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찌맞춤이 정말 간단하게 생각하면 쉽다가도 또 다르게 생각하면 어렵고 알다가도 모르겠고
아무리 다른 글을 읽어도 이해가 될듯 말듯 해서 글을 씁니다..
*수조통에서 찌맞춤
그림1번)봉돌에 바늘을 달지않고 찌고무에 찌를 달아 캐미꽂이가 수면에 수평이되도록 봉돌을 깍아줌.
*현장에서 수심측정
그림2번)수조통에서 찌맞춤 한 상태로 노지에서 낚시를할 포인트에 투척후 찌톱이 보이면 수심측정됨.
* 현장 찌 맞춤
그림3번)찌 를 봉돌쪽으로 찌길이만큼 내려서 포인트에 투척후 그림4번) 캐미꽃이가 수면에 보일때 까지 봉돌을 깍아줍니다.
캐미꽃이가 보이면 봉돌이 바닥에서 떠있는 상태이고, 그림5번)찌 맞춤 1번에서 찌길이만큼 내렸으므로
찌길이정도 만큼 올려 캐미꽃이가 보이게 미세조정합니다....
이렇게 제가 알고 있는 수조, 현장 찌 맞춤방법입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것은 그림에 1번처럼 수조에서 찌맞춤시 캐미꽃이 가 수면에 수평이되도록 떠있습니다
그런데 그림 3번에 보면 찌가 물속에 다잠기게됩니다 여기서 제가 매번헤깔리는 것이
그림1번처럼 찌맞춤을 했으면 찌가 물속에 절대로 다잠길수가없는 거아닌가요?? 제가생각하는
것은 그림 4번처럼 떠있어야 되는게 아닌가 하면서 이부분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림 3번에서 4번까지 봉돌을 깍아주게되면 처음 1번그림에 찌맞춤보다 훨씬 가벼워지는 것이
아닌가요.. 이게 현장의 수압등,,,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한 차이라는 글들을 보았는데
그럼 수조통에서는 2.3.4번이 생략되도 찌만 미세조성후 5번그림처럼 되게하면 정확한
찌맞춤이 된것인가요.......
아 제가 글을 쓰면서 몇번이나 헤깔리네요ㅜㅜ이부분에대한 이해를 좀 도와주세요...


양어장이나 손맛터 기준이시죠?
님의 말씀대로 미세조정후 5번 그림처럼 하면 맞습니다
(동절기 하우스 낚시시에는 찌 한마디 맞춤까지도 가능합니다)
허나 찌는 두어마디 보이게 쓰셔야 하구요
가끔 손맛터에서 보면 찌는 잘 맞추어 놓고도 운용을 못하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바닥낚시는 무조건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어야만 멋진 찌올림이 나옵니다
좁쌀 봉돌이던 스위벨이던 암튼 봉돌이 떠 있게 되면
깔짝대는 입질이나 빨고 들어가는 입질 많이 발생 됩니다
그래서 찌맞춤도 중요하지만 운용면에서 자기의 찌맞춤 상태을 알아야 합니다
케미 노출시킬 정도 찌맞춤 하시고 케미만큼 내어놓고 낚시 하시게 되면(수심체크 하셨다 해도)
좋은 입질 보실수 없을겁니다
찌맞춤 너무 신경쓰지 마십시요 빨리 늙습니다^^*
찌움직임이 평균적으로 빠를때는 무거운 찌맞춤 입니다
빠는 입질이 먼저 나오는 빈도가 많다면 가벼운 맞춤 입니다
이정도만 알고 계셔도 대처법을 아시리라 생각 합니다
가끔 양어장이나 하우스를 갈경우 현장에서 마춥니다.. 보통 하나 마추는데 30분 조금 않되게 소용되구요...
수압및 여러가지 영향으로 수조통은 그냥 제외하고 처음에 바늘빼고 수심측정한다음 봉돌을 깍아서 케미꽃이 아래부분 까지 나오게
마추고 한마니 내놓구 낚시합니다.... 그렇게 마춰도 입질이 미약해서 10마리를 못잡는 경우도 있습니다... ㅠㅠ
저는 양어장, 하우스 낚시다니지않구요 노지만나가고있습니다
주로 새우낚시하구요 찌가 예민하고 무겁고맞춤을 떠나서
찌맞춤을 했을때 찌가 물에 다 잠길수가 없는것이 아닌가 하는게 (그림4번처럼...)
