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주간캐미 무게 관련

안녕하세요.. 겨울이라서 낚시 가고 싶은 마음이 많으시죠??ㅎㅎ 다름아니라. 수조에서 찌맞춤할때 주간낮케미 형광색을 껴놓고 수평맞춤하는데요. 낚시가서 보니깐 빨간색 왕방울 캐미를 쓰시는걸 보니깐 굉장히 잘보이는거에요.. 그래서 낚시점가서 빨간생 왕방울 주간캐미를 사가지고 형광색 주간캐미빼고 빨간색 왕방울껴서 수조에 넣었더니 빨간색이 훨 가벼운거에요.. 혹여나 가벼운 왕방울로 수평으로 마췄다가 야간케미 끼면 무거워지지 않을까요??

그정도 무게는 개의치 않고 낚시 하셔도 됩니다.
왕방울 케미가 대부분 스치로폴 소재라서 수면에 닿게 되면 부력으로 작용 합니다.
채비 안착시 케미 꽂이 노출을 반드시 시키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수조통에서 한번 찌맞춤하고 현장에서 다시 한번 조정을 합니다
그래야 마음이 놓이거든요
제가 알기론 야간케미도 종류에 따라 무게가 다른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가미 케미>
3mm 왕방울 - 0.26g
3mm 방 울 (분말) - 0.25g
3mm 방 울 (젤) - 0.24g
3mm 방 울 (RGB 나노) - 0.22g
3mm 방울미니 (젤) - 0.17g
3mm 방울미니 (RGB 나노) - 0.15g
3mm 막대 골드 - 0.18g
3mm 막대 미니골드 - 0.15g

<전자케미>
3mm 이지 광 (이지코리아) - 0.22g
3mm 전자 원 (이지코리아) - 0.16g
3mm 울트라3 (주. 바코) - 0.18g
2mm 울트라2 (주. 바코) - 0.14g

<일반 주간케미>
열불 주간케미 (해 동) - 0.15g
극광 주간케미 (해 동) - 0.15g

<왕방울, 돋보기형 주간케미>
방울형 낮케미 그린 (성 동) - 0.18g
주간 돋보기케미 빨강 (성 동) - 0.18g
왕볼 주간 돋보기 (해 광) - 0.23g
주간 형광케미 (올스타) - 0.18g
태양꽃 주간 돋보기 대 (해 광) - 0.28g (상단캡 무게 조절가 - 0.02g)
소 - 0.18g ( 동일 )

퍼온 글입니다..참고하시면 좋을꺼 같습니다^^
바로 위 이조사탄생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5백원은 못드리고요 ^^

무게가 같으면 반드시 부력도 같은지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납 0.2g과 스티로폴 0,2g은 무게는 같지만 납은 가라앉고 스티로폴은 뜨잖아요.
제 생각에는 무게만 맞추는 방식으로는 부력 ; 중력을 1;1로 맞추지 못할거 같아서 그럽니다
여쭤보는거지 제 생각을 말씀드리는 것이 아닌 점 이해 부탁드립니다 ^^
저도 초보라... 위에 글은 퍼온 겁니다^^;;
케미 무게 표시가 잘 정돈되있어 참고하시라는 의미에서
올려본거구요~ 같은 무게의 케미도 부피에따라 좀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개인적인 생각으론 표면장력도 무시 못할꺼라
생각이 드는데..;; 저 낚시시작한지 1년밖에 안됬어요~~
저도 배우는 중입니다ㅠㅠ
어떤 재료가 되었든 수면위로 돌출부는 무조건 침력, 수면에 닿고 부터는 그 재질이 부양성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수중에서 부력(물에 뜨는성질) 침력(가라앉는 성질)을 결정합니다.
스치로폴이든, 납이든 물위에서는 둘다 같고, 수면 접촉부터 납은 침력으로 스치로폴은 부력으로 작용합니다. 이해 되셨는지요? 그래서 왕방울케미는 되도록이면 케미(스치로폴)부위가 수면에 노출되도록 주의 하셔야 되는것입니다.
제가쓰는방법은요..일단 야간케미 주로쓰는제품으로 찌맞춤을하고 주간왕방울케미로 교체 부력의변화를보고 부력이 많으면 아래쪽 캐미꽂이 꽂는곳을 좀 잘라서 맞추고 부력이 덜나가면 실납있습니다..실납으로 부력을 맞춘다음 실납을 왕방울 윗쪽에보면 작은 구멍있습니다.없으면 굵은 바늘로 뚫으시면 되고요 거기에 실납을 넣고 순간접착제한방울..이렇게 주간케미를 전부맞추어 놓습니다..한번만하면 1년동안 쭉쓰고요 야간케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그건 그냥 무시하고 씁니다.주간케미는 만드는곳에 따라 부력차이가 많습니다..
맨위의 천년학님 말씀 강추요.....
이조사님 정보 감사드립니다...^^
저역시 하늘붕어님처럼 야간캐미(다쓴 제품도 한두개 정도 보관합니다)로 찌맞춤한후 왕방울캐미를 꼽고 낚시를 합니다.

