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맞춤..과연 무엇이며 찌맞춤이 안되면 고기를 전혀 잡을수 없는 것일까요??
몇일동안 찌맞춤에 대해 고심했습니다. 여태까지 내가 해왔던 낚시는 어리버리 였나..
그동안 잡았던 붕어들은 다 눈먼 봉사들이었나하는..
현재 저의 맞춤은 일단 저수지로 갑니다. 봉돌에 바늘까지(2봉)다 달고 찌를 봉돌 최대한 가까이 내리고 던집니다.
그럼 봉돌이 무거워서 쭈~~욱 가라앉죠 그때부터 봉돌을 깍고 던지고를 반복
어느정도 되면 케미가 수면가 수평이 됩니다. 그럼 대략 수심을 감잡아서 찌를 올리고 케미만 딱 나오게 맞춘후 떡밥이나 옥수수를 달고 낚시하죠.
여러분이 봤을땐 지금 저의 낚시가 제대로 된거라 생각하시나요??
지금 저의 봉돌은 바닥에 닿아있을까요???
혹시 아니라면 누가 좀 시원한 해답좀 주세요..여기저기 찾아봐도 간단한 설명이 하나도 없네요.
진짜 물에들어가서 한번 보고싶은 심정입니다..답답
찌맞춤이란 과연 무엇일까요...ㅠ
-
- Hit : 878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4
아니면, 그냥 답답해서 글낚시를 해보실 생각이신지요. ^^
지금 가장 무난한 '표준찌맞춤'을 하고 계시네요.
100% 봉돌은 바닥에 닿겠지만, 가끔 찌부력과 출조지의 여건에 따라 봉돌이 바닥에서 몇 mm 떠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붕어가 없는(혹은 먹이활동 의지가 전혀 없는)곳에서는 그 어떤 낚시대 그 어떤 미끼로도 붕어를 낚아낼 수 없습니다.
지금같이 갈수기에 잘 낚이는 곳으로 출조지를 옮기신다면, 붕어 만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봉돌은 겨울철에 오히려 더 무겁게 먹고, 한여름 고수온기에 더 가볍게 먹습니다.
여름철에 예민하게 맞춘 찌맞춤은 그 상태로 보관했다가 겨울철에 사용하면 봉돌을 더 깎아내야 한답니다.
쫑대(찌)와 봉돌의 무게를 무중력 균형유지
메인글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실전 찌 맞춤이고요
더예민한 맞춤은 찌가 수면에 누운체 벌떡 일어남과 동시에 아주
천천히 내려가지요
자연노지에서 쓰기에는 충분히 예민한 찌맞춤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더 예민하게 만드는건 자연노지의 경우에서는 득보다 실이 많을 것입니다.
입질이라는게 시간대에 따라서도 달라지고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속성을 가지므로
더 예민해야 할 필요가 있을때가 있기는 할지 몰라도
그 시간의 비율은 극히 짧을 것이므로
더 예민하게 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저라면 활성도 좋은 계절의 자연노지에서는
바늘을 달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맞추고
찌한마디 정도 물밖으로 내놓고 낚시 하겠습니다.
수압을 고려하시지 않은 찌 마춤이신 것이지요.
미준님이 수압과 온도를 말씀하셨는데요.
수압은 아래로 갈 수록 높아지며 수압이 높을 수록 봉돌이 내려가거나 올라오게 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수심 채크 후에 봉돌을 10~30cm 정도 낚시를 한다하며
그 봉돌 안착 지점이 급경사나 낭떨어지 지점일 수 있는 점에서 여러번 투척하여
바닦지형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민감한 찌 마춤을 원하신다고 저는 생각하는데
수심이 4~5m 된다면 수압관계에서 님은 찌마춤 수압에서 어떤 다른 방법의 복안이 있으신지요?
물 부력에 따라 다르고 수압에 따라 다르다면
물 부력을 알고있다고 해도 수압을 모르고 낚시를 하시는 것이고 봉돌이 닿는지 여부를 확인하실 수 없으며 찌 몸통 부력에서 찌 톰을 올려야 하는 무게가 되어야하는 것입니다.
수면에 캐미만 나오게 맞추다가 열받아요..ㅎㅎ
얼마만에 들어보는 단어인지..
골팽이님! 쫑대 세대인가 봅니다..
오랜만에 들어보니 반갑네요..
횐님들!! 모두즐건 하루 보내세요..
아마도 새로운 개념으로 다시 다가올듯..
입질에 대한 반응이 찌에 나타나는 것이지 찌로 물고기 유인하는게 아니거든요.
사는거이 절대적인게 없듯이 어떤 채비던 절대적인건 없습니다,.
