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에 밤낚시를 갔는데, 기온이 2-3도 정도까지 밤에 내려갔습니다.
지금이야 완전 얼음판되는 상황이지만, 그래도 춥더라구요.
문제는 캐미... 이미 기온이 10도 아래로 내려간 상황이라 캐미불빛도 흐리고해서,
전자캐미를 꺼내서 새로운 전지로 갈고 낚시를 하니, 초록색이 깜박거리다가 사라져버렸습니다.
다시 걷어서 확인해보니 접촉불량, 다른 2개도 1시간정도 하고 나니 초록불이 그냥 캐미보다도 못합니다.
전지를 새로 갈고 했는데도....추천해주실 전자캐미 없나요?
제가 보는 전자캐미 조건은 3가지 인데, 여러분들은 어떤지요
1. 눈 편하고(밝은 건 기본)
2. 튼튼하고
3. 주간캐미랑 무게 비슷한 걸루... (0.18~0.2g 수준)
주간캐미랑 무게 비슷하고 눈 편하고, 고장안나는 전자 캐미 없나요?
-
- Hit : 871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7
한..2년넘게 썼는데..고장은 없었습니다...
다른넘들은 사용하다 깨지고 접촉불량에...밧데리들까지 불량에....
지금은 편한캐미만 씁니다...ㅎㅎ
손으로 전지 부분을 따뜻하게 비벼주면 잠시 밝아지나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 금세 흐려 집니다
밧데리 불량인줄 알고 전화 해보니 위와 같은 설명을 해주더군요
공감하는 부분 입니다
주간케미와 비슷한 무게는
이지 원케미 만 해당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나머지 케미등은 주간케미 보다 무겁 습니다
실제로 이지 원케미도 주간케미 보다 약간 무겁지만
그냥 사용 하셔도 될 정도 입니다
단점은 끼고 빼는게 정말 힘듭니다
어떤것은 그냥 빠지는데 대부분은 전지와 케미를 분리 하는게 손톱이 아플 정도 입니다
자바바쓰님 말씀처럼 케미 빼는것도 일이더라고요 ㅠㅠ
전자케미가 불량률 제로라는건 없읍니다.
그리고 불량이 없어도..
자주 사용하다 보면.. 접촉 불량이 생깁니다.
밧데리도.. 아무렇게나 서로 같이 보관하면.. 서로 방전 되어 못 씁니다.
밝기는 편한케미가 밝긴한데 낮케미와 찌맞춤시 3목이상 차이가 납니다
낮케미보단 무겁져
가장많이 쓰는 촛불형 주간케미가 0.16g이구요 요즘 많이들 사용하시는 군계일학 신형주간케미가 0.18g입니다...
그나마 이지 원케미가 0.18g으로 주간케미와 무개가 비슷하다 할수있으나 문제는 너무 불이 어두워 밤에 적응되기 전까지는 많이 불편합니다... (참고로 전 올해초부터 반년을 넘게 사용해왔지만 결국 적응안되서 바꿧습니다 그냥 3mm일자형 막대 케미로)
결국 요즘 쓰는 가장 편한 방법은요 아주 약간 무거워지는거 가만하고 그냥 찌 맞출때 골드피쉬 쇠O링 중자 두개 끼워 넣은상태로 맞춥니다. 그리고 밤에는 이지광케미로 케미를 바꿀때 중자 쇠O링을 하나를 빼고 찌탑 물에 바짝 붙여서 낚시합니다.
물론 주간케미랑 야간케미 무개차이가 0.04g 차이이고 쇠O링 중자 하나가 0.027 이므로 찌가 조금 무거워진다 할수 있으나 한목 내어놓은 찌탑을 약 반목 붙이게 되니까 아주 약간은 보상을 받게 될겁니다... 그렇다고 정확히 맞춰지는건 아니겠지만....
가장 정확한방법은 HDF에서 나오는 편대용 쇠O링이 소자가 0.01 중자가 0.02 대자가 0.03 으로 정확히 떨어지니 이것을 이용하는것이 가장 정확하다 할수 있으나 야간케미 무개가 전부 천편일률적으로 오차없이 0.22가 아닌지라 이것역시 마음에 위로만 될뿐 정확하지는 않을것입니다...
물론 제 주변에 민감한사람이 많아서 그렇지 촛불케미 쓰다가 밤에는 이지 광케미로 그냥 바꿔서 휙 던지시는 분들도 많으니 제가 쓰는 방법정도만 되어도 예민한 편이겠지요.... (나만의 생각인가요? ^^:)
모 하여간 야간케미 무개 정확히 달아서 쇠오링 으로 무개 가감해가면서 맞춰쓰는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일것입니다.
가벼운 케미는 전부 어두워요... 그나마 광케미가 불량도 적고 밝은편이라 무난하게 사용할수 있을듯 하네요...
무개부분은 쇠오링으로....
