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통에서 목줄이 휜다는 말씀이신가요?
분할채비는 몸통따기라는것을 해줍니다.
맨 아래 분할을 때고 본봉돌만 달았을때 찌톱과 몸통이 닿는 부분까지
수면위로 나오게 맞추는것이 몸통따기 입니다.
그 상태에서 찌톱을 가라앉히는 분할(좁쌀이나 스위벨)을 달아줍니다.
그렇게 맞추어야 좁쌀(스위벨)만 올렸을때에 찌톱이 정상적으로 올라오는
입질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방랑자채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지극히 정상적인 올림입질을 노리신다면 가지바늘과 미끼의 무게까지 감안해서
몸통따기를 하셔야 합니다만, 방랑자채비에선 일반적으로
슬로프진 가지바늘의 위력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맞추지 않고
그냥 내림입질이나 끌림입질로 만족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방랑자채비에서 군살을 뺀다면 그냥 아래 좁쌀 밑 바늘은 떼버리고
몸통따기를 무시하면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인 슬로프채비가 된다고 생각하며,
실제로도 굳이 밑밥효과를 노리는 경우를 재외하고는 그렇게 사용 합니다.
목줄이 휜다는거 굉장히 위험 합니다.
본봉돌과 좁쌀과의 무게 비율이 맞지 않다는 것이며
자칮 잘못하다간 좁쌀봉돌만 들리고 본봉돌은 움직이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럼 찌올림도 없을수 있겠죠?
찌맞춤은 윗분처럼 하심 되겠네요.
본봉돌로 찌톱 다 나오게 맞추고 좁쌀 물어주면 거의 맞습니다.
스위벨채비를 애용합니다...
본봉돌은 떠있고 스위벨(or 좁살봉돌)이 바닥에 닿게 됩니다...
찌맞춤은 영점맞춤에서 부터 수평맞춤까지 합니다...
수조에서 채비 다 연결해서 작동하면 중간 목줄이 휘지 않습니다...
목줄이 휜다는 것은 현장에서 유속이나 대류에 의해 생길 수는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허접한답변드립니다;
목줄이 휜다라 ...
1번 찌맞춤
2번 사선입수
3번 카본줄
3개중에 1개일껍니다.. 전 원봉돌채비는 그냥 현장가서 찌맞춤을 하는 반면에
스위벨은 꼭 수조에서 찌맞춤을 하고 갑니다.. 그이유가 질문자님처럼 목줄이 휜다라?는 현상때문입니다.
유료터나 노지나 항상변수가 많아서 고기가 건드린다거나(스위벨쪽이나 봉돌 낚시줄), 바람이 분다거나..
그리고 원봉돌에 비해서 스위벨이 너무작아도 바닥안착이 안댈때도 있고.. 전 선호하는 스위벨비율은 6:4 입니다.
스위벨채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번 맞추어 보세요.
무바늘 상태에서 스위벨과 본봉돌을 단후 찌 를 맞출때 찌에 케미를 단 상태에서
케미고무 와 찌 탑이 맞물리는 부분까지 본봉돌을 가감하여 보시면 스위벨만 바닥에
살짝 닿고 목줄(본봉돌과 스위벨연결 목줄)이 휘어지않고 안착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후 바늘을 스위벨에 단후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낚시를 하실때 처음 찌 를 맞추실때 사용한 케미를 사용하여야 찌 맞춤이 정확 합니다.
케미 무게에 의한 부력 차이가 생길수 있습니다.(주간케미와 야간케미, 전자케미가 각각의 무게 차이가 있습니다.)
분할채비는 몸통따기라는것을 해줍니다.
맨 아래 분할을 때고 본봉돌만 달았을때 찌톱과 몸통이 닿는 부분까지
수면위로 나오게 맞추는것이 몸통따기 입니다.
그 상태에서 찌톱을 가라앉히는 분할(좁쌀이나 스위벨)을 달아줍니다.
