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중통낚시 찌 부력과 관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중통낚시에 관심이 많은 용어천입니다. 궁금한점은 중통낚시의 찌 부력과 입질의 감도 질문입니다. 현재 고부력찌, 보통 부력찌, 내림찌로 중통낚시를 해보았는데 입질의 차이가 있어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1. 고부력찌의 입질은 한마디를 여러번(2~3회) 빨다가 가져가는 입질이었습니다. 하지만 가져가는 입질에서도 챔질시 50%만 걸리고 나머지 50%는 헛방이 나왔습니다. 2. 보통 부력의 찌(일반 저수지에서 사용하는 옥수수찌 였습니다. 해당 찌의 입질은 20%로 한번에 가져가거나 고부력찌와 동일하게 1~2회 빨림이 있은후 가져가거나 하는 입질이 많았으나 챔질시 70% 정도로 고기가 올라왔습니다 (내용으로 보면 챔질 숫자가 고부력보다 정확도 면에서는 상승한듯 합니다.) 3. 내림용 찌의 경우 대부분 가져가는 입질이나 가져가는 도중에 챔질하면 거의 100%의 챔질이 되나 너무 늦을 경우(찌가 다시 상승할때)에는 헛방이 나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제가 얻고자 하는점은 찌 부력에따라 붕어 흡입시 걸림이 생겨 뱉는 부분이라면 초 저부력찌(채비만 간신히 유지할 수 있는 저부력)의 경우 챔질 타이밍과 관계 없이 챔질 하더라도 정확한 걸림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에 문의 드립니다. (초 저부력찌는 연주찌를 사용하여 만들 계획입니다.) 혹시나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해보신 분이 계신다면 답변 간절히 부탁드립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
나름 중통을 즐기고 있습니다
미흡하지만 제 소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제생각에 중통낚시의 가장 중요한점은 이물감을 얼마나 줄여주느냐....인듯 합니다
님께서 예를들어주신 세가지경우..... 저도 같은 경험을했습니다
현재 제 채비늘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1
찌는 저부력찌를 사용하며 찌다리에 편납을감아 자립찌를 만들어사용합니다 (찌를 물에담구면 동동뜹니다 ^^ 4마디정도 물위에 노출됩니다
낚시할때 4마디를 내놓고 낚시를합니다
2
봉돌은 유동봉돌에 편납을감아 사용하지않고 스토퍼...가장작은 핀도래.....스토퍼 순으로 체결하여 핀도래에 흔히 사용하는 봉돌을 달아 사용합니다
유동봉돌은 아무래도 원줄과 마찰하는부위가 많기에 입질시 같이 움직일수 있습니다 (혹 동동채비를 접해보셨는지 모르겠으나 그와 정 반대의 생각입니다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함입니다 )
3
원줄은 카본 3호를 사용합니다
4
목줄은 20~25cm정도 길게사용합니다 (시중에 판마되는 옥내링줄을 주로 사용합니다)

나름데로 물가에앉아 나름 골똘히 생각한후에 제체비가 만들어졌구요
한겨울 하우스에서 내름하시는분들보다 찌의 빨림폭이 크고 훅킹률또한 만족할 수준입니다
얘기가 너무 멀리왔네요 ^^;
어쨌든 중통에서의 찌는 부력을 최소화하는것이 강권이라 생각합니다 ^^
채비는 위 짱세님 처럼 하시고 인터넷 쥐지면 빨찌 라는것 있어요
4000원 이하이며 약 80cm 되고 찌다리가 탑보다 길어 자립 합니다
이거 사용하시면 아주 예민하고 좋아요
짱세님, 투명인간님 고견 감사합니다.
근래 중통을 하면서 옥내림에서 보지못한 찌맛을 알게되어 시작된 방법 갈구가 지금까지 오게 되었네요.
찌에 대한 부력이 입걸림에 상관이 있다면 남은것은 원줄과 목줄 그리고 관통 봉돌만 해결하면 될듯하네요..
찌에 대한 부력은 연주찌에 찌탑을 끼워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주말 출조를 갈 예정인데 제 채비를 한번 들어 보시고 의견 여쭙니다.
원줄은 모노줄 1.5 목줄은 1.0호 목줄 길이는 20~15(5cm 단차) 유동봉돌과 핀도래 사이에 작은 0.8호 연주찌를 끼워 사용할 예정입니다. 날카로운 챔질을 위해 내림대를 쓸예정이구요.
핀도래와 유동봉돌 사이에 연주찌를 사용하는 이유는 싱커 다이아몬드형 봉돌을 사용하는데 봉돌이 함몰되거나 입수시 뒤집어 지는 경우를 방지하거나 유속으로 인하여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합니다 이론대로라면 3cm정도 v자 형태를 그리며 원줄 부분이 떠있는 상태가 됩니다. -> 이 부분은 저번주에 확인하여 입질상태를 확인 하였으나 정상적으로 입질이 들어오는 부분을 확인하였습니다.

혹여나 채비상 우려되는 부분이나 이상한 부분이 있다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