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원뿔통에 넣고 찌를 맞추어보니 케미와 바늘을 달고 넣으면 찌가 가라앉고 바늘을 빼고 넣으면 올라와 수면에 맞닿아 있습니다. 어느게 맞나요?? 월님들 어복충만 하시길 바랍니다.
목록 이전 다음 찌 영점조정은 케미와 바늘을 달고하나요? 탄스리아이디로 검색11-07-18Hit : 6269 본문+댓글추천 : 0댓글 11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전통바닥낚시/찌-영점조정은-케미와-바늘을-달고하나요 URL 복사 어제 원뿔통에 넣고 찌를 맞추어보니 케미와 바늘을 달고 넣으면 찌가 가라앉고 바늘을 빼고 넣으면 올라와 수면에 맞닿아 있습니다. 어느게 맞나요?? 월님들 어복충만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소양댐에살고싶어아이디로 검색 11-07-18 15:53 바늘을 끼우고 수조통에 넣으면 봉돌이 어떠한 형태를 취하고 있나요.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으면 그게 맞을겁니다. 추천 0 신고 바늘을 끼우고 수조통에 넣으면 봉돌이 어떠한 형태를 취하고 있나요.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으면 그게 맞을겁니다. 하얀부르스아이디로 검색 11-07-18 15:58 수편마춤하신듯하네요.. 월래 바늘은 바닥에 닿기 때문에 무게에서 죄외시키는 부분입니다. 잘 마추신거 같네요. 그러나 현장가시면 한번더 마춰줘야 합니다. 현장과 수조는 수압이 틀리고 밀도도 틀리기 때문에 수조마춤은 항상 현장가면 무거운 마춤이 됩니다. 현장가서 다시 정밀 마춤하셔야합니다.. 추천 0 신고 수편마춤하신듯하네요.. 월래 바늘은 바닥에 닿기 때문에 무게에서 죄외시키는 부분입니다. 잘 마추신거 같네요. 그러나 현장가시면 한번더 마춰줘야 합니다. 현장과 수조는 수압이 틀리고 밀도도 틀리기 때문에 수조마춤은 항상 현장가면 무거운 마춤이 됩니다. 현장가서 다시 정밀 마춤하셔야합니다.. 탄스리아이디로 검색 11-07-18 17:29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어차피 현장에 가서 찌를 다시 맞추어야한다는 얘기군요. 추천 0 신고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어차피 현장에 가서 찌를 다시 맞추어야한다는 얘기군요. allbaemi아이디로 검색 11-07-18 17:36 영점맞춤은 보통 바늘없이 하는게 맞습니다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부드럽게 입수한 뒤 1. 케미가 수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거나 2. 케미 중간쯤 나오게 하거나 3. 아님 케미다 다 드러나도록 맞추는 거죠 만일 찌가 물속으로 들어간다거나(무거운 찌 마춤) 한마디 혹은 2마디 이상 나오게 되면 마이너스 찌마춤이 됩니다. 한겨울 예민한 찌마춤(이경우에는 보통 마이너스 찌마춤을 많이 하더군요)이 아닌 이상 위 1, 2, 3 어느 경우이든 붕어가 찌를 들 어 올리는데는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무거운 찌마춤 포함) 다만, 마이너스 찌마춤이 되지 않도록 주의만 하면 될 듯합니다. 님의 경우 바늘을 달았을 경우 찌가 가라앉는 걸 보니 상당히 저부력 찌인 듯 합니다만 그정도면 낚시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 단됩니다 단, 수조가 아닌 현장에서 찌마춤하게 되면 더욱 정확하겠지요 나머지는 고수분께 패스~~ 추천 1 신고 영점맞춤은 보통 바늘없이 하는게 맞습니다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부드럽게 입수한 뒤 1. 