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바닥떡밥낚시 수평맞춤에 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같은 경우는 수조에서 전자캐미 달고(바늘은 달지 않음)찌고무가 검은색인 경우 찌고무 중간정도 되는 부분정도에서 찌맞춤을
하는데요 수평맞춤시 여러분들은 어떻게 찌맞춤을 하시는지요?
보통 원줄은 카본줄로 2호나 2.5호를 주력으로 사용합니다.
출조하는 곳은 주로 양어장은 전혀 다니지 않고 관리형 저수자를 다닙니다.
1. 저처럼 전자캐미달고 찌고무 중간정도 될 때로 한다.
2. 찌고무는 잠기고 전자캐미가 완전히 보이는 정도에서 찌맞춤을 한다.
3. 전자캐미와 수조의 물이 완전히 수평일때를 한다.
4. 전자캐미가 살짝 보이는 정도일때로 한다.
5. 전자캐미 달고 찌톱 한마디 정도 올라 올때로한다.
6. 전자 캐미달고 찌톱 두마디 정도로 한다.
7. 전자캐미와 바늘을 달고 수조통의 물과 수평이 되게 한다.
보기의 번호로 답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4번으로합니다
노지 다니실거면 가벼워야
떠내려 가기만 합니다
원줄이 카본이라...
맞추어 저수지에서
그대로 사용하네요
4
5
작은도래나 와셔?로
가감하며 사용합니다
추가로 맞춘후 케미를 빼어 몸통과 찌톱연결부위에 수면이일치 하는지 확인,
그렇지않고 다소잠겨있으면 봉돌을 좀더깎아서 맞춘후 다시케미장착후 확인
이때 그위치에서 변화가오면 그찌는 쓰레기통으로.
풍덩보단 조금 가볍다고 할까요 ㅎ
40대이하일경우 원줄의무게를고려했을때적당한찌맞춤입니다.현장에서찌한매듭정도노출하고낚시하면봉돌의예민한안착으로멋진찌올림을볼수있습니다.
맞춘 후 수온, 미끼에따라 현장찌맞춤 한번더 합니다.
이유는 표면장력때문입니다
표면장력안받고 찌맞춤 해보시면 많이 놀라실거에요
물표면장력으로 봉돌차이가 정말많이 생겨요
찌톱만 나올시 장력에 영향이 없겠지요
1.모든...
2.채비를 달고...
3.바닥으로 천천히 내려가서 바닥에 닿자마자 다시 천천히 상승하여 케미꽂이 상단이 수면하고 일치하도록 합니다.
4.이...찌맞춤이 (표준)찌맞춤 입니다.
5.약간 무거운 찌맞춤 입니다.
6.(중후)한 (찌올림)을 볼 수 있습니다.
7.(케미꽂이)하단이 수면하고 일치하면...예민한 찌맞춤 입니다.
찌끝을 볼줄 알면 답이 나옴니다.
현장상황에 맞게끔 좁쌀봉돌로
가감해서 씁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캐미고무 중간쯤이면
요조리봉돌 1번정도물리시면 영점찌맞춤 됩니다.
참고만 하세요~
가벼움의 정도도 차이가 많습니다만. 가벼움도 어느선이 있다봅니다.
너무가벼우면 낚시 피곤해서. 못하지요.
채비안착 문제. 유속에 흐름등등
적당한 맞춤이 좋다봅니다.
캐미 머리만 나오게 맞추는 정도
그리고 중요한건 수조에서 맞춘거랑 저수지현장서 맞춘거랑. 차이 엄청 많다 보시면 됩니다.
현장과는 봉돌 깎는게 차이가 많이 나구요.
수조에서 맞춘걸 현장가면 무겁습니다. 봉돌 한참 더깎아야 될겁니다
예민한 채비안하면. 상관없지만. 꼭. 찌맞춤은 현장 맞춤이 정확하다는걸 반드시 알아두어야 됩니다.
현장서 투척해보면 가볍지 않습니다.
1번으로 해도 찌 잘 내려 갑니다.
5번이 정답이네요,,,
수조에서 5번 마춤으로 현장에서는 수심찿고
1번처럼 정밀 찌맞춤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