제질문의 요지입니다.............
하지만 수조와 저수지에서의 수압차이가 있다고 하더군요,,그 차이에 의해 어느정도 잠수되는게 아닐까요?
초저부력의 찌마춤 경우 1번 같이 마추고 카본사 달고 던지면 가라 앉을 수도 있을것이고 고부력 찌같음 마찬가지로 뜨겟죠..
3번 바늘 달으신건 아지죠?
왜 저렇죠.? 뭔가 이상하네요.. 캐미꼳이 마춤이라면 붕어바늘 6 7호 정도 쌍바늘 달고 던져도 캐미 끝에는 맞을 듯한데요.
저렇게 찌마춤 하시는거보니 양어장 마춤은 아닌듯합니다. 양어장에서 동절기에 저렇게 마추기보단 주로 찌톱마춤하죠...
다른분들도 저렇게 찌마춤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저렇게 바닥찍고 저런과정을 안하는데요?
집에서 대충 마추고 수심 죽인다음에 몇번던져서 찌마춤 확인하고 바로 수심찾아서 낚시합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할때 바늘은 안 달고,
1. 케미 꽂으면 케미상부가 수면에 평행
2. 케미 안 꽂으면 케미꽂이 상부가 수면에 평행
위와 같이 하면 좀 무거운 찌맞춤이라(예전 방식이라고들 하시네요!) 무게가 아주 조금만 더해져도 3번처럼 가라 앉습니다.
현장의 물상황보다 줄의 무게가 훨씬 더 크게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한가지 현상 더,
케미 꽂으면 케미상부가 수면에 평행하게 맞추시고 케미를 빼더라도 케미고무 상부가 수면과 평행하게 되고
케미 안 꽂고 케미꽂이 상부가 수면에 평행하게 맞추시고 케미 꽂으면 가라앉지 않고 케미상부가 수면에 평행하게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을 지 모르겠습니다, 케미 부분이 질문에 언급이 안되어 있어서 요렇게만 올립니다.
수조와 현장은 분명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수조지그라는 용어로 책까지 저술한 분도 계시고요
분당 낚시꾼 김해운이라는 분이구요 김해운의 낚시는 즐거워라는 까페도 운영하고 계시니 놀러 가보세요
http://blog.daum.net/khw7916
정말 질문의 요지에 부합되는 말만 해버린 결과네요
새우낚시만 하신다면 왜 이리 힘들게 찌를 맞추시는지요?
집에서 수조통에서 찌맞춤 하셔서 현장에서 그냥 쓰신다면
무조건 봉돌은 가라 앉습니다^^*
찌를 얼마를 내놓던 무조건 봉돌은 바닥에 닿아 있습니다
카본3~4호줄의 무게만으로도 가라 안고 남습니다^^*
사실상 새우낚시시 찌맞춤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돌맹이 들어가듯이 쑥 들어가지만 않는다면
새우낚시는 예신이 까다롭지만 올라오기 시작하면 거의 입속에 있기 때문에
90%이상은 잡은것이지요
새우낚시시 큰바늘을 쓰는 가장큰 이유는(제경우)
큰바늘은 붕어가 먹기도 힘들겠지만
일단 먹고나면 뱉아 내기도 힘이 듭니다
거의 자동빵이지요^^*(붕춤님 전문을 빼앗아 죄송합니다)
저는 이것저것 다 해보고 이걸로 선택하여 만족 합니다 ...
현장에서 그림 4번과 같이 찌맞춤 하시고 현장에 낚시 할때 그림5번과 같지만
찌를 올려서 한목 보이게 합니다 ...찌 올림이 시원 합니다 ...
수조에서의 원줄의 길이와 현장에서의 원줄의 길이가 다르고(카본일 경우 더욱) 수질또한 다르고,
수조윗부분에 먼지가 많이 떠 있을때 다르고,
부력 6푼 이하의 가벼운찌 일때 표면장력의영향등등 많은 변수가 있고요,
그래서 어떤 방법으로도 수조에서 찌맞춤을 완벽히 끝낼수는 없습니다.
