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미만 나오고도 스위벨이 바닥에 닿았다면 약간 무거운 맞춤인것같네요.저도 약간 무거운 스위벨채비를 씁니다. 수조맞춤시 케미 전부노출로 맞추고난후 본봉돌에 편납을 추가해서 찌가 거의 바닥까지 가라앉게 만들고나서 스위벨을 들어올려도 제1목줄은 휘어지지않고 찌탑이 전부 올라옵니다. 그걸 알고나서 전 예민한 찌맞춤에서 약간 무거운 맞춤으로 바꿨습니다. 내려가는 입질과 헛챔질이 많아서요. 지금은 내려가는 입질은 없어졌습니다. 스위벨이 완전히 바닥에 닿았다는 증거겠지요? 예민서에서는 약간 떨어질진 몰라도 안정적으로 낚시할수 있습니다. 전에는 머리에 쥐가 날정도... ㅎ
목줄휘지않고 올라오는건 정상적인 상태이나 그것만 가지고는 무거운 채비인지는 명확히 알수는 없습니다
무겁냐 안무겁냐의 기준이 본봉돌인지 스위벨인지 알수 없기 때문인데요
일단은 본봉돌은 무겁지 않은상태로 보이고 스위벨은 가볍지 않은상태로 보이네요 ㅎ 말이 어렵죠 ㅋ
스위벨 채비의 가장 이상적인 밸런스는 사용하시는 찌마다 달라 수치로 정확히 표현하긴 어렵습니다만..
기본적으로 본봉돌로 찌 몸통을 세워놓고 스위벨의 무게만으로 찌탑의 전체입수가 가능해야 하는 무게입니다
일단 스위벨 4호라 하시면.. 어느정도 부력이 있는 찌라 생각됩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스위벨의 호수가 쓸데없이 큰 상황인걸로 보입니다
쉽게말해 본봉돌을 먼저달고 찌의 몸통을 세우고 찌탑의 입수가 시작되기 바로전까지로 본 봉돌의 무게를 마추고
찌탑의 완전입수가 가능한 스위벨의 호수를 여러번 체크를 통해 정하신다음(아주 약간은 무겁게) 다시금 본봉돌의 무게를 줄여 전체적인 원하는 만큼의 찌맞춤을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되면 찌에 맞는 최소한의 스위벨 무게를 가지고 낚시를 하게 됩니다
가령 3푼의 저부력찌와 10푼의 고부력찌라면 스위벨의 무게는 당연히 달라지겠지요(단지 푼수로 정해지는게 아닌 찌탑의 완전입수가 가능한 무게)
또한 같은 푼수의 찌라도 형태,길이,순부력등의 차이로 스위벨의 무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역시 찌탑의 완전입수가 관건)
캐미의 얼마노출이든.. 한목노출이든.. 이부분은 위의 밸런스를 맞추고 나서 생각해볼 문제라 여겨집니다
최소무게의 스위벨을 운용하시고자 한다면 본봉돌을 먼저달고 투척하여 찌를 세우고 찌탑의 입수가 시작되기 바로전까지의 무게로 본봉돌의 무게를 정하시고 찌탑의 입수를 위한 적당한 스위벨의 무게를 정하신다면 됩니다만..
경험상 스위벨의 무게가 적다고 좋다고 할 수는 없겠네요
일반적으로 약간 무겁게 맞추라는 부분은 제 생각엔 본봉돌 무게가 아닌 스위벨의 무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원봉돌도 들어올리는데 좁쌀정도야 문제될게 없습니다.
딱 굶어죽기 좋겠네요...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이지 마세요~~~
좁쌀봉돌보다 더 판하게 쓰라고 스위벨이 나온것이니 스위벨사용하는건 당연하고요
케미만 나와있다고 하셨는데.. 잘못하다간 스위벨이 바닥에서 뜨는현상이 생길수 있답니다
찌맞춤 하실때 바늘안달고 던져 캐미는 물론 찌탑 1마디(2~3cm)정도 나오게끔 해주시고
바늘달고 낚시하실때는 찌맞춤한것보다 찌가 더나오게 2~3마디 정도 나오게끔 위치조정해서 낚시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찌맞춤과 동일한 찌탑을 내놓고 낚시하게되면 태반은 스위벨이 안착 안되지 싶습니다 (사선입수)
스위벨 4호면 0.6g입니다. 물속에서는 더 가벼울 것입니다.
이정도도 붕어가 부담스럽다면 붕어가 아니므니다. 잡어가 아니므니다. 물고기가 아니므니다.
무겁냐 안무겁냐의 기준이 본봉돌인지 스위벨인지 알수 없기 때문인데요
일단은 본봉돌은 무겁지 않은상태로 보이고 스위벨은 가볍지 않은상태로 보이네요 ㅎ 말이 어렵죠 ㅋ
스위벨 채비의 가장 이상적인 밸런스는 사용하시는 찌마다 달라 수치로 정확히 표현하긴 어렵습니다만..
기본적으로 본봉돌로 찌 몸통을 세워놓고 스위벨의 무게만으로 찌탑의 전체입수가 가능해야 하는 무게입니다
일단 스위벨 4호라 하시면.. 어느정도 부력이 있는 찌라 생각됩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스위벨의 호수가 쓸데없이 큰 상황인걸로 보입니다
쉽게말해 본봉돌을 먼저달고 찌의 몸통을 세우고 찌탑의 입수가 시작되기 바로전까지로 본 봉돌의 무게를 마추고
찌탑의 완전입수가 가능한 스위벨의 호수를 여러번 체크를 통해 정하신다음(아주 약간은 무겁게) 다시금 본봉돌의 무게를 줄여 전체적인 원하는 만큼의 찌맞춤을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되면 찌에 맞는 최소한의 스위벨 무게를 가지고 낚시를 하게 됩니다
가령 3푼의 저부력찌와 10푼의 고부력찌라면 스위벨의 무게는 당연히 달라지겠지요(단지 푼수로 정해지는게 아닌 찌탑의 완전입수가 가능한 무게)
또한 같은 푼수의 찌라도 형태,길이,순부력등의 차이로 스위벨의 무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역시 찌탑의 완전입수가 관건)
캐미의 얼마노출이든.. 한목노출이든.. 이부분은 위의 밸런스를 맞추고 나서 생각해볼 문제라 여겨집니다
최소무게의 스위벨을 운용하시고자 한다면 본봉돌을 먼저달고 투척하여 찌를 세우고 찌탑의 입수가 시작되기 바로전까지의 무게로 본봉돌의 무게를 정하시고 찌탑의 입수를 위한 적당한 스위벨의 무게를 정하신다면 됩니다만..
경험상 스위벨의 무게가 적다고 좋다고 할 수는 없겠네요
일반적으로 약간 무겁게 맞추라는 부분은 제 생각엔 본봉돌 무게가 아닌 스위벨의 무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래야 스위벨의 안착이 확실하고 본봉돌이 무겁다면 본봉돌과 스위벨사이의 목줄의 휨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겠네요
쓰다보니 길어졌습니다만 이것저것 해보시면서 공부하시는것도 낚시의 재미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
윗 댓글에도 적었었지만 찌의 제원을 어느정도 일러주셔야 정확한 답변이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