그렇게 맞추어야 좁쌀(스위벨)만 올렸을때에 찌톱이 정상적으로 올라오는
입질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방랑자채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지극히 정상적인 올림입질을 노리신다면 가지바늘과 미끼의 무게까지 감안해서
몸통따기를 하셔야 합니다만, 방랑자채비에선 일반적으로
슬로프진 가지바늘의 위력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맞추지 않고
그냥 내림입질이나 끌림입질로 만족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방랑자채비에서 군살을 뺀다면 그냥 아래 좁쌀 밑 바늘은 떼버리고
몸통따기를 무시하면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인 슬로프채비가 된다고 생각하며,
실제로도 굳이 밑밥효과를 노리는 경우를 재외하고는 그렇게 사용 합니다.
본봉돌과 좁쌀과의 무게 비율이 맞지 않다는 것이며
자칮 잘못하다간 좁쌀봉돌만 들리고 본봉돌은 움직이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럼 찌올림도 없을수 있겠죠?
찌맞춤은 윗분처럼 하심 되겠네요.
본봉돌로 찌톱 다 나오게 맞추고 좁쌀 물어주면 거의 맞습니다.
본봉돌은 떠있고 스위벨(or 좁살봉돌)이 바닥에 닿게 됩니다...
찌맞춤은 영점맞춤에서 부터 수평맞춤까지 합니다...
수조에서 채비 다 연결해서 작동하면 중간 목줄이 휘지 않습니다...
목줄이 휜다는 것은 현장에서 유속이나 대류에 의해 생길 수는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는 스위벨채비로하고잇는데 대어터가면일부로사이가휘게끔 글루텐낰시를합니다~
이상 허접답변입니다
찌맞춤시에는 목줄 휨이 발생할수 없지만.. 찌 올림시에는 스위벨 무게 비율이 너무 낮으면 어느 정도 올라온 시점에서는 목줄 휨이 발생할수 있죠. 특히 장찌 부력이 좀 높은 찌에서 가벼운 스위벨(분할봉돌)시에 발생될수 있습니다. 이는 찌맞춤 수조통에서도 확인 가능하고요
스위벨 무게가 찌탑 무게보다 가벼워서인데요...
찌가 어느 정도 올라와서 찌탑이 무게로 작용하는데.. 스위벨이 이보다 가볍다면 스위벨을 위로 올려도 본봉돌은 중간에 떠있고.. 목줄이 휠수 있어요
스위벨(분할봉돌)을 사용할때에는 찌에따라.. 사용하는 라인에따리 적당한 무게를 사용해야합니다.
휘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은데
찌 맞춤과 관계없이 목줄의 휘어짐이 나타나거나,
심한 경우 본봉돌이 바닥에 닿을 수 있습니다.
가장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장대에 해결사 채비를 하시되 원줄을
4~5호 정도의 카본줄을 매어 보십시요
생각대로 라면 본봉돌의 위치를 위로 올려도
수면 위의 찌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찌가 가라앉을 것입니다
4칸대에 카본 4호줄을 매어서 수심 2.5m에 투척하면
수조 찌 맞춤에 비해서 0.3g 이상 무거워집니다
0.3g이면 요즈리 2호 정도의 무게이지요
요즈리 2호 봉돌이면 30cm 이상되는 찌톱을
완전히 가라앉힐 수 있는 무게라는 점......
결론을 말하자면
좁쌀을 사용하여 예민한 채비를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나일론 모노 원줄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며
만일 카본줄을 사용한다면 의도와는 다르게
단일 봉돌보다 훨씬 둔감한 채비가 된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이론적으로 접근해서 그럴수도 있다라고
하는것일 겁니다.
지금생각하면 우스운일입니다만,일조수심2 9호봉돌 먹는걸루다가 아주 작은좁살(기억이 가물)을 달아서 그렇더군요.
그때 떡밥찌 3호로 바꾸어 들어보니 목줄이 안휘더군요.그때 비로소 이해를 했습니다.
원봉돌과 좁살호수가 맞지않으면 목줄이 휨니다.
지금은 스위벨채비로 바뀌어 낚시합니다.
안휘어질때까지 깍아줍니다 전 스위벨4호씁니다 그럼 3목을 내놓고 찌맞춤을해도
휘지않습니다
목줄이 휜다라 ...
