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좁쌀채비 찌맞춤고수님꼐 질문여

제가하는맞춤은 케미랑 외바늘에봉돌 다달고 수조통에 넣은다음에 케미2/3정도 노출되게 깍구요 그다음 원줄에 연결시켜서 케미꽂이밑찌톱약갑보이게 마춰노면 봉돌만바닥에살짞 닿거든여 여기서 현장가서 찌맟춤별도로하지않고 걍 바로해여 원줄은 모노4호줄이구여 찌올림도마니바꾸여 근데 이번에 카본줄로 바꿀껄려고하는데 위에방법대로 현장가서하면 마니무거운상태가되나여?? 글구 첨에찌맞춘상태보다 케미보이게보다 더깍아서 3목정도까지오게깍은다음에 현장가면 무거워저서 가벼운맞춤이 안되지안을까여? 아니면 다른방법이있나여 현장맞춤은 귀찬터라구여 일일히 하기가 ㅜㅜ

귀잖아도 현장가서 다시 확인 하셔야 합니다.
수조에서 맞춘것과 현장은 많이 달라요!
특히 카본줄은!!

정 귀잖으면 그냥 한시간 정도 낚시 진행하면서 약간씩 바꾸는 방법도 있습니다.

저도 그런 스타일입니다.
한번 맞추고 그걸로 어느 낚시터나 그냥 합니다.

하지만 가든데 마다 조금씩 틀리더군요!!
그리고 같은 자리에 그 다음날 가도 똑 같지는 않아요

그날의 기온, 수온, 기압, 수심 등등 차이로 찌맞춤 조금씩 달라 져요
같은 날도 낮과 밤은 기온, 기압등으로 찌맞춤이 미세하게 틀려 짐니다.

그래서 매일 새로운 패턴을 찾아야 하더군요!
낚시는 매일 똑같은 방법을 되풀이 하지만 항상 새로운 것을 찾아야 해서 재미 있는 것 같습니다.
좁쌀봉돌 크기가 2b정도 되면 그냥 쓰셔도 됩니다.
님이 하시는 찌맞춤에는 카본줄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좁살채비에 대해 문의하셨는데,,

그 내용은 하나도 없네요, 그냥 찌맞춤이야기만 있어서 어떻게 답변하기가 그렇습니다.
모노줄을쓰는이유가 채비에최대한영향을덜주기위함인데 모노줄4호는 오히려득보다실이 많을듯싶구요
전오히려 카본줄보다 모노줄1.75호나2호바꿔서사용해보길 권합니다
정히 카본줄로사용을 해보실거면 지금현재찌맞춤그대로사용하셔도 될듯싶구요 안정적인바닦안착을위하여 케미한메디이상노출을 해주시는게좋구요
주로 어떤곳에서 낚시를 하시는지? 노지?양어장? 카본줄로 바꾸시던 모노줄을 쓰시던 가볍게하던 무겁게하던 현장찌맞춤이 중요하다는 일인입니다.
예민하게할수록 카본줄은 비추입니다..
특히좁살채비에는요
전 항상 카본줄에 좁쌀채비 씁니다.

보통 좁쌀2B정도를 많이들 쓰시는데...원줄이 몇호인지가 중요합니다.

원줄이 2호정도면 수족관 맞춤시 바늘까지 달고 2-3목 정도 내어 놓으면 됩니다만...

3호줄이상이면 찌톱을 내어놓아도 원줄무게로 다 내려갑니다만.

제가 실험한 결과로는 5목정도까지만 나오게 맞추시면 좁쌀만 바닥에 안착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건 물의 수온이나 탁도등, 찌의 소재(오동,발사,스기목)에 따라 더 무겁게 가중되기도합니다.

그래서 윗분들 말씀따라 현장 찌마춤이 필수입니다.

더이상 생각하시면 정신건강에 해롭습니다. 현장 찌마춤이 귀찮으시다면 3-5목정도로 수족관 맟춤하시면 됩니다.
아 취산님 그러면 낚시할떄 케미밑부분한목내놓고 해야대나요?


케미만보이게하면 바늘만 닿더라구요;;
모노4호줄은 무슨의미사용하시는지 모르겠군요
좁살봉돌채비로 양어장위주이시면 모노1호줄.자연지에서 낚시하시면 카본2호줄이 적당합니다 수조통찌맟춤은 현장에서 빨리찌를맟추기위한 단계일뿐 의미가없습니다
자연지기준 카본줄을 사용 하시려면2호줄에 현장맟춤으루 모든채비달고 케미반정도 나오게 맟추시면 제일편합니다 양어장에서의 낚시가 아닌이상 자연지에서는 그정도찌맟춤이 좋을듯하네요 어차피 채비자체가 예민하기때문에 정밀찌맟춤은 노지에서는 비추입니다
예 맞습니다. 좁쌀채비 특성상 케미꽃이 아래 한목정도는 내놓아야만 합니다.
조금 비싼 모노원줄 3호 이하로 추천합니다. 비슷한 굵기의 카본사와 강도도 엇비슷하고 예민한 입질에도 도움이 될 겁니다. 카본사는 물속에서 쳐지잖습니까...

그리고 찌도 바꿔보시면 도움이 될듯 합니다. 부레찌는 물의 부력이 달라져도 현장에서 바로 채비바꿈없이 쓸 수 있어 좋거든요...
현장 실수심 찌 맟춤이 답 입니다. 대략 맟추어져 있다면 미세하게 가감하니가 편하겠죠. 수조속의 물의 비중하고. 현장의 물의 온도나 비중이 다릅니다. 수조에서 아무리 정밀하게 맟추어도 현장에서는 완전히 빗나갑니다. 실수심에 따른 줄의 비중과 줄의 무게 또한 중요 요소가 됩니다.
현장에서 최종적으로 찌의 하강속도와 안착 과정을 보면서 무게를 정밀가감하는것이 최상의 찌맟춤이라고 봅니다.
좁쌀채비에 4호줄을 쓰시는 것도 그렇고...
더하여 카본줄로 바꾸시려는 게 더 이해가 안되는 채비로 여겨지네요.
무거운 줄로 민감한 채비를 추구하신다는..???
카본줄로 조금이라도 현장 찌맞춤에 다가가시려면
원줄까지 다 넣어서 찌맞춤 하시길 권해요.
떡밥낚시라면 줄이 너무 두껍네요.
제가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게 부력과 침력입니다.
모노줄은 부력쪽이고 카본줄은 침력쪽인데 줄에따라 찌맞춤이 틀려지고
현장찌맞춤은 필수라고 생각 합니다.
저는 취미로 찌를 만드는데요 예민함이란 0.01그람으로도 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모노는 1.75호이하 카본은 2호이하 쓰고 있습니다.
목줄도 모노에는 당줄 1호 카본에는 당줄 2호를 쓰고 있고요
찌 맞춤은 바늘을 빼고 낮케미 낀상태에서 찌고무가 노출되도록 맞추고
현장에 가서 몇번을 던져보고 그부력이 맞는지 확인한 다음 바늘을 달고 시작합니다.
시작할때는 필히 2목을 뺀 상태를 유지한 다음에 낚시를 합니다.
이렇게 해야 제되로 하는 것 같은 느낌이 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군계일학 홈페이지에서 성재현 낚시 교실을 확인해 보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