌가 가라 앉을 무게라 해도 케미의 부력이 찌를 띄웁니다.
케미를 끼우고 찌맞춤시 가급적이면 케미방울을 수면 바깥으로 다 나오게 하시기 바랍니다.
그렇게 맞춰도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
아니면 찌의 부력인지 케미의 부력인지 모를 착오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봉돌은 수조에서는 세로로 세워지는게 맞습니다...
한마디 올리고 정상적인 수심을 찍은 다음 10cm띄우고 싶다면 11cm정도 올리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