케미가 수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거나 2. 케미 중간쯤 나오게 하거나 3. 아님 케미다 다 드러나도록 맞추는 거죠 만일 찌가 물속으로 들어간다거나(무거운 찌 마춤) 한마디 혹은 2마디 이상 나오게 되면 마이너스 찌마춤이 됩니다. 한겨울 예민한 찌마춤(이경우에는 보통 마이너스 찌마춤을 많이 하더군요)이 아닌 이상 위 1, 2, 3 어느 경우이든 붕어가 찌를 들 어 올리는데는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무거운 찌마춤 포함) 다만, 마이너스 찌마춤이 되지 않도록 주의만 하면 될 듯합니다. 님의 경우 바늘을 달았을 경우 찌가 가라앉는 걸 보니 상당히 저부력 찌인 듯 합니다만 그정도면 낚시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 단됩니다 단, 수조가 아닌 현장에서 찌마춤하게 되면 더욱 정확하겠지요 나머지는 고수분께 패스~~ 이오빠거칠어아이디로 검색 11-07-18 19:07 영점 맞춤을 하신후 ,,,수조 속에서 수심을 맞추시고 살펴 보신건가요? 올리신 글만으로는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찌마춤은 바늘 빼고 하시고..현장에서 낚시 하실때는 수심 마춤을 잘 하셔야 합니다.. 추천 0 신고 영점 맞춤을 하신후 ,,,수조 속에서 수심을 맞추시고 살펴 보신건가요? 올리신 글만으로는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찌마춤은 바늘 빼고 하시고..현장에서 낚시 하실때는 수심 마춤을 잘 하셔야 합니다.. 바닦낚시올인아이디로 검색 11-07-18 23:03 수조에서의 모습은 바늘만 닿아있는 모습일듯합니다 표준맞춤하신듯 한데요 추천 0 신고 수조에서의 모습은 바늘만 닿아있는 모습일듯합니다 표준맞춤하신듯 한데요 탄스리아이디로 검색 11-07-19 09:41 윗분 표준마춤과 수심마춤의 의미를 다시한번 설명 부탁드립니다. 낯케미는 꼽고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수면에 닿게 영점조정을 해놨는데 바늘을 다니까 바늘의 무게때문인지 가라앉아서 다시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정상인가요. 추천 0 신고 윗분 표준마춤과 수심마춤의 의미를 다시한번 설명 부탁드립니다. 낯케미는 꼽고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수면에 닿게 영점조정을 해놨는데 바늘을 다니까 바늘의 무게때문인지 가라앉아서 다시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정상인가요. 골든이글아이디로 검색 11-07-19 11:25 표준맞춤은 찌 영점 맞춤입니다. 바늘 달지 않고 하는 것은 실제 바늘의 무게는 미미하거나, 찌 부력과 봉돌의 무게가 같다면 붕어가 바늘을 흡입해도 이질감을 느끼지 못 할 것 같습니다. 단 비수기에는 이부분도 고려하여 찌 맞춤 합니다. 수심 맞춤은 실제 낚시 가셔서 하는 것으로 수심이 찾으신 다음, 찌를 약 30cm 정도 올린 신 후 영점 맞춤을 하는 것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적용 되는 것 입니다. 일반적인 것은 현장에서 수심이런거 없이 찌 맞춤하듯이 투척 후 영점 맞춤 하신 후 낚시해도 무방 합니다. 찌 맞춤의 섬세함이 조과에 영향을 준다고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인지 요즘 찌 맞춤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됩니다. 