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통낚시를 한번도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대략 채비순서는 알겠는데요
저부력찌에 찌맞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알수가 없어서 문의 드립니다
채비는대략 바늘 목줄 멈춤고무 중통봉돌 도래 멈춤고무 찌 멈춤고무 이렇게 하고
바늘과 중통봉돌을 제외하고 케미를 끼운 상태에서 찌맞춤을 어느정도 해야하는 가요
남녘에는 아직 물낚시할곳이 몇군데 남아 있는데 예민한 붕어를 중통낚시로 만나볼 생각입니다
그리고 자세한 낚시 방법도 부탁드립니다(미끼는 옥수수사용예정입니다)
중통채비 질문입니다
-
- Hit : 1550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8
2)최대한 원줄이 사선이 되게끔 최장으로 캐스팅 하시고 찌가 선다음 몸쪽으로 살짝 잡아 당기며 찌높이를 조정하시면 되고요..
찌높이는 좀 높게 맞춰야 당기며 높이 맞출때 좋습니다.
3)확인법은 찌가 안착후 밀어보거나 당겨볼때 찌가 따라서 오르내림을 보이면 잘 맞추어 진겁니다.
4)목줄은 원줄보다 낮은 홋수의 모노사를 사용 하시는것이 줄꼬임 등에서 월등 합니다.
5)그외 미끼 운용이나 외바늘 쌍바늘 등은 기호에 따라 하시면 됩니다.
단, 중통낚시는 찌의 빨림 입질을 보고 챔질하는 낚시로서 상당히 피곤하며 올림에 비해 낚시의 묘미도 사실 별로 없습니다.
저도 다대 편성시 제일 바깥쪽에 한대정도 배치하고 낚시 하는데요...
신경쓰고 계속 꼰아봐야 되기 때문에 피곤 합니다. 그냥 자동빵 기다리는 것은 추천 합니다. ㅎㅎ
중통봉돌을 제외한 채비에서 찌 맞춤을 찌톱만 거의 나오게 맞추어야 하나요?
찌톱 얼마나 나오게 하는지는 크게 상관없습니다 ...내려가는 입질이기 때문에
제같은 이정도가 제일 좋든군여...밤낚시에도...
찌의 부력대비 봉돌의 무게 밸런스를 말씀 하시는것 같네요....
중통채비는 일반 채비처럼 맞출 방법이 없습니다. 봉돌이 무거우니 그냥 가라 앉으니까요....
얼마나 빨리..가라 앉는가의 정도를 스스로 판단 해야 합니다.
그래서 봉돌무게를 찌 정부력의 두배 정도로 말씀 드린거구요...
봉돌이 다소 부담된다고 찌 부력대비 2배보다 가볍게 쓰시면 앵커역할을 제대로 못해 중통의 의미를 잃어 버립니다.
중통낚시를 노지든 유료터든 거의 주력으로 해오고 있습니다..4년 내년이면 5년째 제대로 해본거 같습니다..
올림낚시의 찌오름을 볼수는 없지만.. 멋지게 내려가는 찌맛, 실용성 면에서는 최고가 아닐까합니다..
앤커봉돌은 찌부력의 3배정도가 문안하구요.. 보통 찌톱 전부 노출정도의 찌다리나 편납홀더를 이용해서 부력을 죽여주는게 가장 문아합니다.. 아랫 봉돌의 무게가 너무 가벼우면 자칫 바란스가 안맞아서 튕겨버리는 일이 발생됩니다.
투척후에 본이이 거치할 위치보다 20 30센티 뒤에 나뚜고 봉돌이 바닥에 닿고 찌가 가라 앉았다기 치고 올라옵니다.. 이때 낚시를 놓을 위치만큼 밀어줘서 원하는 찌톱을 내놓겟음 수심측정하시면됩니다.
낚시대를 땡겨서 마추는 것과 밀어서 마추는것에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즉 낚시대를 땡겨서 마추면 봉돌과 찌 초릿대까지의 상대적으로 직선을 그리게 되기때문에 입질이 급하거나 빠르게 나타날수 있구요
밀어줄경우에는 봉돌과 찌 초대리까지의 원줄 모양이 직각보다는는 더 벌어진 각도,..상기보다는 직선에 덜가까운 형상을 보이기때문에 입질이 부드럽고 자연스러워집니다.
찌톱은 가능하면 다 내놓으시고 낚시대를 더 앞으로 밀어 원줄이 살짝 늘어지도록 나두는게 예민한시기에는 좋습니다..
이렇게 되면 찌와 초릿대가 직선이 아닌 찌가 물의 흐름, 바람에 의해 약간은 한쪽으로 치우치겠지요.. 동절기에는 이정도로 여유를 많이 주시느게 좋습니다.
노지에는 거의 100프로 순수 입질이고.. 하우스는 개체수도 많고 떠잇는고기등 원줄을 건드는 요인이 많아 찌 움직임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헛챔질을 유발할수 있습니다.. 이거는,, 경험으로 캐치하고 약간의 체비 변경등으로 보안할수 있습니다.
유료터에서 중통낚시를 스트레스 안받고 즐기기 위한 팁을 말씀드리면
앵커의 역할을 하는 봉돌을 2개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즉 내체비 바늘주변에는 집어제의 영향으로 고기가 많이 모입니다.. 이에 1차봉돌부터 사선지는 원줄은 고기의 움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따라서 앵커봉돌을 2개 이용하여 1차봉돌에서 약 1~1.5매터 간격을두고 2차 봉돌을 이용하여 원줄을 완전 바닥에 붇힘으로써 실제로 고기가 모여있는 곳이아닌 뒤쪽부터 원줄이 사선지기에 거의 순수한 입질만 받고 챔질할수가 있습니다..
단 3칸대 이상을 쓰셔야 2개의 앵커봉들을 쓰고 찌를 새워도 초리대부터 찌가 설수 있는 원줄길이가 나와 짧은대로는 힘들다는게 가장큰 단점입니다..
물 많이흐르면 중통도 소용없습니다. 찌가 안서니까요. 적당히 흐르면 중층낚시로도 충분히 재미볼수있습니다.
저에겐 중통은 정말 헛챔질이 많은 낚시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