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맞춤의 사각지대

찌맞춤의 사각지대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고기들이 점점 예민해지며 얍삽해 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 채비를 조금 예민하게 맞추어 목줄을 조금 길게 하고 바늘이 겨우 땅에 닿을 만큼 찌 맞춤을 했습니다. 찌맞춤 수족관에서 바늘을 살짝만 들더라도 찌에서 즉각 반응하도록 만들었습니다만,,
찌맞춤의 사각지대 (월척지식 - 전통바닥낚시)
중요한건 바늘이 밑걸림으로 인하여 끊어지거나 채비털림 이후 동일하게 찌 맞춤을 하여도 아래 그림과 같이 사각 지대가 생깁니다 . 좁쌀 봉돌이 안움직일만큼 목줄을(25~30cm)을 아무리 움직여보고 들었다 놓아보아도 찌의 반응이 없어요 무게가 똑같은 좁살 봉돌과 목줄.바늘을 사용하지만 원인은 아마 찌 맞춤에 있다고 생각되는데 고수분들의 아낌없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재밌네요. 바늘만 움직여도 찌가 올라오게 찌맞춤을 했는데 끊어져서 다시 찌맞춤을 했더니 바늘 움직여도 찌가 안올라온다...
어떤 식으로 찌맞춤을 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수족관에서 바늘만 올려도 찌가 올라오게 맞추었다고 해도 그 채비 그대로 현장에서 적용하면 결과가 달라집니다.
일단 수심이 더 깊을테니 찌와 봉돌 사이의 원줄이 길어져서 더 무거워집니다.
찌와 봉돌사이의 원줄이 더 길어져서 무거워 진다는 의미인가요..;; 모노 1.5호줄인데 영향이 클까요 ㅠㅠ

물속을 못보니 ㅠㅠ
저건 내림낚시 잖아요. ^^

현장맞춤 하셔야죠. 빈바늘에 3목정도 노출 하시고,
미끼달고 케미맞춤 하지 않나요?
목줄이 길면 긴 만큼 사각지대가 늘어 납니다..
그기다가 찌 맞춤이 엉터리라면 그날은 말뚝보고 절(조불다)만 하고 오는 꼴이 됩니다~~
위에 채비도는 내림이고 밑에 채비도는 좁쌀바닥인데요?! 내림 채비하시려면 기본 케미랑 바늘까지 다단상태에서 한목내지 삼목까지 찌맞춤하시고 낚시하실때는 미끼달고 한목더내놓코 하시면되구여 밑에 좁쌀바닥은 목줄이 너무기러서 사각이 커지기때문에 목줄길이 5에서 8 정도 맞추시면 되구여 찌맞춤은 영점맞춤이나 케미살짝 보이게 맞추시고 수심찾고 낚시 하시면 될것같아여ㅋ
우선 말뚝왕박방랑님께서 구사하시려는 낚시가 바닥낚시가 맞는지 여쭤봅니다!

첫번째 그림은 앞서 회원분이 말씀하신대로 내림이 되거나 올림이 될 수도 있는 찌 맞춤입니다.

바닥낚시라면 적어도 본봉돌이든 분납봉돌(좀쌍, 스위벨 등)이든 바닥에 안착되어야 할겁니다.

윗 그림 채비가 붕어가 입질을 하면 찌를 올리던 내리든 하겠기에 조과가 좋을 듯 생각하실 수 있지만,

제 사견으로는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더 많다고 생각됩니다.

바늘만 살짝 닿는 형태이기에 수심, 대류, 바람등에 취약해서 바늘마저도 바닥에 안착이 안 될 수 있는 상황이

여러번 발생됩니다.

게다가 미끼를 조금 무겁게 다셔도 미끼의 무게로 사선입수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따라서 찌가 찌맞춤한 높이가 아닌 더 잠길수도 있고, 이 역시 사선입수로 인한 사각지대 또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차라리 아예 바늘을 띄워 내림낚시를 하는게 맞지 싶습니다.


수조통에서 찌를 맞추고 현장에 가서 던져보시면 아무래도 조금 더 무겁게 찌맞춤이 되어 있을 겁니다.

이는 수조통에서의 맞춤과는 달리 전체적인 채비의 무게가 늘어나는 것이 원인이 됩니다.

당연히 원줄 무게 늘어날 거고요 ...

더불어 초리대와 찌 사이의 원줄이 바람, 대류 등으로 옆으로 활모양(모노줄)이 되거나,

아래로 쳐진 활모양(카본)이 되기에 그렇습니다.

1.5호의 모노줄이라 크게 영향이 없지 않게냐?! 하셨지만 1.5호줄이면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명 영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조통에서는 윗 그림의 맞춤이였겠으나, 막상 현장에서는 조금 더 무거워져 아래그림처럼 되기 쉽상입니다.

근데 아래그림이 비로소 바닥낚시인데..아마도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맘이 불편하신듯 합니다!

바닥낚시에서 사각지대는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그저 사각지대를 그나마 줄이기 위해 스위벨, 좁쌀봉돌 사용하시면 목줄길이를 4cm정도로 운영하시는 것이 일반적인듯 합니다.

허나 이런한 사각지대가 생기더라도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현장에서 아랫그림으로 낚시하시는 것이,

윗그림으로 낚시하시는 것보다는 득이 더 많을 겁니다.

만약 확실히 아랫그림으로 낚시를 하시고자 하신다면,

수조통에서 바늘빼고 아랫봉돌이 살짤 바닥에 닿을랑 말랑 하게 찌맞춤 하세요~ 꼭 바늘빼시고요~

그리고 현장가서 수심측정하시면서 던져 보시고 그대로 하셔도 되나,

조금 더 예민하게 하려한다면 조금 봉돌을 깍아주면 될 겁니다.