단 반드시 찌고무 이상 드러난 상태로 하시는걸 추천해드립니다.

왕방울캐미 스티로폼이 생각보다 부력이 쎈편입니다.

야간캐미도 물에 던져보면 가라앉는놈도 있고 뜨는 놈도 있습니다. 저수온기엔 조금 더 가볍게 맞추려고 일부러 부력이 없고 침력만 있는 가라앉는 놈으로 찌맞춤을 하는편이고요.....
개인적으로 일자케미로 수조찌 마춤하는데 왕방울등의 케미는 수조에서 표면장력에 의한 정밀찌 마춤에서는 불리한것 같던데 다른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환절기 건강에 유의하시고 안출하세요^^
새로운길님 저같은 경우는 정밀찌맞춤할때는 찌톱 한마디나 반마디에 맞춘후 쇠링 추가로 정밀 찌맞춤을 하고 있습니다^^
이조사님 어디에 그렇게 상세한정보가 있는지
출처좀 알려주면 고맙겠습니다
호동아님 정밀찌맞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물어보신거죠?? 저는 군계일학의 스위벨 채비를 사용하고 있구요 그 곳에서 동영상보면서 배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아! 아아아아아~~~~
낚시세계는 정말 끝이 없는것같군요 저도 낚시배운지 30년이 넘는데 캐미관련해서 거의 무시하고
낚시를 해왔는데 지금이라도 윗조사님들 말씀되집어 보고 실행해야할것 같군요
이조사님 답변 감사하구요 군계일학 스위벨채비동영상 꼭 보겠습니다
배고픈님 저도 30년이 넘는데 기가 막힘니다
개인적으로 왕방울주간케미 사용안합니다.
시인성은 좋으나 수면 또는 수중에서 부력으로 작용해서요

테스트해본결과 자중은 0.2~0.23g 부력은 0.3~0.4g ,
올리는 입질만있다면 아무상관없겠지요
그러나 수면위에 드러내놓고 한다하더라도 빨아들이는 입질표현에서 분명 왜곡이 발생합니다.

활성도가 좋을때는 세치붕도 찌를 수면아래까지 잘빨아들이나
입질이 예민할때는 왕방울이 수면에서 멍때리고 있거나 동동거리며 끝나는 경우를 여러차례 보았습니다.
물속까지 입수해야 하는데도 말이죠

더군다나 부피가 커서 표면장력(물과 케미간 인력)이 무지하게 커져요
수면에 케미끝을 맞춰놓고 봉돌을 깍아 보았는데 0.5~ 1g 거의 세푼을 깍아내도 요지부동 올라갈줄 모릅니다.

고부력 대물낚시에 맞을지 몰라도 저부력찌에 왕방울케미는 궁합 안맞습니다
특히나 저수온기 입질약할때는 쥐약이라 사료됩니다.
무게는 가벼워도 표면장력과 표면적에
젖은 물에 무게가 커서 떡밥은 no
찌고무자체가 볼록하거 크게나오는 제품도 있습니다
레인보우인가 이름이잘기억이 안나네요ㅡㅡ
주간캐미 낄필요 없이 잘보이더라구요
맞아요 다필요없고 찌고무가 아니고 캐미꽂이 왕방울형

사다가 끼우시면 됩니다.

전 내년에 그거사용 할겁니다.ㅎ
쉽고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고부력의 대물낚시를 하시면 그냥 야간캐미끝이 수면과 수평되게 맞추시고,

저부력의 떡밥낚시에는 야간캐미몸통전체가 보이도록 찌맞춤하시면 됩니다.
그정도 부력차이는 신경 안쓰셔도 되지않을까요?
정확히 맞추었다고해도 미끼나 수심차에도 변화가
있는것으로 저는 알고 있네요.
바닥낚시에서 수심차엔 아주 미세한 변화가 있을수도있으나 미끼에따른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수심차도 모노줄 사용하시면 그차이가 감지하기 힘들정도로 미미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