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많이 나지 않는 관계로 주로 짬낚시를 다니다 보니 빠르게 입질을 보기위해 옥내림을 하다가 찌올림 을보고싶어 좁쌀봉돌 채비로 떡밥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찌를 몸통까지 올려서 챔질해도 헛챔질이 많이 일어 납니다 이유가 뭘까요 경험하신분들 답 기다립니다 모두 좋은하루 되세요
손맛터에서 하시는것 이라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저도 예전 스위벨채비를 하다가 다시 이봉채비를 하는대요... 이문제가 스위벨이나 이봉이나 로케트올림 과 몸통까지 찌올림에서
헛챔질이 많이 나오더만요.
이봉이 약간이나마 잡힙니다. 스위벨은 80%정도 헛챔질이 나더군요.
가장중요한것이있는대 자신이 찌의 어느목에 기준을 두었는지 입니다.
저같은경우는 2목에 두는대요 2목중 고기가 먹이를 먹고 있는중에 1목이 들어가 있는경우 로케트입질이 나옵니다;;
이런경우는 떡밥을 먹다가 놓아버린경우이기에 봉돌이 튀어서 찌가 빠르게 올라가는것이죠.(잉어기준)
이경우에 또 찌가 내려 가는경우도 있는대요. 떡밥이 바닥이 아닌 중층정도에 떠있는경우라고 할수있습니다.
떡붕어 짜장붕어 기타고기 들이 서로 먹겠다고 물어 늘어지죠....
손맛터 같은경우에 사람이 없을경우의 예를 들어 보았습니다.
카본줄이라면 나일론줄로 교체하셔야 합니다
근본적으로 2개의 봉돌은 입질을 왜곡하여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좁쌀봉돌과 본봉돌의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헛챔질의 원인이 됩니다
본봉돌과 좁쌀봉돌의 간격은 10cm를 넘기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너무 가겹고 작은 좁쌀이라면 채비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안착도 안될뿐더러
외곡된 입질형태를 보입니다 좁쌀의 홋수를 크게 가심이 좋을듯싶습니다
너무나 막연한 질문이라 정확한 답을 하기가 어려우나
우선 일반적인 관점에선 윗분의 말씀에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저는 군계일학 성재현 사장님이 주창하는 좁딸봉돌 채비를
좋아하지도 그렇다고 경원시 하지도 않습니다만
성사장님 본인도 본봉돌과 좁쌀봉돌 간격을 낚시터 성격에 따라 10~30CM 사이에서
다양하게 조정하며 원줄의 종류 또한 카본줄과 모노줄을 상황에 따라 바꾸어 사용합니다
구지 궁금하시면 군계일학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동영상 보심이
그나마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군계일학빠는 절대 아니나 장사 홍보적인 면만 뺀다면
대체로 성사장님이 낚시에 대해 올바른 강의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헛챔질 대책은
1.찌맞춤을 조금 무겁게한다
2.바늘 크기를 한두 호수 올린다
3.목줄길이를 조금 길게한다
4.챔질 타이밍을 찌가 올라오자마자 빨리 가져간다(특히 작은바늘,가벼운찌맞춤, 짧은 목줄을 쓸때 더욱 효과를 봄)
찌는 붕어가 흡입했던 바늘을 내뱃더라도
한번 깨진 무중력 상태가 관성의 작용으로 어느정도는
계속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늦은 챔질은 멌있는 찌올림을 주는 대신 그만큼 헛챔질의
빈도가 높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이런상황이라면좁살이 바닥에 안착이 안되고 수중에 좁살이 뜬상태라 불안전한 입질을 가져올수있습니다.
수면에 한두마디 내놓으시고 낚시를 하셔야 좁살이 바닥에 안전하게 닿아 정확한 어신을 읽어낼수 있습니다 ..
요즘 쓰는 스웨벨채비나 다른 좁살채비는 크게 찌맞춤이 달라지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쌍바늘 쓰다가 외바늘로 쓰고 싶으실땐 그냥 찌맞춤그대로 해놓으시고 바늘하나짜르시고 쓰셔도 무방하다고 생각됩니다.^^
좁살채비 장점은 예민성이긴 하나 너무 예민하게 신경써서 낚시를 하시면 역효과가 나옵니다.^^
낚시가 피곤하거나..채비의 의심이 가기 시작되죠^^ 예민함은 준수하데. 너무예민성만 신경쓰지 않으셧음 좋겠네요 ^^
윗분들말씀처럼 여러가지 이유가 존재하구 찌 맞춤시 좁쌀봉돌이 바닥에 눌린상태 다시말해서 윗봉돌이 목줄을 눌러
목줄이 휘어진 상태에서도 헛챔질이 빈번하게 나옵니다. 좁쌀봉돌채비에서는요 ㅋ
장점도 많은채비기도 하지만 그만큼 신경도 많이 써야하는 채비이기두 하구요^^
빠르게 올렸다가 빠르게 떨어져 내리는 입질이라면 거의 잔챙이거나 잡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도 예전 스위벨채비를 하다가 다시 이봉채비를 하는대요... 이문제가 스위벨이나 이봉이나 로케트올림 과 몸통까지 찌올림에서
헛챔질이 많이 나오더만요.
이봉이 약간이나마 잡힙니다. 스위벨은 80%정도 헛챔질이 나더군요.
가장중요한것이있는대 자신이 찌의 어느목에 기준을 두었는지 입니다.
저같은경우는 2목에 두는대요 2목중 고기가 먹이를 먹고 있는중에 1목이 들어가 있는경우 로케트입질이 나옵니다;;
이런경우는 떡밥을 먹다가 놓아버린경우이기에 봉돌이 튀어서 찌가 빠르게 올라가는것이죠.(잉어기준)
이경우에 또 찌가 내려 가는경우도 있는대요. 떡밥이 바닥이 아닌 중층정도에 떠있는경우라고 할수있습니다.
떡붕어 짜장붕어 기타고기 들이 서로 먹겠다고 물어 늘어지죠....
손맛터 같은경우에 사람이 없을경우의 예를 들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