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 문의드립니다

초보라서 전문용어도 잘모르고 찌맞춤에 항상 의문이 생겨 문의좀 드릴게요 선배조사님들이 글을 올린거를 봤습니다 답변중에 1. 수심측정과 찌맞춤은 아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 찌탑의 반이 나오도록 수심측정 하구요. - 그 다음은 찌를 40cm 정도 아래로 내려서 빈바늘 채비를 투척 후에 봉돌을 가감해서 케미 끝이 수면과 일치하도록 합니다(표준찌맞춤) 2. 원줄의 종류와 굵기, 수심, 수온 및 흐름의 유무에 따라 변화를 주고 있구요... 3. 예민한 찌맞춤 후에 찌탑을 1~2마디 내 놓고 낚시하는 방법도 있구요... 이런방법이 있더라고요 1번의 방법 물어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찌탑의 반이 나오게라고 있는데 이거는 찌몸통 위에 찌를 말하는거죠? 이게 중간정도 보이게 하고 찌를 40센치 아래로 내리라고 하셨는데 이렇게 하면 찌가 물에 잠기는 거죠? 그상태에서 케미 꽂는 부분이 보이게 끔 봉돌을 깍으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제가 스위벨채비라는 동영상을 보고 따라해봤는데 수조에서 케미꽂이가 살짝나오게끔 맞추고 저수지가서 찌를 던져봤는데 수조에서는 아주 천천히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저수지에서는 찌 입수가 많이 빠르더라고요 그래서 무거운가 해서 봉돌을 많이 깍아서 천천히 입수 되게끔 했거든요 혹시나 이렇게 깍아서 스위벨이 바닥데 안착이 안되고 뜨는가 해서요 그럼 안돼잖아요 찌 부력은 봉돌 7호정도에요 채비는 스위벨이고요 바늘없이 했습니다 이건 잘못 된건가요? 정말 두서없지만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일단 두가지 모두 맞게하셨고요
스웨벨채비에서 뜨는게 걱정되시면 쉐링을 하나 채워보세요
그럼 바닦에 안착상태를 알수있을겁니다
그리고 낚시하실때는 한목반에서 두목정도 찌탑을 올라오게
하신상태에서 낚시하시면 됩니다
수조에서는 천천히 찌가 천천히 올라와서 찌케미에 맞았는데 저수지에서는 빠르게 입수해도 깍지말고 그냥 해도 된다는 말이죠?
아뇨 수조에서 맞추었다해도 낚시터가서 위에한대로 다시해서 현장맞춤을 해야합니다.위 과정을 빨리하려고 수조맞춤을 하는거고요 현장에선 대부분 무거운찌맞춤 형태가 정상입니다.
그럼 저수지가서 오링을 달았다면 오링을 빼고 아니면 오링이 없이 했다면 봉돌을 조금 깍으던지 해야 되나요?
네.. 다만 꼭 그렇게 해야 하는건 아닙니다. 잡어가 많거나 대류가 심하다면 오히려 예민한 맞춤이
해가 많아집니다. 바람이나 물흐름도 영향을 미치겠죠. 저같은 경우, 수조맞춤을 반목 정도로 약간
가볍게 합니다. 현장가면 가급적 봉돌에는 손 안대고 쇠링으로 조절합니다. 캐미반까지는 무시하고
그냥 한목정도 올려서 낚시합니다.
일단 오링1~2개는 기본적으로 끼워두시는게 다른 낚시터가서도 가감시에 조금편리하실겁니다.사용하시다가 너무 예민하다거나 대류시에 또는 전자캐미 사용시에도 봉돌깍지않고 쇠링으로 조절하시면 편리합니다.
현장맟춤! 머리 아프게 생각하지마시고 1.바늘빼고 찌를 봉돌쪽으로 이빠이내린다음 투척 2.조금씩 봉돌 깍으면서 계속투척 3.반복하다보면 케미윗대가리가 보이면 바늘끼고 수심찾아서 낚시 하시면됩니다. 어렵게 생각마시고 편하게 생각하세요 이정도면 가볍지도 무겁지도않은 평균적인 찌맟춤이고 여기서 조금씩깍아서 케미가절반정도 보이게 맟추면 가벼운 찌맟춤으로 양식장에서 주로 쓰고요..
수조 찌맞춤이 현장에서는 무겁게 나타납니다.
맞춤은 어디서나 같고요.
저도 고수는 아니지만 찌맞춤에 대해서 조언드릴게요
일단 수조에서 바늘빼고 케미꽂이까지 맞추었다 가정합니다.

질문1 "찌탑의 반이 나오게라고 있는데 이거는 찌몸통 위에 찌를 말하는거죠?"
맞아요 찌탑부분을 말하는겁니다
던지고자하는 위치의 수심측정하기위해서 입니다. 수심이 2m이내라면
평소 자기몸 길이를 알아두는게 좋아요 배꼽까지 얼마, 턱까지 몇cm.
채비회수후 봉돌을 바닥에 닿게하고 수면과 만난 찌탑부분을 오른손으로 잡고
자기키에 대봅니다
얼추 수심측정이 가능하죠

질문2 "찌를 40센치 아래로 내리라고 하셨는데 이렇게 하면 찌가 물에 잠기는 거죠? "
당연히 수심보다 40센치 원줄이 짧아졌으므로
찌는 물속에 꼬르륵 잠기거나 케미가 물표면에 잡혀있습니다.

이제 봉돌을 깍아 4칸대에 케미끝수면일치, 3칸대 캐미중간, 2칸이하 케미하단에 맞추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카본원줄무게를 감안해야 하기때문에 대길이에 따라 찌맞춤이 달라지는 거죠

부연설명) 엄밀히 따지자면 40cm 내리는것도 정확한 표현이 아닙니다 (찌길이포함 수심41cm 에서나 맞는거죠)
장대 48칸, 카본원줄 ,수심 3m에서 낚시한다고 가정합시다 .
찌맞춤 어떻게해야할까요?
낚시하고자하는 위치, 정확히 그곳의 수심을 측정한 후
찌를 2.9m 까지 내려서 이후 봉돌을 깎아야 맞습니다 (최후에 봉돌은 바닥에서 10cm 떠있겠죠)

눈치채셨겠지만 장대로 갈수록, 수심이 깊을수록 원줄무게(초릿대에서 찌까지 원줄길이와
찌에서 봉돌까지 수직길이) 감안해서 무겁게 맞추는 것입니다.

상도동님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셧길 바라며 안출하시고 워리 상면하세요
추가로 하나더..
질문3
"혹시나 이렇게 깍아서 스위벨이 바닥데 안착이 안되고 뜨는가 해서요 그럼 안돼잖아요
찌 부력은 봉돌 7호정도에요 채비는 스위벨이고요 바늘없이 했습니다
이건 잘못 된건가요? "

잘못된거 아닙니다. 케미꽂이까지 나올정도로 깍아도 스위벨은 안착됩니다.
단 찌탑마디가 보이면 너무 가벼운겁니다. 조류 바람에 흐를 수있으니 좁쌀봉돌이나 쇠링을 추가해주세요
미세조절 어려우시면 짧은대이던 긴대이던 수심이 깊던 얕던 노지니까 .케미끝이 보일정도로만 찌맞춤하세요

스위벨채비 자체가 가볍고 예민한채비입니다. 스위벨 5호(0.8그람)에 본봉돌 10호쓴다고 고부력채비인가요 ? 아니죠
0.8그람 봉돌의 저부력찌쓰는 것과 같습니다. 다른게 있다면 10봉돌 관성력이 있냐없냐의 차이일뿐..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