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바늘까지 물에 넣어서 찌 맞춤을 하는 아주 짧은 경험을 가지고 있는 낚시맨 입니다.
캐미와 물 수면은 1:1로 마추구요???
낚시 합니다. 낮에 낚시할때는 피라미 때문에 떡밥 갈아주다 세월갑니다.
밤에는 찌를 시원하게 올리는 붕어입질은 알겠는데, 쪽 빠는 입질도 붕어라 이거죠.
제대로 된 붕어 입질, 잉어 입질, 잡어( 가물치, 동자개, 매기, 빠가) 입질구별법좀 알려주세요.
붕어 입질만 들어 오게 채비와 떡밥/생미끼 사용법도 같이 알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찌 맞춤에 따른 붕어 입질 찿아내는 방법좀요??
-
- Hit : 627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바닥이 지저분한 곳이나 그날 그날 붕어 입질 형태가 바뀌게 되니 입질이다 싶다 판단 되시면 챔질을 하심이 좋을듯 하네요
그리고 붕어 입질만 들어 오게 하는 채비나 떡밥 생미끼 이런건 없습니다^^ 만약 이런게 존재 한다면 잡어 입질에 기진 맥진해서
낚시 중도 포기 하고 돌아오시는 님들이 없겠지요
빠는입질 자주나타나신다면 또 그것이 챔질로 이어졌을때 입걸림이 많이되신다면
봉돌이 살짝 떠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물론 예민한 시기에따라 예민한채비도 좋지만
헛챔질이 자주유발되고 이에따라 피곤한 낚시가된다면 즐겁자고 하는취미생활에 승질만 날뿐이죠
상황에 마추어서 때론 무겁게 때론 가볍게 쓰시는게 좋을듯합니다.
구요,, 동물성미끼 (지렁이.참붕어.새우) 에 반응하며 식물성 미끼는 안건드리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잉어는 찌를 살짝 올리고 바로 옆으로 째는 습성을 가집니다. 물론 통상적인 입질형태를 말씀드리는 거구요,,잡식성이지만 식물성
미끼에 더 반응을 합니다.
피라미는.. 입질 형태가 아주 지져분하죠.. 붕어와는 분명 다릅니다.... 가끔 애기 붕어와 비슷하기도 하구요,,,,
밤이 되면 피라미 성화가 좀 줄긴 하지만,, 워낙 개채수가 많다면 어쩔수 없습니다...
붕어만 골라낼 수 있는 미끼는 없는걸로 압니다...잡어의 입질을 막고 최대한 붕어의 입질을 유도하기에는.. 식물성 미끼가 더 좋
지 않을까 싶네요..
통상적인 입질을 간단하게 이야기 드리자면..
붕어는 올리고..
잉어는 꿈벅꿈벅..
가물치는 촥채고..
장어나 메기는 쭈욱 끌고가는 입질.. 등등
그렇지만 꼭 위와 같은 것은 아니며 가끔 별스런 입질을 하기도 합니다.
저수지 마다 붕어 입질이 조금은 다른것 같구요.
메기가 식물성 떡밥에 역시 시원한 올림 입질을 경험 하기도 했습니다
배스도 찌를 잘 올려 주는곳이 있습니다
보통 붕어는 올림-바닥상태에 따라서 끌고 내려가는 현상도 있음-이고 잉어는 깔짝이다가 쉬익~끌고 가고
배스나 메기 장어는 슬그머니 물고 사라지고
잔챙이들은 쉭쉭 미사일을 발사 하고.....
천태 만상입니다
아무리 고수라 해도 완전한 입질형태는 알수 없을겁니다
한편 물고기 구분해서 집어 하는 떡밥역시 존재 하지도 않고
만약에 존재 한다고 하면 낚이는겁니다
안출 하시구요 경험으로 익히시는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맨밑으로 내린다음 봉달 깍으면서 맞춥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