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좁쌀봉돌채비 챔질타이밍 등에 대한 진단

일반봉돌채비만 하다가 이번에 채비변형을 시도해보고 있습니다. 이곳저곳 기웃거리며 자료도 구하고 질문도 해보고...드디어 채비구성해서 필드 실 테스트 들어가 봤는데요. 채비구성은 멈춤고무(2)-나루예유동플러스B-멈춤고무(2)-멈춤고무-편납홀더-멈춤고무 (2)-쿠션고무V형-핀도래-롤링스위벨-바늘채비(분납금추로 좁쌀봉돌양바늘채비, 일학스위벨과 유사한 형태)로 하였구요. 찌맞춤은 현장에서 채비던질 포인트에서 찌톱 반이 나오게 수심체크한 후 찌를 40~50센티 내리고 다시 던져 케미가 수면에 반쯤 나오게(바늘달고 미끼는 안달고) 편납 잘라내며 부력과 침력조절완료 찌 케미포함 5~7센티 수면 위 내놓고 실전 돌입. 찌는 나루예 명학 기장550mm 부력 7호봉돌이하. 좁쌀봉돌은 성동분납금추5호로 무게 약0.65그램정도 되려나요? 원줄 후로로카본1.5호 목줄 케브라합사1.0호 바늘 붕어바늘6호. 좁쌀 물린데에서 바늘귀까지 4센티. 목줄길이는 16~20센티 정도. 장소는 양어장 수심3.5m 어종은 토종붕어 주종. 미끼는 집어용으로 어분+보리, 먹이용으로 딸기글루텐. 기대만땅으로 미끼달고 채비투척했더랬지요. 몇 차례의 미끼투척 후 이내 찌에 반응이 오더군요. 그런데요. 쪽 하고 빠는 입질도 잦고 올리는 입질도 다소 속도가 빠른 느낌이랄까요. 챔질타이밍 잘 잡았다라고 생각하며 시도한 챔질에 후킹 성공한 비율은 30~40프로정도 .빠는 입질은 무시했구요. 올리는 입질에 대체로 두 목 정도 올라가는 도중 챔질 시도했네요. 좁쌀은 분명히 바닥에 닿은 것 같았구요. 양바늘을 합하여 미끼를 단 경우에는 찌올림도 좀더 깨끗하고 후킹율도 좋았네요. 제 양 옆에 계신 분들 곁눈질로 채비 살펴보니 사용소품이 달랐을 뿐 기본적으로 분할봉돌채비였구요. 상대적으로는 제 입질빈도수나 후킹율이 나쁘지는 않았지만 상대적인 경우를 떠나 위에 나열한 조건 하에서 1.적절한 챔질타이밍은 언제인지? 2.좁쌀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3.후킹확도를 올리려면 뭘 어떻게 바꿔보면 좋아질런지? 고수님들의 진단과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추가) 반스윙투척후 낚시대를 당겨 찌가 제자리를 잡으면 낚시대 거치

저라면 양어장 낚시이므로 무바늘로 케미한마디 나오게 찌맞춤을 하고 본봉돌이 4호이하시면 성동분납금추를 한단계 아래 4호로 사용하고 원줄은 카본줄이 아닌 모노줄 1.5호로 교체하시고 낚시하신다면 현재보다 찌올림이 좀더 좋아지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미사일까지는 아니더라도 빠르게 쭈욱~ 올리는입질은 내벼려 둘수도없지만 쳄질해도 후킹확율이 낮습니다. 우물쭈물 하면서 올리는 입질은 거의 100후킹 되지요. 찌가 올라온다고 붕어가 미끼를 먹은거라고 단정할순 없습니다 붕어의 몸짓과 물살에도 쉽게 떻오릅니다.. 환경과 여건이 어떤지 몰라 단정할순 없지만 깔끔한 찌올림은 찌맞춤이나 체비 변화보다는 떡밥의 물성과 풀림 크기,바늘의 크기와 목줄의 적절한 길이와 부드러움 정도의 변화로 찾아내시는게 어떨까합니다. 빠는입질중 느리게 반마디정도 쑤~욱 들어가는건 정상입니다만 빠르게 쭉~ 빨린다면 찌맞춤이 정상적으로되고 찌톱을 올렸다 해도 바늘목줄로 인하여 좁쌀이 떻있을가능성이 큽니다.
채비가 조금 가벼운 상태로 보입니다. 좁쌀이 바닥에 불안정하게 안착이 된것 같습니다.

찌맞춤시 바늘없이 무바늘 찌맞춤으로 하시고 두목정도 내어놓으시던지

현재 찌맞춤 그대로 쇠링을 추가하시거나 편납을 조금만 더 감으시면 빠는입질이 줄것 같습니다.

좁쌀채비는 아무리 찌맞춤을 정교하게 했다고 하더라도 실제 낚시시 빠는입질이 나오던지

방정맞은 입질이 나온다고 느껴지면 사선입수와 좁쌀봉돌의 불안정한 안착을 생각해 보시고

사선입수를 줄이는 노력과 좁쌀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쇠링들을 가감해 가시면서 낚시를 하시면

적절한 챔질 타이밍을 잡을수 있는 타점을 찾으실수 있을실거에요~
아 죄송합니다. 제가 다른 대 채비와 헛갈렸네요. 찌는 자수 기장390mm 부력4호
봉돌이하가 아닌 명학 기장550mm 부력7호 봉돌이하입니다. 어락님 도울말씀 주셨는데 죄송스럽습니다. 본문 수정하겠습니다.
총알입질은 좁쌀봉돌의 무게를 높여보세요
미끼달아서 던져놓고 의자 등받이에 기대고 편안히 있다가 입질인가 싶어서 일어나다보면 총알처럼 쓔욱올라왔다가
낙시대를 잡기도전에 원래대로 돌아가버린경우가 만아서 아랫봉돌의 무게를 조금더 높이니 그나마 조금 나아지더군요
그래서 지금은 아랫봉돌의 크기를 1.5그람짜리로 쓰거나 그보다 더큰거로 씁니다

2번질문의 답은 같은위치에 케스팅한다는조건으로
2-3그람정도되는 봉돌을 준비해서 이봉돌을 위에 본봉돌에 채워보고 아래봉돌에 채워도보고하면
찌탑의 변화가 어느부분에서 보일겁니다
본봉돌에 채웠을때 찌탑이 내려가면 일단은 정상,아무런변화가 업다면 본봉돌까지도 가라앉은 무거운마춤
아래봉돌에 채웠을때 찌탑이 내려가면 아랫봉돌이 떠있는 가벼운마춤,아무런변화가업다면 정상
실뽀님 말씀과 제 생각이 같습니다

지금과 같이 고수온기엔 마이너스 찌맞춤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가져다 줍니다.

미사일처럼 쭉~~ 올리는 입질이나 빨리는 입질은 분명 마이너스로 찌맞춤이 되어서 입니다..
(봉돌이 바닥에 떠있다는...)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무게를 더하시면 됩니다.. 시중에 있는 오링이라던지 깨추등으로 하시면 되겠고요.

이것보다는 찌맞춤을 정확하게 하시는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되어 집니다.

지금같은 시기에는 분할채비보다는 좋은 방법같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원봉돌이 좋은 방법이며

저부력 찌(분할채비 포함)보다는 다소 무게가 나가는 고부력찌를 쓰시는것이 좋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