1번 찌맞춤
2번 사선입수
3번 카본줄
3개중에 1개일껍니다.. 전 원봉돌채비는 그냥 현장가서 찌맞춤을 하는 반면에
스위벨은 꼭 수조에서 찌맞춤을 하고 갑니다.. 그이유가 질문자님처럼 목줄이 휜다라?는 현상때문입니다.
유료터나 노지나 항상변수가 많아서 고기가 건드린다거나(스위벨쪽이나 봉돌 낚시줄), 바람이 분다거나..
그리고 원봉돌에 비해서 스위벨이 너무작아도 바닥안착이 안댈때도 있고.. 전 선호하는 스위벨비율은 6:4 입니다.
의미가없어집니다 통상 아주저부력찌를 쓰거나
목줄 호수가 너무두껍거나 카본계열 목줄은피하시고
찌부력을 좀더높은호수를 쓰거나 목줄은 합사의경우
케브라보다는 pe합사 가적합하나 줄꼬임이 좀심합니다
케브라 얇은 줄도 좋습니다
또한 좀더 예민함을 극대화 하시려면 나이론계열을
권장합니다
됩니다 ㅎㅎ
군계일학 대표님이설명하는 동영상 있습니다
김태우님이랑 맞추는방법은 틀리지만 원리는 같습니다
더욱이 찌통에서 맞추실거면 군계실학쪽이
더 세심하게나와있습니다 보고 따라하기도 쉽고요
이렇게 한번 맞추어 보세요.
무바늘 상태에서 스위벨과 본봉돌을 단후 찌 를 맞출때 찌에 케미를 단 상태에서
케미고무 와 찌 탑이 맞물리는 부분까지 본봉돌을 가감하여 보시면 스위벨만 바닥에
살짝 닿고 목줄(본봉돌과 스위벨연결 목줄)이 휘어지않고 안착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후 바늘을 스위벨에 단후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낚시를 하실때 처음 찌 를 맞추실때 사용한 케미를 사용하여야 찌 맞춤이 정확 합니다.
케미 무게에 의한 부력 차이가 생길수 있습니다.(주간케미와 야간케미, 전자케미가 각각의 무게 차이가 있습니다.)
본봉돌과 좁쌀봉돌까지의 목줄(흔히 기둥목줄)이 휠 수는 없습니다.
휠 수 있는 가능성은
예를 들어
본봉돌만으로 2목정도 나오게 맞추고
2목보다 긴 기둥목줄을 사용했을 경우.....와
좁쌀봉돌의 무게가 2목정도 침력만큼이고
수심을 3목이상 내어놓았을 때
이런 경우가 아니고서는 기둥목줄이 휘는 일은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한마디 맞춰서 두마디 내놓고 낚시를 하다가
찌를 2마디를 더 올려서 낚시를 하면
기둥목줄이 조금 휘지 않을까? 하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우선 4마디를 찌를 올렸는데
찌가 4마디 다 수면으로 나왔다면 줄은 직선입니다.
직선이니까 올린대로 찌톱이 나오는 겁니다.
10마디 길이만큼 찌를 올렸는데
찌는 6마디만 나왔다면 4마디만큼이 사선으로 들어갑니다.
찌톱의 침력이 본봉돌의 무게에 더해져 4마디만큼 수심이 내려간 상태이므로
기둥목줄은 그만큼 사선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참고로
찌톱을 가라앉히는 침력만큼을 좁쌀봉돌로 썼을 때
0.5mm 카본 찌톱/보통 우리가 흔히 쓰는 찌의 경우
한눈금이 2cm 라고 했을 때
한눈금이 물밖으로 나오면
무거워지는 침력은 (0.0039g, 즉 4/1,000g)입니다.
0.2g 짜리 좁쌀을 썼다면
자그만치 50배..거의 1m를 올려놓아야 한다는 말이 나옵니다.
이말은
0,5mm톱일경우 0.2g의 좁쌀봉돌도 내려가게 할 수 있는 찌톱의 길이는
1m가까이 된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웬만큼 찌톱을 내어놓는다고 해서
기둥목줄이 사선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
정확하게는 본봉돌이 무겁다.... 입니다
의외로 좁쌀봉돌 관련된 채비가 어렵군요
신경쓸것도 많고 ㅠ
찌 몸통이 수면에 닿기 전에 휘면 잘못된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