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좁살채비

처음으로 시도하는 좁살채비입니다 선배님들에 많은 고견 부탁드립니다 처음부터 아예모든채비한 상태로 찌탑1눈큼상태까지 찌맞춤을 했습니다 1눈큼이 보이게요 좁살대신 스몰사이즈의 삼각도래를 사용했구요 이는 여러모로 편할겄같아서죠 현장가선 2눈큼정도를 내놓고 수심마춰서 떡밥을달아 하려는데 틀린점이있나해서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찌 맞춤은 어떻게 맞추던 가장 중요한 것은 바늘이 바닦에 닿아야 한다는 것인거 아시죠?

좁살 채비라 하더라도 수심 체크한 높이 만큼 찌 맞추고 떡밥달고 던져도 찌 높이가 큰 변화가 없다면 됩니다.

떡밥이 풀리면서 찌톱 한마디 정도 올라와 멈추어 있다면 조금 무겁게 하시거나 찌톱을 한마디 반 정도 더 올려서

낚시를 하셔야 하는데 밤 낚시에서 조금 마이너스 요인이 된답니다...그래도 사용하시는 분이 편하시다면 그냥 사용하세요.
좁쌀 봉돌 채비는 본 봉돌은 물속에 띄워져 있고, 좁쌀 봉돌만 바닥에 닿는 형태입니다.
그러므로, 어느정도 찌를 올린다 해도 본 봉돌은 떠 있습니다.
본 봉돌이 바닥에 닿게 할려면, 좁쌀봉돌을 제거하고 던져서 찌가 수면위에 올라와 있는 높이 이상으로 올리면
됩니다.
삼산님의 말씀대로 찌 맞춤을 하셨다면 분명 좁쌀봉돌은 바닥에 닿아 있고, 바늘까지의 목줄은 바닥에 누워 있을것입니다.
항상 행복한 물가 나들이 되십시요.
삼산 사내님 안녕하세요.

먼저 서기왕자님께서 좋은 말씀해주셨네요^^

님께서 하신찌맞춤법은 찌톱한마디에 맞추셨다면 우선 너무 가벼운 찌맞춤이라 할수있습니다.

님께서는 떡밥을 달아투척하는 그무게을 가만해서 그런 찌맞춤을 하신것 같은데 그럴필요는 없다

생각듭니다.그렇게 찌맞춤을 하시면 콩알 떡밥낚시를 하시면 바늘이 다닥에서 닿거나 바늘이뜨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좁살봉돌채비는 좁살이 바닥에 닿는 것을 말합니다..

이해가 어려우시면 군계일학이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좁살봉돌 채비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어복축만 하시길...
1목에 맞추시고 2목을 내놓으시면 백발백중 좁쌀은 안착이 되질 않습니다
일학레져의 동영상 강의를 보시면서 배워보세요
그다음 하나씩 자신만의 노하우를 쌓는것이 바람직 해봅니다
그리고 1목을 내놓고 맞추시면 적어도 4목이상 내놓아야 좁쌀이 바닥에 안착되어 올림낚시가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림낚시처럼 찌가 빨리는 입질형태가 나타나게 됩니다
좁쌀채비의 주의할점을 몇가지 적어봅니다
첫째 현장에서 포인트의 수심에서 찌맞춤을 해야 합니다 일단 수심부터 파악후 찌맞춤을 하셔야 합니다
수심에 따라 찌맞춤의 차이가 크니 소홀히 생각하면 안됩니다 케미 2/1이면 노지에선 적당합니다
똑같은 부력으로 찌맞춤을 했을경우 저수심의 경우는 케미 2/1까지 노출되지만 깊은 수심에서는 아마도
전부노출내지 케미고무까지도 노출되는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러니까 현장마다 찌맞춤을 꼭 확인해보세요
둘째로 바늘입니다 보통 6호바늘이상이라면 찌맞춤에 영향을 주리라 봅니다
작은바늘에서 2/1로 맞췄다면 바늘이 7호를 넘어선다면 케미의 반이하로 찌맞춤을 해야합니다
경험상으로는 2중입수가 되는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투척을하게되면 일단 찌가 서서히 가라앉다가 2목내지 3목에서 멈춤니다
그리고 나서 바늘과 좁쌀의 목줄길이만큼 재입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1목정도 남고 입수가 멈추게 됩니다
이정도로 맞추시려면 상당히 정밀한 좁쌀채비라 생각됩니다
만약아직 좁쌀채비가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다음방법을 해보십시요
바늘이 6호이하면 바늘달고 하시고 7호까지도 무방합니다, 8호이상이라면 과감히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수심체크를 합니다 방법은 찌의 부력보다 조금나가는 봉돌을 다시고 투척합니다
찌의 반정도가 나오는 목수가 수심입니다 이상태에서 찌의 길이보다 4, 50센치 내려서 찌맞춤을 합니다
주간케미가 반정도 나올때까지 봉돌을 감합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모든 채비를 갖추고 하는 방법입니다
바늘을 안다셨더라도 봉돌과 좁쌀은 달려 있어야 합니다 저는 큰바늘의 경우 본봉돌에 목줄을 10센치 정도
매고 좁쌀을 물린후 찌맞춤이 끝난후 바늘이 달린 채비연결후 맞춤시 썼던 좁쌀을 옮겨 다는 방법을 씁니다
그리고 바늘을 안달고 찌맞춤을 헀을경우는 2/1보다는 조금더 케미가 노출시킵니다 하지만 낚시대가 어느정도
길어지면 2/1이니 3/1이니 하는것은 무의미합니다 노지라면 케미가 어느정도(반쯤) 나왔다 생각되시면 지장은 없습니다
그런다음 1목정도 나오게 찌를 올려서 낚시를 하심 됩니다
그리고 님께서 말씀하시는 1목맞춤은 하우스에서 쓰는 정밀찌맞춤에서 나온둣합니다 노지에서는 힘듭니다 노지에서 4목이상
내놓고 낚시하신다는건 상당히 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더욱이 밤낚시라면 더욱 그렇구요 하시다보면 조금씩 노하우가 생길겁니다
어디까지나 제사견이오니 참고만하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