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물이 많이 빠지면 포인트가 많이 드러나는게 계곡지라고 알고있지만 여긴 물이 빠지면 빠질 수록 수심이 4~5m로 엄청나게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지형의 굴곡이 심한 곳인데요 물이 빠지면 대부분 이런 포인트인데 오히려 만수때 물이 차면 지형상 쫌 평평해져서 3m권으로 낮아지는데요 이런곳은 그냥 고기잡기 힘들다고 보면 될까요 조언부탁드립니다
평지 저수지인 경우엔 물이 빠지게 되면 낚시가 잘 안되는 게 보통이지만, 계곡지의 경우에는 만수위 때보다 오히려 물이 많이 빠져야 낚시가 잘 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또한 물이 빠져야 포인트가 많이 생겨 낚시할 자리가 생김)(이런 류의 대표적인 계곡지 : 서산의 신창지, 강릉의 오죽헌지)
이런 계곡지의 경우에는 산란기에 잠깐 낚시가 되고 그 이후부터 좀 안 되다가 열대야가 찾아올 때 쯤(6월말부터 8월중순까지) 낚시의 절정기가 됩니다. 그리고 열대야가 사라지고 날이 선선해지게 되면 일순간부터 입질이 뚝 끊기는 기이한 상황이 찾아오게 됩니다. 또한 미끼도 지렁이나 새우는 전혀 먹히질 않고 떡밥류에만 반응을 보입니다. 제가 20여년 전에 동해시에 살면서 다녔던 강릉의 오죽헌지가 그런 저수지입니다. 그 저수지에서 하루밤 낚시에 쿨러조황을 딱 한번 경험 했는데, 새벽 세시부터 아침 아홉시반까지 여섯시간 동안 6-8치급 붕어만 130여 수 낚은 경험이 있는데 제 낚시인생에서의 최대 마릿수 조황이었습니다. (잡은붕어는 붕어즙 내려서 장인어른 공양), <물이 빠져서 급경사 지역이고 수심이 3, 4m로 깊다면 열대야 발생할 때쯤 밤낚시로 도전해 본다면 좋은 조과가 예상됩니다>
포인트가 됩니다
지형을 잘익혀두어
만수때 활용해보세요
대드리우는게 유리합니다
계단식 논 못으로 메꾼곳도있는데
붕어가 논 타고 올라온다고 알고는있지만
(턱에 하나 밑에하나 이리 찌세우라배워습니다만^^;)
재미본적은 드문거같습니다
배수기에 사진 찍어두시고 만수위 될 때 2m권을 찾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박 꽝첬네요 터가 어지간히 빡세기도했지만
물이 어중간하게빠져서 3미터권 부터 갓낚시까지 해서 1미터 50권
까지 노렸다가 정말 미동조차 못보고왔네요
차라리 완전 만수시 갓낚시스타일로 1미터~50권 노려보거나
물이정말 왕창빠져서 골중앙까지 채비안착시 1~2미터나올때
나 해볼것같습니다 ㅠ
물이빠지면서 많은 포인트들이 들어납니다.
쉽게 생각하세요.
숲풀이 우거진 생자리 작업이 힘들어서 그렇지
사람의 손이 타지않아서 다들 좋아하시지요?
물빠지 계곡지도 사람손이 타지 않은 생자리 포인트입니다.
물론 조과라는 것이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르고
오전 오후도 다르니 단정 하기는 그렇지만
저는 물빠진 계곡지 좋아라합니다.
수중 물골이 있어서 좀더 깊은곳
수중턱이 있어서 좀더 얕은곳
이곳저곳 편성해서 낚시하시면 그또한 낚시의 재미 일듯 합니다.
보트꾼들은 수초보다는 바닥지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공략합니다
수심이 깊어서 배를 댈수가 없던곳에 배를 정박할수있는 찬스가 오기때문인데
가급적이면 물골 골자리보다는 골 언저리 주변에서 활발한 입질을 합니다
배수기에는 턱 아래....오름수위에는 턱 위.....
시기에 따라 공략지점에 변화가 필요합니다
만수시에 수심이 3~4미터로 앝아지는 평지가 있다면 제가 보기에는 그곳이 포인트입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공략해보세요
1.물이 빠지고...
2.주변이...
3.급경사 일때...
4.위험합니다.
5.경사가 완만한 곳에서 낚시를 하십시요.
특히 계곡지 안에는 밤낚시 훼방꾼들이 너무 많은거 같습니다.
어떤 미끼를 넣어도 대물붕어처럼 찌를 올리는데 100% 헛챔질만
하다가 지칩니다.
이런 계곡지의 경우에는 산란기에 잠깐 낚시가 되고 그 이후부터 좀 안 되다가 열대야가 찾아올 때 쯤(6월말부터 8월중순까지) 낚시의 절정기가 됩니다. 그리고 열대야가 사라지고 날이 선선해지게 되면 일순간부터 입질이 뚝 끊기는 기이한 상황이 찾아오게 됩니다. 또한 미끼도 지렁이나 새우는 전혀 먹히질 않고 떡밥류에만 반응을 보입니다. 제가 20여년 전에 동해시에 살면서 다녔던 강릉의 오죽헌지가 그런 저수지입니다. 그 저수지에서 하루밤 낚시에 쿨러조황을 딱 한번 경험 했는데, 새벽 세시부터 아침 아홉시반까지 여섯시간 동안 6-8치급 붕어만 130여 수 낚은 경험이 있는데 제 낚시인생에서의 최대 마릿수 조황이었습니다. (잡은붕어는 붕어즙 내려서 장인어른 공양), <물이 빠져서 급경사 지역이고 수심이 3, 4m로 깊다면 열대야 발생할 때쯤 밤낚시로 도전해 본다면 좋은 조과가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