배터리 빼고,끼우는 관계로 접촉불량은 간혹있으나 어쩔수 없고요 사용 잘못으로 90% 이상 고장난다고 해도 될겁니다
배터리 끼울때 정확히 일직선으로 기워야 되며 특히 뺄때는 절대 손톱이나 이빨로 빼서는 안됩니다
배터리 탈착할때는 볼트처럼 돌리면서 빼야 됩니다, 물론 물기나 떡밥묻은 손으로는 미끄렵지만 수건으로 손을 닦은후에 돌리면서 빼야만 합니다 종잇장 같은 얇은 얄미늄으로 케이스를(무게땜이겠죠) 만들였기 때문에 약한 힘만 가해도 요철이 생겨버립니다
그려면 접촉불량이 생깁니다,또하나, 끼울때도 살짝 꼽거나 돌리면서 끼워야 됩니다 끼울때 힘을 가하면 배터리 끝에 핀이(+) 배터리쪽으로 밀려들어 갑니다 그러면 그배터리는 쓰지를 못합니다 배터리 쪽은 그렇고요 다음은 불들어오는 헤드(캡)쪽인데요
배터리꼽히는 꼽히는 구멍쪽을 얇은 동판이 조그마케(_) 붙여있는데요 배터리가 원형이 아니면 닳거나 뒷쪽으로 밀려나갑니다
배터리 몸통과 접촉을 해야만 헤드에 불이 들어옵니다 저는 돋보기쓰고 작은 바늘로 동판을 살짝 안으로 당겨줍니다
이 동판때문에 갑자기 불이 어두우지거나 투척시 불이 꺼졌다,들어왔다 하는걸 보셨을 겁니다 배터리를 잘못사용해서 위의 고장이 생겨집니다
그리고 3파이배터리로는
정확히는 2/3mm , 위는 2mm 밑에는 3mm로 되여있는걸 사용합니다 그래야만 3mm 케미고무에 맞으니까요
2/3mm도 일반 주간케미와는 1목,1목반 정도의 부력차이가 나더군요
지금 저는 ep전자의 x똥케미로 다 바꿨습니다 이제품은 같은 무게의주간케미가 들어있어 부력차이가 거진없습니다
저는 떡밥낚시를 위주로 하다보니 부력에차이에 민감할수밖에 없더군요
저의찌 50여개중 5푼 7~8개 6푼,7푼 이 찌가 대부분입니다
일자 주간캐미가 0.15 ~ 0.16g,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쇠링 중자 0.03g, 쇠링 대자 0.05g 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울트라 캐미는 0.20g 이네요
옥션이나 낚시 사이트에 울트라 캐미 많이 파는데요 솔직히 이지광캐미나 기타 캐미보다 led빛이 월등합니다 배터리 사용시간은 타 전자 캐미와 비슷합니다 적색보다는 녹색이 오래가지요 이는 적색과 녹색의 전력 사용량이 다른 특성때문입니다 낚시하실때 낮에는 쇠링하나 껴서 쓰다가 밤에는 빼고 전자캐미 꽂으면 맞네요 지금 옥셕에 리필전지 가격이 1780원으로 저렴(?)하네요 바코 울트라캐미 추천합니다 써보면 압니다
*무게까지 몇그램 몇그램인지 정확히 알고 낚시하시는분에게는 찌춤시에는 바늘빼고 하십시오 일반적인 바늘 6호의경우 무미늘 한개당 0.04g으로 기본 두바늘채비시에 0.08 ~ 0.09g 차이납니다 이는 쇠링 대자 2개정도 차이로 찌맞춤시 5~6 마디 때에따라서(찌에 따라서) 그이상도 차이날수 있습니다*
물론 전자케미가 밝고 시인성이 있는건 사실입니다 안개낀 새벽녁에도 좋구요 - -
하지만 단점도 만만치 않게 많지요
몇번 사용해보면 접촉불량이 일어나고 밧테리 관리도 신경써야 하구 -- -
가격도 만만치 않게 들고 - -
각메이커마다 무게도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젤케미보다 조금 무겁습니다
관리의 부주의로 분실이 되거나 하면 본의 아니게 짜증이 나기도 합니다
문제는 조황인데 - -조황에도 너무 밝아서 덜 좋은것 같더라구요
요사이는 아가미 신형이 오래가고 밝은것 같아서 전자케미 전부 처분하고 아가미로 돌아왔는데 - -
역시나 제일 나은것 같더군요
물론 저도 시력이 많이 나빠져서 돋보기달린 안경을 착용하고 있지만 대물낚시에서는 젤케미도 그런대로 입질이 왔을땐
정확히 알수있더라구요
전자찌도 각 회사꺼마다 2년간을 사용해보고 나서 전자케미를 사용하다가는 이건 아니다 싶었어요
각 개인의 견해 차이가 있고 취향도 달라서 권해 드리긴 뭐 하지만 결정권은 개인에게 있으니
잘 알아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전자케미에서 젤케미로 되돌아온 지인들 많이 접합니다 두세대의 편대채비 하는 월님들한테는 좋을것 같기도 하지만
저처럼 다대 편성하는 대물꾼들한테는 전자케미는 아니다 싶습니다만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전자찌에 비해 빨리 소모되고 불량율도 많아요.
개인적으로는 지름신님의 말씀에 한표합니다.
접촉불량 ~~~ 장난아니게 많고요 , 성격 드러워 집니다. ㅎㅎㅎ
그걸 펴서 사용 하시면 되고요 혹여 사용 하실때 깨진 것은 펜찌로 살짝 잡아..
강력 본드로 살짝 붙여 주시면 몇번은 더 사용 하실수 있답니다...
정말 저도 떡밥 낚시를 자주 하기 때문에 전자 케미 를 많이 쓰는데...
불량이 너무 많고 밧데리 마다 밝기가 다른게 흠이더군요...
정말 전자케미 개선 될건 개선 되야 하는데 아쉽네요...
이것도 초보와 고수 차이가 있나보네..우찌되었든 표면장력 차이든 무게 차이든 그 차이는 있는것 같아서 표시중량만 믿지않고
매번 다시 맞춰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