윗 그림처럼 하신다면 차라리 보다 확실한 내림으로 하시는게 나을듯 싶고요~

글로 쓰자니 많아지네요~ ㅎ

허접하지만 조금이라도 도움 되셨으면 하는 바람으로... 손 맛 많이 보시길 기대하겠습니다^^
수조에서 찌 맞춤해서 목줄 들어보면서 사각지대가 있다고 하는 것은

수조에서 보이는 현상일뿐....... 고기가 입질할때는 그렇게 살포시 들어올리지 않습니다.

수조에서는 윗그림처럼 1자 형태로 정렬됐을때, 바늘끝을 조금만 들어올리면 찌도 올라오지만

아래 그림처럼 아랫봉돌이 가라앉아 있을때는 목줄만 움직여서는 그 어떤 채비도 사각이 발생하는것 처럼 보입니다.

그것을 관념적으로 목줄의 사각으로 간주하지만,물속에서 고기의 입질이 있을때는 사각문제는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바닥에 배깔고 절대 움직이지 않으면서 입만 살짝 갔다대는 맥없는 고기라면 모를까 새우가 와서 건드려도 찌는 반응이 옵니다.

수조 찌맞춤에서 발생하는 사각에 관해 그렇다고 단정하면,목줄을 1센티 이하로 해야 할겁니다.
말씀하신 찌맞춤은 찌톱의 굵기까지 염두에 두어야 할 정도로 상당히 섬세한 작업이 요구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찌맞춤의 핵심은 수조에서 들채로 바늘을 들었을 때 목줄이 휘지 않고 찌가 올라와야 합니다.
목줄이 짧으면 크게 어려운 점은 없는데
이물감을 없애기 위해 목줄을 길게 하면 상승도중 목줄이 휘면서 찌는 상승하지 않습니다.(사각발생)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중간에 좁쌀을 달게 되는데
님의 경우 좁쌀과 바늘의 간격이 너무 큰 듯 합니다.

본봉돌과 바늘과의 길이를 20센치 정도로 하시고
바늘과 좁쌀과의 길이를 4센치 이내로 조정해 보심이 어떨지요.

또한 찌톱은 가능한 가늘어야 하며(중요함)
찌가 상승중 목줄이 휜다면
본봉돌의 무게를 조금씩 줄여나가야 합니다.(정말 미세한 작업 필요)

대개의 경우 찌맞춤이 제대로 되면
찌톱 2마디 정도가 노출된 상태에서 영점이 잡히게 됩니다.

만일 찌톱의 굵기, 전체부력(본봉돌의 무게), 좁쌀 무게, 목줄길이의 조합이 맞지 않으면
찌톱이 지나치게 많이 노출되거나 전혀 영점을 맞출 수 없게 됩니다.

이 채비는 극한 상황에서도 정확한 입질을 표현하지만
그만큼 정성을 필요로 합니다.

참고로 저는 못합니다. ㅠㅠ
찌톱의 굵기....수면위로 내어 놓은 정도....바늘의 무게에 따라 사각이 발생합니다.
별 신통치 않은 채비인디...왜 어렵게 낚시를 하려고 하시는지..
봉돌을 굳이 띄우시려면 분할봉돌은 없애시는게 좋습니다
목줄 사각지대는 붕어가 아닌 사람이 입질할때에나
걱정할 일입니다
기본적으로 찌올림이라는것이 애시당초 이물감을
느낀 붕어가 미끼를 뜯어내려는 시도에서 나오는것이고
그런 움직임의 폭은 생각보다 큽니다
게다가 붕어는 사람처럼 정교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손이 없이 오로지 입만 사용할 수 있으며
미끼를 취할때 이게 함정이다 그래서 안들키게
취해야겠다 라는 생각 자체가 없기 때문에
목줄사각지대인 반원 안에서 절묘하게 움직이지도
못합니다
가장 중요한건 목줄이 몇센티든 펴져있으면
미끼가 바닥에서 뜨면 사선방향의 움직임이 바로
봉돌을 띄웁니다
중요한것은 예민한채비의 특성은 이물감제로화입니다. 사각지대는 걱정안하셔도됩니다. 이물감이없어서 물고이동하기때문입니다. 위와같이 찌맞춤하려는 목적을생각하시기바래봅니다..
무바늘 맞춤과 빈바늘 맞춤의 차이로 느껴지는데요
저렇게 내림가까이 낚시를 하신다면 현장으로 맞추셔야합니다. 현장에서 맞추시면서 진짜 예민하게 만드실경우

동전으로 납을 조금씩 밀어서 깍아서 했던기억도있네요.
음, 미세한 마이너스 채비를 하면 되겠군요.
1. 먼저 현장에서 바늘을 단 채로 찌가 2~3목 나온 상태로 찌맞춤을 합니다.
2. 지우개를 바늘에 달아 수심측정을 한 후,
3. 원래 찌맞춤 상태에서 1~2목 정도로 찌를 더 내리시면 예민한 마이너스 채비가 됩니다.

아마 유료터에서 단련된(?) 붕어를 대상어로 하시는 것 같은데요.
집어가 되고나면 찌 움직임이 지저분해지며, 제걸림이 잘 안되고, 헛챔질이 되는 빈도도 많아질텐데 그 때는 마이너스한 찌의 목수만큼 올려서 하시면 나아질 겁니다.
좋은 추억 많이 만드세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