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길이 55cm 에 8호 봉돌 찌로 떡밥낚시 가능 할까요?

3.6칸대에 제목과 같은 찌를 사용할려고 하는데요. 가능 할까요?지금까지 기껏해야 50cm에 5호 붕돌 사용 해왔거든요. 찌맟춤은 현장 찌맟춤으로 캐미 약 절반정도 내놓고 사용할려고 합니다.이봉 채비 입니다. 모노 3호줄이고요. 답변에 미리 감사 드립니다.

36에 8호 봉돌이면 오히려 투척에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특히나 떡밥낚시라면 긴대에 고부력은 추천드리고싶지 않습니다
봉돌 호수보다는 현장에 가셔서 여러가지찌 달아서 던져보시면 대 발란스에 맞는 찌가 있을겁니다
제 경우에 예를 들어 말씀드린거니 다른 고수님들의견 참고하시고 즐낚하세요^^
충분히사용가능합니다^^ 8호봉돌이라해서 이물감이심하고 무거워서 못드는거아닙니다.
1호봉돌 10호봉돌 둘다 똑같이 영점맞춤한다면 단지 봉돌크기차이뿐이지 물속에서의 침력은 똑같습니다. 봉돌때문에 앞치기가힘드시다면 분할하셔서쓰시는것도 좋습니다.
예를들어 8호찌사용하는데 무거워서 앞치기에오히려 방해된다.싶으시면 3호+5호.또는2호+6호 이렇게 고리봉돌로분할하셔서 사용하시는것도 좋은방법중한가지입니다.
가능합니다. 찌맞춤에 의해 침력은 똑같은데 이물감은 확실히 틀립니다. 8호봉돌 월봉돌채비로 찌올림을 못보는건 아닙니다. 다만 시원한 입질이 조금 한다는 차이밖에 없습니다.
앞치기는 경질 낚시대에 튕기는 느낌이 아닌 진자운동으로 날려보내는 느낌으러 캐스팅 하시면 잘됩니다. 그리고 원줄길이 많이 짧아야 할겁니다. 그런데 질문하신것처럼 떡밥낚시를 하신다면 수심이 깊어 반스윙하지않고 풀스윙하신다면 많이 힘드실겁니다.(이건 순전히 본인 경험입니다. 글허지 안은 분도 계시겠지요) 만일 떡밥낚시를 하신다면 분할봉돌로 채비를 하시는 것이 찌올림과 조과에 차이는 분명히 있으실겁니다.
그리고 만일 분할봉돌채비라 가정하고 찌탑이 얇은 8호봉돌찌라면 예민함은 저부력채비보다 좋은거 같습니다. 수초찌처럼 뚜껍다면 많이 둔하실겁니다.

마지막으로 8호봉돌 낚시하다 잘못하여 캐스팅이나 회수시 옆낚시대나 받침대 때리면 가끔 망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천안배스터줏대감님 잘못 알고계신거 같습니다...

영점맞을 했다고해서 붕어가 먹이 흡입후 들어올리는 이물감은 봉돌이 무거울수로 많이 느낌니다...

하나는 8호봉돌 영점마춤하시고 다른 한데는 1호 영점 마춤해보시면 입질의 폭이 틀립니다..

이유는 붕어가 흡입후 부력이 깨지면서 이물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저도 아빠또낚시감님 의견에 동감입니다
물론 활성도가 좋을땐 8호봉도 쉽게 들어오리고 예민할땐 1호봉돌도 깔짝거리는 입질로 끝날때가 많습니다
분명한건 봉돌호수에따라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에는 긴 대에 무거운 봉돌은 득보다는 실이 더 많다고 여겨집니다
아빠님께 한수배워갑니다^^사람은 죽을때까지배워도다못배운다는 어르신들말씀이 딱맞는듯하네요^^가르침감사합니다
아빠또낚시가님께 추천 한방입니다.
8호 봉돌 한 마디의 부력과 1호 봉돌 한마디의 부력은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노지에서 1호 봉돌이 좋다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맞는것같아요. 찌 맞추다 보면 봉돌 깍아내죠. 호수에따라 한 마디 잡는 납양이 많이 다릅니다. 저 부력일수록 찌톱이 얇고 한마디마디가 확연히 차이가 많이나죠. 결국 붕어가 물고 올렸을때 한마디라도 느끼는 침력은 차이가 많이나죠. 그냥 올려 봤습니다.
처음 사용하시던 50cm에 5호봉돌이면 딱좋을듯한데요...

8호봉돌이라 사용못하는것은 아니구요...아무래도 조금 저부력이 유리할듯합니다...

전 40센치에 3.4호 정도가 가장무난하드라구요...떡밥낚시는요...

떡밥무게로인하여..44칸가지는 무난히 앞치기됩니다...

떡밥낚시하신다는것을보니... 그리 경질대는아닌듯하네요... 8호봉돌에 떡밥무게까지 가미하면...

앞치기에 역효과가 나올듯한데요~~~

본인이 가장 무난하다 생각하시는 찌와봉돌 사용하시면됩니다...
역기를 물속에서 들어보면 가벼운게 쉽죠
봉돌에 무게는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다만 찌부력이 높을수록 찌마춤을 잘하셔야 됩니다
아차 실수하면 수중에서 봉돌이 떠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물감이 어떻고
수심에 따른 수압이 작용을해서 어떻고
표면 장력이 어떻고
@,.@
낚시가 업이 아닌이상 취미생활하시면서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우끼스리 님에 한표...
봉돌은 ...찌길이를 기준으로 맞춤하는게 아닙니다. 낚시대의 탄성에 따라 다르게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봉돌 크든 작든 붕어가 들어올리는데 별반 차이 없습니다. 물위로 오르는 찌톱의 무게만큼 붕어가 느끼기 때문에...

붕어가 흡입할 때는 차이가 많이 납니다. 붕어가 흡입시 봉돌을 위로 당기는게 아니고 옆으로 당기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가벼운 마춤은 봉돌의 침력을 기준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예민한 마춤은 침력도 가미되야 되겠지만...침력보단 흡입시 봉돌의 끌림을 기준으로 고려하는게 더 정확할겁니다.....

중충도 해봤고 내림도 해 봤지만 바닥낚시가 조과면에서 절대 뒤떨어지지 않습니다. 전 예민한 마춤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채비를 잘 하시면 바닥낚시를 내림보다 더 예민하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현재 사용하는 채비는...원줄 모노경심줄 10호, 목줄 pe합사 6호(원줄보다 더 강합니다)
봉돌 해동고리봉돌 기준 12호-13호를 사용하고 있지만....내림채비보다 더 둔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물론 예민한 채비를 하기 위해선 오랜 경력과 많은 생각, 많은 실전 테스트가 뒤따라야 될겁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