예전엔 케미 및 바늘 없이 영점하고 해도 찌 멋지게 올려주었는데, 붕어의 개체수도 줄고, 기타 오래어종도 많아지고, 붕어의 성질도 이상해지고, 암든 점점 힘든 낚시 입니다. 추천 0 신고 표준맞춤은 찌 영점 맞춤입니다. 바늘 달지 않고 하는 것은 실제 바늘의 무게는 미미하거나, 찌 부력과 봉돌의 무게가 같다면 붕어가 바늘을 흡입해도 이질감을 느끼지 못 할 것 같습니다. 단 비수기에는 이부분도 고려하여 찌 맞춤 합니다. 수심 맞춤은 실제 낚시 가셔서 하는 것으로 수심이 찾으신 다음, 찌를 약 30cm 정도 올린 신 후 영점 맞춤을 하는 것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적용 되는 것 입니다. 일반적인 것은 현장에서 수심이런거 없이 찌 맞춤하듯이 투척 후 영점 맞춤 하신 후 낚시해도 무방 합니다. 찌 맞춤의 섬세함이 조과에 영향을 준다고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인지 요즘 찌 맞춤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됩니다. 예전엔 케미 및 바늘 없이 영점하고 해도 찌 멋지게 올려주었는데, 붕어의 개체수도 줄고, 기타 오래어종도 많아지고, 붕어의 성질도 이상해지고, 암든 점점 힘든 낚시 입니다. 못나니아이디로 검색 11-07-19 18:13 전 수조맞춤을 하고요 줄+찌+캐미+찌스토퍼고무+찌고무+봉돌만 달고 찌맞춤 합니다. 캐미기준 찌맞춤이 아니고 찌탑한마디 기준입니다. 여러가지 찌맞춤법이 있으니 다른분 말씀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신고 전 수조맞춤을 하고요 줄+찌+캐미+찌스토퍼고무+찌고무+봉돌만 달고 찌맞춤 합니다. 캐미기준 찌맞춤이 아니고 찌탑한마디 기준입니다. 여러가지 찌맞춤법이 있으니 다른분 말씀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탄스리아이디로 검색 11-07-20 09:26 줄, 찌스토퍼고무, 찌고무등도 부력에 영향을 주겠네요. 그런데 왜 바늘은 안매달고 하신지요? 찌탑 한마디 기준이라 하심은?? 어느정도 물위로 올라온 상황인지요? 추천 0 신고 줄, 찌스토퍼고무, 찌고무등도 부력에 영향을 주겠네요. 그런데 왜 바늘은 안매달고 하신지요? 찌탑 한마디 기준이라 하심은?? 어느정도 물위로 올라온 상황인지요? 국민신수향아이디로 검색 11-07-20 17:41 어렵기보다 그냥쉽게 하셔서 하시는게 젤좋은방법이에요 표준찌맞춤 저는 캐미만달고 바늘안달고 추비슷하게마춰서 무거우면 깍던지 가벼우면 좀무게있는걸루 마춤시에 수조통에 캐미만나오게해요 캐미만딱나오게마추시면 캐미고무는 수면에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캐미만 수면위루 1마디딱나오죠 ㅎㅎ 멋지게 찌올립니다 추천 0 신고 어렵기보다 그냥쉽게 하셔서 하시는게 젤좋은방법이에요 표준찌맞춤 저는 캐미만달고 바늘안달고 추비슷하게마춰서 무거우면 깍던지 가벼우면 좀무게있는걸루 마춤시에 수조통에 캐미만나오게해요 캐미만딱나오게마추시면 캐미고무는 수면에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캐미만 수면위루 1마디딱나오죠 ㅎㅎ 멋지게 찌올립니다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하얀부르스아이디로 검색 11-07-18 15:58 수편마춤하신듯하네요.. 월래 바늘은 바닥에 닿기 때문에 무게에서 죄외시키는 부분입니다. 잘 마추신거 같네요. 그러나 현장가시면 한번더 마춰줘야 합니다. 현장과 수조는 수압이 틀리고 밀도도 틀리기 때문에 수조마춤은 항상 현장가면 무거운 마춤이 됩니다. 현장가서 다시 정밀 마춤하셔야합니다..
