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월척 가족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찌맛춤에 따른 챔질 타이밍이 달라 지는지에 궁금증이 생겨서 경험이 많으신 분들께 도움을 받고져 해서 글을 올립니다
저는 평소에 캐미꽂이 딸깍 하는 마춤을 주로 합니다 제기준은요 세마디 정도에서 서서히(아주 느리게 이단 입수가 되는시점)
내려가서 케미꽂이에 딸깍 하고 걸리는 수준 입니다
이리 했을 경우엔요 제경우엔 피라미나 잡고기가 살짝 살짝 건드리면 낚시 바늘이 낚시대 방향으로 끌려 오드라고요
아마도 카본원줄의 무게로 인해서 가벼운 찌맞춤이 원인 인것 같은데요
끌려 오는것은 져쳐 두고요 챔질을 찌가 충분히 올라 오기전에 일테면 찌탑의 반이 넘는 시기가 되기 전에 챔질을 하면 헛챔질이 많이 나온다는것
인데요 그래서 요즘은 이단 입수가 일어나기 전에 찌 맞춤을 마칩니다
월척 가족 여러분 께서는 이런 경험 없으신지요..?
있으시다면 이곳을 찾으시는 가족을 위해서 경험좀 공유 하시는건 어떠 실련지요
아울러 해결책을 주신다면 더 없는 영광으로 알겠읍니다
더운 일기속에 어복도 좋지만 건강한 모습으로 여름을 지나시길 바라오며 지도 편달을 기다 립니다
추신 2.9 대 나 2.6대 사용 이구요 원줄은 카본 2호 줄이고요 스위벨 이분할 봉돌을 사용 합니다 스위벨은 0.8g 인가요 그걸 사용 합니다
찌맛춤에 따른 챔질 시기가 달라 지나요...?
-
- Hit : 536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카본 보다는 모노줄을 추천 합니다. (이 분활 채비기준)
모노 1.5호 기준 현재 찌맞춤에서 쇠링 중자 1개 추가 하시면 찌가 올라가는
어느싯점 에서도 입걸림이 가능 하리라 봅니다.
==>저는 평소에 캐미꽂이 딸깍 하는 마춤을 주로 합니다 제기준은요 세마디 정도에서 서서히(아주 느리게 이단 입수가 되는시점)
내려가서 케미꽂이에 딸깍 하고 걸리는 수준 입니다 <==== 이부분은 찌의 길이와 부력에 따라서 조금 다른 찌맟춤을 해 보세요.
노지에선 약간무겁게쓰시는게 좋습니다 소자나 중자 쇠링추가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전 카본2호 목줄 모노1.5 내지는 당줄 2호 찌맞춤은 케미꽂이 살짝보이게 맞춥니다 제 생각엔 노지에선 이상태가 안정적입니다.
챔질 시기는 떡밥은 살짝만 올려도 챕니다
생미끼는 충분히 찌올림 보시고 채시면 됩니다
봉돌이 안정적으로 안착이되어야 좋은 찌올림을 볼수있습니다.
찌맞춤의 결과에따라챔질타이밍이 달라지는것은 아니며 그날, 그시간의 활성도에따라 찌오름의 높고낮음의 변화가생기며 단한번의 찌맞춤으로 모든것을 해결하려하는것은 좋은방법이 아닙니다.
활성도에따라 때로는 가볍게 때로는 무겁게 때로는 중간. 활성도에변화하는 입질폭에따라 쇠링을 가감하면서 적용시켜야합니다.
한번 맞추어 주면 접을때 까지 그냥 햇거든요 집어제와 먹이만 점성과 비율을 조절해 주었고요
점성에 따라서 입질도 달라 지는것 같아서요
좀더올라온후에챔질하시거나 그래도 헛챔질이다면 채비를좀더무겁게가세요. 살짝무거운채비가카본줄일경우 오히려 득이많습니다.
찌맞춤과같이 때로는 부드럽게 때로는 찰지게 변화를 주어야합니다.
특히 양어장붕어들은 까탈스러워 어분을잘않먹으면 구르텐으로 변화를 줘보고, 어분과구르텐혼합으로도 사용해보면서
변화를 시도해보면 잘먹는 미끼를 찾을수있습니다.
양어장 전문으로 다니시는분들은 미끼밥만 보통 3`4가지 준비해놓고 시작합니다.
시시각각변화하는 못된짜장붕어의 입맛맞추기가 힘들때가 많습니다.
보통일반낚시인들 대부분은 한번맞춤으로 시작하고 끝내지만 좀더 좋은찌올림을 보실려면 쇠링을 이용하는방법을 잘이용하시면
쫗은 찌오름을 보실수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