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낚시같다가 도저히 답이 안나와서 도움 받으려고함니다
2호 카본이고요 원봉돌 3호정도 쓰고 있습니다
찌 맞춤은 케리 1/3 정도 맞처서 사용하고요 (바늘빼고요)
떡밥 달고 투척~ 찌가 서서히 내려감니다.. 그리고 잠김니다...
그리고 다시 나옴니다 유동체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동체비를 쓰고 있고요.. 답이 몰까요?
"쎄게 후칭(후킹? 챔질?)하면 고리에 찌고무가 낄때가 있으니깐요" 라는 말을 잘 이해를 못하겠는데요.
하나유통할인마트님께서 하신 말씀은 원줄과 원줄에 끼워져 있는 찌고무의 구멍이 서로 원활하지 못해서(즉, 걸려서..)
그런것 아니냐는 말씀같구요. 은아아빠님 말씀은 잘 이해가 안되네요.
찌고무고리에 찌고무가 낄 수는 없으니까요.
흔히 있는 일입니다. 유동채비에서 원줄과 찌고무 고리부분의 마찰로 인해, 봉돌이 내려가면서 찌까지 함께 잠기지요.
속도차이 입니다.
봉돌이 안착이 된 이후에는 다시 오릅니다. 낮은 수심에서는 이런현상이 없을 겁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 심하고, 유동을 많을수록 심합니다.
찌의 유동을 적게 주면 덜한데. 밤에 줄잡기 편하도록 깊은 수심에서 찌를 봉돌 가까이 까지 유동시키지요.
투척할 때마다 잠기면 뭔가 잘못되었나 의심스럽고 계속 잠겨있지 않을까 좀 불안하지요.
낚시에는 별 지장은 없는데...
1. 원줄 호수를 줄인다. 찌고무 고리경을 크게한다.
2. 찌 유동을 적게 준다.(큰 영향)
3. 사선 입수를 줄이고 수직입수에 가깝게 투척한다.
(줄을 쭉 펴서 투척/안착시키지 말고, 포물선으로 투척하여 되도록 안착지점에 가까이에 투척)
원줄이 유동찌를 통과할때 원할하게 통과하지 몾하고 봉돌이 내려갈때 딸려 내려가는 현상입니다.
원줄이 굵어서 구멍을 통과할때 걸림 현상이 있거나
파머 또는 줄이 찌멈충 고무로 인하여 훼손됏을때 그런 현상이 나오더군요
2호줄 정도면 어떤 찌고무 구멍도 수월하게 통과합니다
줄이 파머나 훼손 됏을 경우일 겁니다.
이럴경우 밑에 찌멈춤 고무를 많이 올려서 유동 유격을 거진 없게 만들면 그런현상이 사라집니다.
단순하게 글로만 봤을때 찌가 수면으로 서서히 들어갔다가 서서히 올라온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리자면
유동채비를 쓰면 원줄과 유동찌고무의 유동(움직임)이 원할하지않아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쉽게 설명해서 원줄은 굵은데 유동찌고무고리(원줄통과하는고리)가 작아서 원줄에 걸림때문에 그렇습니다.
유동찌고무를 조금더 큰것을 사용해보심을 권해드립니다.
투척후 찌가 섰서 낚시대 쪽으로 서서히 오면서 잠김니다 .
중간쯤에는 완전히 잠겼다가 마무리(찌가 월래 서야할자리)에는 잠겨있던 찌가 다시 올라 옴니다 ;;
제가 말 주변이 없어서리... 죄송함니다
하나유통할인마트님께서 하신 말씀은 원줄과 원줄에 끼워져 있는 찌고무의 구멍이 서로 원활하지 못해서(즉, 걸려서..)
그런것 아니냐는 말씀같구요. 은아아빠님 말씀은 잘 이해가 안되네요.
찌고무고리에 찌고무가 낄 수는 없으니까요.
속도차이 입니다.
봉돌이 안착이 된 이후에는 다시 오릅니다. 낮은 수심에서는 이런현상이 없을 겁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 심하고, 유동을 많을수록 심합니다.
찌의 유동을 적게 주면 덜한데. 밤에 줄잡기 편하도록 깊은 수심에서 찌를 봉돌 가까이 까지 유동시키지요.
투척할 때마다 잠기면 뭔가 잘못되었나 의심스럽고 계속 잠겨있지 않을까 좀 불안하지요.
낚시에는 별 지장은 없는데...
1. 원줄 호수를 줄인다. 찌고무 고리경을 크게한다.
2. 찌 유동을 적게 준다.(큰 영향)
3. 사선 입수를 줄이고 수직입수에 가깝게 투척한다.
(줄을 쭉 펴서 투척/안착시키지 말고, 포물선으로 투척하여 되도록 안착지점에 가까이에 투척)
전층낚시에서는 유동을 아주 적게 주거나, 거의 주지않기 때문에 이런현상이 전혀 없습니다.
제가 아는 범위내에...
물론 흔하지는않지만요.
이유는 찌멈춤고무가 둥근형이아니고 막대형처럼 가는것을 쓸때거나
아니면 유동찌고무(원줄고리부분)이 작은걸 사용하면 그렇게 됩니다.
그리고 위에 글로만봐서는 애매해서 댓글은 단것인데.
은아아빠님댓글을 다시보니 제가 설명드린부분이 맞네요.
굳이 유동찌고무가 작거나 라인이 굵어서 그런현상만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마찰로 인해서 어쩔수 없이 그런현상이 나타납니다.
아니면 저부력찌이거나, 찌맞춤 때문에도 그런현상이 나타납니다.
유동찌고무중에서 유동이 원활한 제품들도 많습니다.
그런제품들을 써보시면 위에 질문은 해결되실것으로 생각이드네요.
줄에 기스났거나 유동찌고무를 움직이면서 약간의 파마가 생겼을때 그런 현상이 생깁니다...
한마디로 고리에 뭔가가 걸릴때 주춤하는 현상입니다..
그런현상이 생기는걸로알고있습니다
아니면 유동찌이지만 유동을 시키지 않으면 됩니다
또한 목줄이 탄력을 받는 부분도 있기에 입수시 봉돌의 무게로 내려가는 도중 부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론상으로는
그렇지 않아야 하는데영점맞춤이나 마이너스 맞춤시에도 바늘이 바닥에 닿을때 목줄이 휘어짐과 동시에 살짝 잠귀었다가
복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경우 목줄을 좀더 부드러운 줄로 바꿔주시거나, 찌매듭을 올려서 찌가 약간 눌리게 사용하시면
좀 나아 집니다.)
조금 가벼운 찌 맞춤이문제기있는듯합니다~~~???
윗사진같은 경우 원줄이 꺽이면서 그런 현상이 보이곤 합니다
아랫사진처럼 저런 형태는 그런현상이 없더군요
원줄이 굵어서 구멍을 통과할때 걸림 현상이 있거나
파머 또는 줄이 찌멈충 고무로 인하여 훼손됏을때 그런 현상이 나오더군요
2호줄 정도면 어떤 찌고무 구멍도 수월하게 통과합니다
줄이 파머나 훼손 됏을 경우일 겁니다.
이럴경우 밑에 찌멈춤 고무를 많이 올려서 유동 유격을 거진 없게 만들면 그런현상이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