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찌맞춤은 낚시대에 줄 매고 찌, 봉돌, 낮 케미 달고 대략 투척을 원하는 지점에서 현장 찌맞춤을 합니다
그 다음 케미꽂의 아주 약간의 검정이 보이면 맞췄다고 보고
수심을 체크 한 후 낚시 바늘을 멥니다
여기서 질문:
제 생각은 찌 맞춤시 수면위의 찌의 보임 상태와
투척 장소의 정확한 수심 체크한 후 낚시 바늘을 달고 수면위의
찌의 보임 상태가 같다고 생각하는데
친구 얘기는 찌가 잠겨 있으면 어신 보기도 힘드니 찌톱 위부분 빨간색은 보여야 하며
찌톱을 보인다고 해서 처음 찌맞춤과 다를게 없다 하는데
어떤게 정확한건가요?
찌맞춤에서 찌톱을 올릴 때
-
- Hit : 412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수심을 체크 한 후 낚시 바늘을 멥니다."
수심을 체크 후 바늘을 달지 마시고 바늘을 포함하여 모든 채비를 전부 갖추고 현장 찌맞춤하십시오.
"찌톱 위부분 빨간색은 보여야 하며" 친구분 말씀은 표면 장력 때문일 것입니다.
즉, 낮케미가 물 속에 있으면 표면 장력이 높고 낮케미가 전부 나와서 찌톱이 보이면 표면 장력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낮케미 검정고무 아래 1cm~2cm 정도 수면 위로 나오게 하는 것이 표면장력에 더 유리합니다.
현장 찌맞춤에서 보통은 낮케미 1/2 또는 수면일치로 맞추고(수심에 따라서)
낮케미 아래 1cm정도 노출하고 낚시를 합니다.
님의 방법대로 찌맞춤하신 상태라면 낮케미 아래 1cm정도 노출하고 낚시하시면 좋습니다.
떡밥낚시는 자주 갈아 줘야 하기 때문에..찌를 올리것이 맞다고 생각되는데
생물 대물낚시에서는 어차피 찌오름을 길게 보기때문에 찌톱이 수면에 잠기어도 괜챦다고 생각됩니다
저는 일부러 찌를 수명에 잠기는 타입입니다...찌만 모이면..대기 상태로 돌입하게 되죠..
낚시 방벙은 정답이 없다고 생각됩니다...
근데, 님의 뒷 구절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예민함이 도를 넘으면 차라리 덜 예민함이 낫다고 볼 수도.....
까만부분이라면 케미꽂이 부분이라 생각됨이고 봉돌이 닿는 '다운딩'되는 현상을 느끼리라 여기면 최상입니다.(바운딩을 못느끼시면 바닥이 옳지않겠죠)
표면장력을 무시하고 활용한다면 장점이 많을 수도....(특히 예신과 야간에는 눈의 피로도를 감안 하셔야겠죠
케미끝만 보이게 할려면 그렇게 찌마춤을 하시면 되는 것이고......
전 떡밥 낚시만을 합니다
양바늘, 무미늘, 2호줄에, 한쪽엔 크게 집어용 다른쪽엔 콩알 미끼용
20번 정도 출조를 했고 현재 마리수는 괜찬은 편입니다
이제는 낚시라는게 정확한 답이 없는건 알지만 궁금해서 묻는 겁니다
낚시의 찌맞춤은 과학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저도 현장 찌 맞춤을 하고 있는데...전 캐미만 수면위에 살짝 보이게 하는 찌맞춤을 한후 사용 합니다.
낚시는 과학 맞습니다^^ 하지만 정석은 없다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