allbaemi아이디로 검색 11-07-18 17:36 영점맞춤은 보통 바늘없이 하는게 맞습니다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부드럽게 입수한 뒤 1. 케미가 수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거나 2. 케미 중간쯤 나오게 하거나 3. 아님 케미다 다 드러나도록 맞추는 거죠 만일 찌가 물속으로 들어간다거나(무거운 찌 마춤) 한마디 혹은 2마디 이상 나오게 되면 마이너스 찌마춤이 됩니다. 한겨울 예민한 찌마춤(이경우에는 보통 마이너스 찌마춤을 많이 하더군요)이 아닌 이상 위 1, 2, 3 어느 경우이든 붕어가 찌를 들 어 올리는데는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무거운 찌마춤 포함) 다만, 마이너스 찌마춤이 되지 않도록 주의만 하면 될 듯합니다. 님의 경우 바늘을 달았을 경우 찌가 가라앉는 걸 보니 상당히 저부력 찌인 듯 합니다만 그정도면 낚시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 단됩니다 단, 수조가 아닌 현장에서 찌마춤하게 되면 더욱 정확하겠지요 나머지는 고수분께 패스~~
이오빠거칠어아이디로 검색 11-07-18 19:07 영점 맞춤을 하신후 ,,,수조 속에서 수심을 맞추시고 살펴 보신건가요? 올리신 글만으로는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찌마춤은 바늘 빼고 하시고..현장에서 낚시 하실때는 수심 마춤을 잘 하셔야 합니다..
탄스리아이디로 검색 11-07-19 09:41 윗분 표준마춤과 수심마춤의 의미를 다시한번 설명 부탁드립니다. 낯케미는 꼽고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수면에 닿게 영점조정을 해놨는데 바늘을 다니까 바늘의 무게때문인지 가라앉아서 다시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정상인가요.
골든이글아이디로 검색 11-07-19 11:25 표준맞춤은 찌 영점 맞춤입니다. 바늘 달지 않고 하는 것은 실제 바늘의 무게는 미미하거나, 찌 부력과 봉돌의 무게가 같다면 붕어가 바늘을 흡입해도 이질감을 느끼지 못 할 것 같습니다. 단 비수기에는 이부분도 고려하여 찌 맞춤 합니다. 수심 맞춤은 실제 낚시 가셔서 하는 것으로 수심이 찾으신 다음, 찌를 약 30cm 정도 올린 신 후 영점 맞춤을 하는 것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적용 되는 것 입니다. 일반적인 것은 현장에서 수심이런거 없이 찌 맞춤하듯이 투척 후 영점 맞춤 하신 후 낚시해도 무방 합니다. 찌 맞춤의 섬세함이 조과에 영향을 준다고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인지 요즘 찌 맞춤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됩니다. 예전엔 케미 및 바늘 없이 영점하고 해도 찌 멋지게 올려주었는데, 붕어의 개체수도 줄고, 기타 오래어종도 많아지고, 붕어의 성질도 이상해지고, 암든 점점 힘든 낚시 입니다.
못나니아이디로 검색 11-07-19 18:13 전 수조맞춤을 하고요 줄+찌+캐미+찌스토퍼고무+찌고무+봉돌만 달고 찌맞춤 합니다. 캐미기준 찌맞춤이 아니고 찌탑한마디 기준입니다. 여러가지 찌맞춤법이 있으니 다른분 말씀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탄스리아이디로 검색 11-07-20 09:26 줄, 찌스토퍼고무, 찌고무등도 부력에 영향을 주겠네요. 그런데 왜 바늘은 안매달고 하신지요? 찌탑 한마디 기준이라 하심은?? 어느정도 물위로 올라온 상황인지요?
국민신수향아이디로 검색 11-07-20 17:41 어렵기보다 그냥쉽게 하셔서 하시는게 젤좋은방법이에요 표준찌맞춤 저는 캐미만달고 바늘안달고 추비슷하게마춰서 무거우면 깍던지 가벼우면 좀무게있는걸루 마춤시에 수조통에 캐미만나오게해요 캐미만딱나오게마추시면 캐미고무는 수면에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캐미만 수면위루 1마디딱나오죠 ㅎㅎ 멋지게 찌올립니다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으면 그게 맞을겁니다.
