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들...
찌맞춤시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을 올려드립니다.
저는 찌맞춤시(케미장착후) 케미꽂이 상단이 수면에 일치하거나, 캐미 상단 끝이 수면에 일치하도록 찌맞춤을 합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케미꽂이 상단이 수면에 일치하기는 하나, 그 과정이 아래와 같이 두 가지의 경우가 있었습니다.
1) 수조통에 입수시 찌가 서서히 가라앉아 수면에 일치하는 경우.
2) 수조통에 입수시 찌탑이 물속으로 잠수후 수면위로 노출 다시 잠수 후 다시 수면위 노출을 반복하다가 결국 수면에 일치...
위 1) 2)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어느것이 더 좋은 맞춤인지...
이러한 행태를 보이는 찌의 품질은 어떤것인지.. 등등...
답변 부탁드립니다.!~
찌맞춤 질문드립니다...
-
- Hit : 551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찌의 품질이라고 보다는 찌의 자중(무게)과 부력이 작용하는 L/T이 생기나봅니다.
찌 자중이 무거운데 몸통모양에 따라 부력이 서서히 작용한다면 당연히 우선 입수했다가 부력으로 올라오겠죠
찌모양이 지무게를 서서히 버텨주며 내려간다면 1번이 되겟죠
제 생각입니다. ^^ 즐낙요
어차피 찌맞춤은 어느것이 맞다고 장담할수는 없지만 아무래도 조금의 확률을 더높이려면
조금 예민하게 맞추는1번이 좋을것도 같네요.
저같은경우는 원줄카본4호이상으로 떡밥낚시하기때문에 현장맞춤은 하지않고
수조에서 1번 맞춤보다 조금 예민한 케미달고 아주 천천히 내려와서 케미고무잡히게 찌맞춤하고
현장에서는 찌탑2~3마디 내어놓고 낚시 합니다.
찌맞춤이 제일 어려운것같네요..참고하세요~
제생각으로는 1번이나 2번이나 노지에서 활성도 좋을때 쓰는 기본마춤으로 둔한 마춤으로 생각하구요..
케미 꽂이 위쪽으로는 어느정도 편납을 가감하여도 찌 가라앉음에 크게 크게 차이를 안보입니다..
찌톱을 기준으로 1마디냐 2마디냐 마추는 것을 예민한 찌마춤이라 생각합니다.. 약간만 가감하여도 1두마디가 금새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저는 요즘 봉돌 대충 깎아서 무거운 맞춤합니다.
양어장 안 가구요. 양어장가면 필패거든요.
아직 때가 덜탄 소류지나, 노지가면 이 무섭고 무식한 찌맞춤도 쓸만합니다.
입질 한번 제대로 받으면 몸통까지 올리는데 이 맛에 바닥낚시 하는구나... 합니다.
2) 수조통에 입수시 찌탑이 물속으로 잠수후 수면위로 노출 다시 잠수 후 다시 수면위 노출을 반복하다가 결국 수면에 일치...
위 1) 2)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
1),2)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그 원인에 대한 질문 이신가요?
그렇다면 찌의 순부력의 크기와 채비의 무게...등과 관련이 있으며... 말씀의 방향이... 이쪽은 아니신거 같고...
1),2)의 단순 찌맞춤 차이를 말씀 하시는 것이라면... (같은 찌로 실험하여 보인 현상일때)
실제 낚시에 큰 영향력이 없을 정도의 찌맞춤 차이 이기는 한데요.
2)의 경우 장착한 케미의 성질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커다란 낮케미의 경우 자체부력도 있지만 그보다는 표면장력에 영향도 받는 것 이거든요.
될수있으면 3mm 케미를 장착후 찌맞춤 해주시면 좋겠죠.
말씀하신것만 봐서는 단순한 찌맞춤의 차이인데 미세하게 1)이 가벼운 맞춤인것 같군요.
역시 낚시에 크게 영향을 줄만한 정도의 찌맞춤 차이는 아닙니다.
1)의 경우... 대체적으로 가벼운 소재의 떡밥찌들이 사뿐히 수면에 닿는 경향이 있고
2)의 경우... 삼나무 소재등 비교적 무거운 찌를 쓰거나 할때...(대물찌등은 거의 그 정도임)
마지막으로 2)의 경우 찌의 외관(칠이 깨졌는지...)을 한번 살펴볼 필요는 있겠지요.
그만큼 대단한 실력인듯 ㅎㅎㅎ
장소에 따라 다르겠지만 입질이 약할때는 그래도 2번이고 왠만한 곳은 1번해도 될듯한데....
저는 빨찌가 대부분이고 올림찌는 1번으로 쭈욱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