항상 현장 찌맞춤은 필요하단 이야기이고,
너무 교과서적으로 파고들지 마시고 쉬운낚시 하십시요.
물론 이론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 응용이 되겠지만,
언제부턴가 낚시인들이 붕어를 고등동물로 만들어 버렸습니다.^^
채비며, 기법이며, 장비며....이건뭐...외계인 잡는수준..ㅋㅋ...붕어가 그렇게 똑똑한놈은 아닙니다.
찌맞춤을 세밀히 하고 또한 찌 자체에 집착하기보다는 보편적인 수평찌맟춤 한가지 채비로 계절별,상황별 찌놀음을 괄찰하고 잘 파악 하는 노력이 훨씬 만족감을 줄것입니다.
고수님들 자주 하시는 말씀! 찌 끝을 읽어라!
ㅋㅋ...저는 절대 고수아닙니다.^^
어디서 주워들은 얘기만 늘어놓는...반. 풍 수 ㅋㅋ.
인간의 머리가 너무 좋다보니.. 너무 어렵게 생각하고.. 수치화 시키니..
처음 낚시를 배우는 분들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낚시에 있어 가장 쉬운 것이 찌맞춤입니다.
두치붕어가 8호봉돌도 쭉쭉올려주는데 정확한 찌맞춤보다는 붕어마음이 먼전거같네요..
일단 님이 수조에서 맞춘찌맞춤을 그냥 현장에가서 사용하시려 한다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것이 원줄이 카본이여선 절대 안된다는것입니다.
물론 예민한 찌맞춤이 필요없는 낚시의 경우 (대물낚시가 대표적이라 하겠지요) 엔 상관이 없겠으나 양어장이나 손맛터에서 많이 하는 예민한 찌맞춤의 떡밥 낚시의 경우라 가정하면 수조보다 현장의 수심이 깊은경우엔 카본원줄 무개로인해 찌는 잠수를 하게됩니다. 물론 카본이라 해도 2호 미만의 얇은 줄인경우 잠수를 하지는 않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수조에서 맞춘 찌맞춤 보다는 분명 눈에 띄게 케미가 물속으로 잠겨있을것입니다. 떡밥 낚시를 하면서 수조에서 정밀하게 찌맞춤을 하시려 한다면 원줄은 반드시 모노줄을 사용하셔야 할겁니다.
두번째는 5번그림인데요... 바닥낚시의 원리는 최초 찌맞춤한것보다 찌톱을 물위로 더 올려놓아서 그 물위로 올라온 찌톱의 무개로 봉돌을 눌러 바닥에 봉돌이 닿게 하는것입니다.
그렇게 봉돌을 바닥에 닿게 해서 목줄을 바닥에 눕혀 놓아야 멋진 찌올림을 볼수 있구요 또 헛챔질을 줄일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님의 경우(그림이 이해하기 어려워서 그럴수도 있지만) 최초 맞춘찌맞춤과 동일하게 해놓고 낚시를 하신다는것인데 이럴경우 봉돌은 바닥에서 뜨고 바늘만 바닥에 닿게 됩니다 그럼 찌는 올라오는게 아니라 빠는 입질이 표현되고 또 올라오는경우에는 총알처럼 빠르게 올라오게 됩니다. 물론 헛챔질도 많아지구요
떡밥을 이용한 바닥낚시의 경우 자신이 맞춘 찌맞춤보다 반드시 찌탑을 더 물위로 올려놓고 낚시하세요.
가장중요한것은 물위로 올라온부분은 중력에 의해 봉돌을 바닥으로 눌러주는 무개로 작용하고 찌탑 꼭대기에 달려있는 케미의 경우 물에 뜨는 재질이기에 물속에 잠기면 부력에 의해 봉돌을 물위로 당겨주는 부력으로 작용한다는것입니다.
그러기에 대부분의 떡밥찌들이 캐미 바로 아랫부분의 찌탑을 가벼운 카본으로 하고 그것도 모자라 아주 가늘게 만드는것입니다.
(그래야 아주 적은 힘으로 봉돌을 눌러 봉돌은 바닥에 닿으면서 작은힘만 가해져도 찌가 올라갈수있겠지요)
반드시 최초 맞춘 찌맞춤보다는 찌탑을 더 많이 물위로 올려놓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