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살 채비를 하는 이유는 예민한 찌맞춤을 통해서 작은 입질도 쉽게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습니다.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에 봉돌을 가감해 보고 부력이 적게 나가는 찌에 봉돌을 가감해 보시면 당연이 부력이 적게 나가는 찌에 더 큰 차이가 날것입니다. 즉, 당연이 부력이 적게 나가는 찌에 좁살 봉돌채비를 함이 옳다고 봅니다. 부력이 적게 나갈수록 더욱 더 좁살봉돌 채비가 효력을 발생할 겁니다. 예전 떡밥낚시할때 여러번 시도해본 경험을.....
고부력이나, 저부력이나, 전 똑 같다고 생각합니다.
좁쌀봉돌이 바닥에 있고 주 봉돌은 물속에 떠 있는 상태인데,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여 좁쌀봉돌이 상승하면
찌도 같이 상승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너무 저부력인것은 오히려 쫍쌀봉돌이 주 봉돌보다 무거운 경우가 될수도 있겠죠.
보통 4호에서 6호 사이가 제일 적당한것 같습니다...
수심 1미터 전후에는 저부력(2호~4호) 수심 2미터 전후에는 4호~6호 사용 합니다.
깊은 수심에서 저부력 찌 사용시 바닥 안착하기전에 잡어에 괴로움 당할때 많읍니다.
저부력의 경우는 본 동돌 자체가 작아서 좁쌀 의미가 제대호 적용될 거 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라고
생각한답니다.
청풍님 말씀처럼 찌의
모양이 더 중요합니다....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에 봉돌을 가감해 보고 부력이 적게 나가는 찌에 봉돌을 가감해 보시면 당연이 부력이 적게 나가는 찌에 더 큰 차이가 날것입니다. 즉, 당연이 부력이 적게 나가는 찌에 좁살 봉돌채비를 함이 옳다고 봅니다. 부력이 적게 나갈수록 더욱 더 좁살봉돌 채비가 효력을 발생할 겁니다. 예전 떡밥낚시할때 여러번 시도해본 경험을.....
좁쌀봉돌이 바닥에 있고 주 봉돌은 물속에 떠 있는 상태인데, 붕어가 미끼를 흡입하여 좁쌀봉돌이 상승하면
찌도 같이 상승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너무 저부력인것은 오히려 쫍쌀봉돌이 주 봉돌보다 무거운 경우가 될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