월래 바늘은 바닥에 닿기 때문에 무게에서 죄외시키는 부분입니다.
잘 마추신거 같네요.
그러나 현장가시면 한번더 마춰줘야 합니다.
현장과 수조는 수압이 틀리고 밀도도 틀리기 때문에 수조마춤은 항상 현장가면 무거운 마춤이 됩니다.
현장가서 다시 정밀 마춤하셔야합니다..
어차피 현장에 가서 찌를 다시 맞추어야한다는 얘기군요.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부드럽게 입수한 뒤
1. 케미가 수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거나
2. 케미 중간쯤 나오게 하거나
3. 아님 케미다 다 드러나도록 맞추는 거죠
만일 찌가 물속으로 들어간다거나(무거운 찌 마춤) 한마디 혹은 2마디 이상 나오게 되면 마이너스 찌마춤이 됩니다.
한겨울 예민한 찌마춤(이경우에는 보통 마이너스 찌마춤을 많이 하더군요)이 아닌 이상 위 1, 2, 3 어느 경우이든 붕어가 찌를 들
어 올리는데는 크게 지장이 없습니다(무거운 찌마춤 포함) 다만, 마이너스 찌마춤이 되지 않도록 주의만 하면 될 듯합니다.
님의 경우 바늘을 달았을 경우 찌가 가라앉는 걸 보니 상당히 저부력 찌인 듯 합니다만 그정도면 낚시하는데 지장이 없을 것으로 판
단됩니다 단, 수조가 아닌 현장에서 찌마춤하게 되면 더욱 정확하겠지요
나머지는 고수분께 패스~~
올리신 글만으로는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네요,,
찌마춤은 바늘 빼고 하시고..현장에서 낚시 하실때는 수심 마춤을 잘 하셔야 합니다..
낯케미는 꼽고 바늘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찌가 수면에 닿게 영점조정을 해놨는데
바늘을 다니까 바늘의 무게때문인지 가라앉아서 다시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정상인가요.
바늘 달지 않고 하는 것은 실제 바늘의 무게는 미미하거나, 찌 부력과 봉돌의 무게가 같다면
붕어가 바늘을 흡입해도 이질감을 느끼지 못 할 것 같습니다.
단 비수기에는 이부분도 고려하여 찌 맞춤 합니다.
수심 맞춤은 실제 낚시 가셔서 하는 것으로
수심이 찾으신 다음, 찌를 약 30cm 정도 올린 신 후 영점 맞춤을 하는 것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적용 되는 것 입니다.
일반적인 것은 현장에서 수심이런거 없이 찌 맞춤하듯이 투척 후 영점 맞춤 하신 후 낚시해도 무방 합니다.
찌 맞춤의 섬세함이 조과에 영향을 준다고들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인지
요즘 찌 맞춤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됩니다.
예전엔 케미 및 바늘 없이 영점하고 해도 찌 멋지게 올려주었는데,
붕어의 개체수도 줄고, 기타 오래어종도 많아지고, 붕어의 성질도 이상해지고,
암든 점점 힘든 낚시 입니다.
줄+찌+캐미+찌스토퍼고무+찌고무+봉돌만 달고 찌맞춤 합니다.
캐미기준 찌맞춤이 아니고 찌탑한마디 기준입니다.
여러가지 찌맞춤법이 있으니 다른분 말씀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런데 왜 바늘은 안매달고 하신지요?
찌탑 한마디 기준이라 하심은?? 어느정도 물위로 올라온 상황인지요?
표준찌맞춤 저는 캐미만달고 바늘안달고
추비슷하게마춰서 무거우면 깍던지 가벼우면 좀무게있는걸루
마춤시에 수조통에 캐미만나오게해요
캐미만딱나오게마추시면 캐미고무는 수면에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캐미만 수면위루 1마디딱나오죠 ㅎㅎ 멋지게 찌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