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채비를 하였더니 찌가 정점에 섰을때 챔질을 하여도
헛 챔질이 발생됩니다. 이유를 설명 부탇드립니다.
1.채비
-막대찌: 찌톱길이가 30cm
-본봉돌과 좁쌀 거리는 30cm
-원출 : 2호 모노
-찌 맞춤
1)캐미+찌+본봉돌 : 찌몸통 나오도록 봉돌을 깎고
2)좁쌀 물려서 캐미 하단에 서서히 수면이 일치하도록 추가로 봉돌 깎음
3)바늘달고 1~2마디 나온 상태에서 낚시
2.입질시 2단 찌올림 되며 찌가 정점에 섰을 경우 대략 3~4초 후 챔질하면 입걸림 되나,
바로 챔질하면 헛 챔질이 됨. 본봉돌과 좁쌀의 목줄 길이가 7~8cm인 경우보다 헛챔질이
너무 많이 발생됩니다.
헛챔질의 이유와 방지법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좁쌀 챔질 타이밍
-
- Hit : 497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8
전 댐낚시에서 그래됐었고요..
저 같은경우엔 너무 가벼운 맞춤이었습니다.
님께서는 목줄길이를 보아 양어장이나 손맛터이신거같습니다.
양어장이나 손맛터인경우 또 다른경우의 수가있을수있으니..
시기적으로 아주 예민한계절은 아니오니.. 목줄길이나조절이나, 살짝 무겁해 찌맞춤을 해보심이..
참고로 목줄길이가 길면 길수록, 후킹확률은 올라가나, 가짜입질을 보실확률이높습니다.
자세한건 고수님들께 패스^^
- 처음 찌올림은 찌가 3~4 마디 올라와도 예신으로 보고 기다립니다.
- 찌가 일단 멈춘 후 다시 올라오면 챔질, 성공
- 찌가 원위치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 올 때 1차 입질보다 더 높이 올라온 시점에 챔질, 성공
그러나 저수지 마다 다른 형태를 보일 수 있어 현장에서 여러가지로 Test 를 하고 챔질 성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가져가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찌톱길이가 30에 목줄이 30이면.. 여기에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
낚시하신 장소가 양방<양어장> 노지 이건 본봉돌과 좀쌀<스위벨> 길이가 20센티를 넘지 않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군계일학 싸이트를 참조 하시는것도 좋으나 어디까지나 현장상황이나 본인이 읽어내는 찌의 움직임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제 생각에는 본봉돌과 아래봉돌 20센티를 넘지 않으면 아래봉돌에 바늘을 묶으실 경우 목줄이라 칭하고 목줄의 길이가
바늘 귀 를 기분으로 4센티를 넘지 안게 사용하여 보니 입질이 좋았습니다.
정리 하면 이렇습니다.
원줄은 가급적 비중이 가벼운 모노계열이나 세미플로팅 타입의 합사줄을 사용 합니다. 뒷줄의 침력을 고려해서입니다.
본본돌에서 스위벨 좁쌀까지는 20센티를넘지않게 합니다. 스위벨에서 바늘까지의 목줄은 전체길이 4센티미터를 넘지않는것이
좋은 입질을 보았습니다. 찌맛춤이 굳이 좁쌀을 달지 않고 찌탑을 수면위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하실 필요 없고 스위벨까지 전부
채비를 하신후에 < 바늘은 채비하지않고 합니다 > 캐미 전부 노출이나 저수온기 캐미꼿이 전부노출을 합니다.
그러한 후에 현장에서 적당히 가감이나 쇠링을 더하신 후에 낚시 하시면 됩니다.
글로써 표현하기 글제주가 없어 죄송 합니다.
전화 한번 주시면 답변 드리겟습니다.
기온차가 심합니다 건강 유념 하시고 안출 하세요.
몸통까지 올려주는데도 후킹이 안된다면, 바늘크기를 조금 올려서 해주면 후킹 잘될듯하네요.
바늘 모양상태도 잘보시고요~
감사드립니다.
2. 붕어 바늘 6호 사용중인데, 바늘 크기도 바꾸어 가면서 계속 연구 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