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낚시 입문 한지 얼마 않돼어 배울게 많은 피래미입니다
제가 주록 노지나 수로에 다대편성 바닥낚시을 하고 낚시방에서 추천 해준 조무사대물 카본3호줄을 원줄로 사용중이며
목줄은 낚시방에서 파는 묶음 원바늘(합사)사용중입니다 믿걸립이발생시 목줄이 않터지고 원줄이나 초리대 실 몇번 터져 장비 손실이 발생됩니다
그레서 옥내림 묶음 채비 돼어있는것도 사용 해바는데 그줄은 너무 꼬이는게 심하더라구요(줄이 가느러서 그러는건지?)그레서 직접 목줄바늘를 제가 만들어 써볼려합니다
선배 조사님들 원줄+목줄도 카본으로 사용해도 돼나요? 지금 사용중인 조무사3호줄와 잘맞는 카본 목줄을 사용할만한것좁 추천해주세요!!!!! 1.75~2.5호 사용하면돼나요?
아니면 지금 사용중에 있는 3호줄에는 목줄을 모노줄을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목줄 길이의따라서도 달라져야하나요? 원봉채비 이봉채비 채비마당 달라저야하나요?
바늘과바늘 호수 추천도 해주세여
모든 조사님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직접 목줄바늘를 만들어 볼까합니다
-
- Hit : 897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담은 고수분께 패스~
모노 또는 카본 취향 따라서 15cm~ 20cm
쌍바늘은 카본이 좀 덜 꼬이고 부드럽긴 모노줄
바늘은 보통 붕어 7 8 9호 감성돔 2.3호 떡밥ㅇ기준
합사줄은 1호이하 보통 7~10cm사이 씁니다
우선 원줄과 목줄
원줄은 같은회사 제품을 사서 한 홋수 아래나 혹은 그아래 홋수 차이를 두고 원.목줄을 사용하는게 가장 무난 합니다
참고로 포털 검색에 나오는 베이직카본 이라는 줄도
가성비가 좋습니다
3호원줄의 목줄사용시 카본을 써도되고 모노를 써도 되며 합사를 써도 됩니다 중요한것은 원줄의 손상만 없게 강도만 낮추면 되겠죠
외봉 이봉의 구분도 특별히 없습니다 수초가 없고 집어를 가미한 낚시를 한다면 두바늘이 좋을것이고 생미끼 위주와 수초가 많은 곳이라면 외바늘이 좋을 것입니다
목줄 길이도 상황과 시기에 따라 달리하면 좋겠죠
가령 요즘같은 시기의 수로에서 낚시를 한다면 목줄이 짧은 것보다는 긴줄이 유리하겠죠
활성도가 나쁜시기인 만큼 붕어의 움직임은 작고 둔합니다 이럴때 조금이나마 이물감을 줄여주기 위해서는 긴목줄이 유리합니다
바늘도 또 역시 상황과 시기에 따라 달리하면 조과에 도움이 되겠죠
예를 들자면 활성도가 좋은 경우라면 굳이 바늘털이되기 쉬운 작은바늘을 쓸 이유가 없겠죠 반대로 요즘같은 날씨엔 예민함을 위해 작은 바늘이 더 유리하겠죠
그러나 작은 바늘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수로 낚시 특성상 얕은 수심에 입질을 받고 챔질을 하는데 9치이상 붕어가 이리저리 점프하고 수초로 돌진하는데 붕어바늘 5호6호로 내앞의 수초를 넘겨와 손에 쥘수 있을까요? 이럴땐 감성돔 4호정돈 되야 강제로 끌어내기에 무난합니다
이렇듯 해당출조지의 여러상황 및 계절적특징 당일의 기상상태 그 저수지 혹은 수로의 특성에 맞게 채비를 맞춰 사용해야 더 많은 손맛을 볼수 있을듯 합니다
남들이 다 아는 내용 일테지만 초보시라니 글이 길어졌네요
좋은글 주셨네요ㅎ
추천 드려요.
목줄.모노2호
바늘.옥수수나떡밥은 감생이2호
새우미끼엔3호
목줄길이.맨바닥10센티이내
바닥이지저분한곳15내지20중니다
다시 말하면 원줄이 7Kg의 힘에 터질거라면, 목줄은 5Kg에 터져야만 낚시의 집중 시간을 놓치지 않겠지요.
그런 까닭에 저는 원줄은 카본 3호(2호나 2.5호는 터지기도 해서) 를 쓰고, 목줄은 ㄷ3호(=12lbs)를 씁니다.
바늘이 바닥에 걸렸을 때 대를 지긋이 잡아 당기면 대개의 경우 바늘 귀나 목줄이 나가게 되어 소중한 원줄이 살아 있어서 낚시 시간을 벌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