일기따라 다르고 환경따라 다르고 미끼따라 다르고, 내 기분따라 달라보이고 심지어는 남의떡이 커보이고 머 한도 끝도 없습니다.
수심, 수압, 장소, 물속의 사정 등등등...
지금 그정도 맞춤이면 면 충분하십니다.
결국 자기만족에 도전 하는겁니다.
안정적으로 봉돌이 바닥에 닿습니다
수심이3미터 이상깊거나 32이상 긴대로 갈수록 조금씩 무겁게 맞추면 됄것같네요
찌맞춤 정답이없지만 저는 이렇게 맞추니
찌올림 좋습니다
낚시대 드리우고 자연 속에서 쉬었다가 오는 소위 '나를 낚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너무 복잡하지 않은 채비에
편안한 찌맞춤해서 낚시대 드리워 놓고 고기란 놈이 물어 주면 좋고 아니어도 좋다는 그런 편안한 낚시도 좋지요.
저는 이쪽에도 서 보고 저쪽도 흉내내 보고 하는데 아무리 고기를 잡으려 과학적으로 접근한다하더라도 물속이
목욕탕이나 수영장이 아닌 이상 변수가 너무나 많고, 이러한 개별적 환경에 적응한 현지 붕어를 몇 가지 이론을
적용하여 잡아낸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더군요.낚시대를 그저 풍덩 던져놓는 것이 아니라면 너무 피곤하지 않게
현장 상황에 맞추어 적당히 찌맞춤하고 세상 시름 잠시 내려 놓고 붕어랑 놀다오곤 합니다.
부력이 큰찌라면 봉돌이 닿을수 있겠지만 부력이 적은 찌라면 바늘이 바닥에 닿을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바늘의 크기에 따라서도 봉돌이 바닥에 닿을수도 있고 닿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중요한점 한가지는 바늘을 달지 않고 찌맞춤을 하시면 됩니다.
바늘도 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분명히 침력이 생깁니다.
바늘의 크기가 커질수록 예상외로 많은 침력이 작용하기에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하시면
본인이 생각하는 물속의 채비형태와 물속에 놓여져 있는 채비형태가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찌로서 대상어를 유인하는것이 절대로 아니기에
찌맞춤은 본인이 생각한 채비형태와 실제 찌맞춤후 물속 채비형태가 최대한 같도록 하는것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리고 현장의 특성에 따라서 무거운 찌맞춤 가벼운 찌맞춤 등은 본인이 선택하면 됩니다.
무거운 찌맞춤을 한다고 항상 조과가 떨어지고
가벼운 찌맞춤을 한다고 항상 조과가 우수한것은 아니니까요 ^^
올림낚시(전통 바닥낚시)에서 봉돌이 땅에 닿는지 떠 있는지는 결과적으로 말씀드리면
낚시도중에 찌가 흐를 경우 100% 떠 있는 상황이 됩니다.
그렇지 않고 찌가 한곳에 있다면 - 제 경우 7개의 대를 사용하기에 7개의 찌가 흐르지 않다면 세팅이 잘 된 것이겠지요.
보통 찌맞춤을 어려워하시는 가장 큰 이유는 봉돌이후의 목줄과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하시는 이유 같습니다.(100% 개인적인 생각^^)
수조통에서 봉돌까지 달고 찌맞춤을 하세요.
- 최대한 가벼운 찌맞춤은 봉돌까지만 세팅하고 낮캐미 또는 야간캐미 달고 찌고무 바로 아래까지만 닿도록 찌맞춤
- 찌가 입수할 때 찌고무 아래 5cm정도에서 한번 멈추도록 손으로 잡아주고 천천히 놓아서 수직입수 관성을 없도록 하고
- 원줄을 모노로 하면 줄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고 노지에서 목줄달고 미끼달고 캐미아래 1cm노출하면 봉돌이 땋에 닿아서 대류에 흐르는 경우가 없을 겁니다.
가벼운 맞춤입니다.
^^ 편하게 생각하시고 즐거운 낚시하도록 하세요.
복잡하게 생각하면 끝이 없는것이 낚시인것 같습니다. (어려운 방식인가요? ^^)
80~90%를 메인 봉돌로 하고 물에 떠 있고, 10~20%인 분할봉돌 또는 도래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붕어가 10~20%인 분할봉돌 또는 도래만 움직이면 찌에 반응이 오게 되겠지요.
- 더 복잡하시면 분할봉돌을 생각하지 마시고 최대한 간편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
즐거운 낚시...
단, 2미터권 이상 수심깊은곳에서는 그 찌맞춤은 무거운 맞춤이 되므로 현장맞춤을 다시 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찌탐의 무게로 봉돌을 눌어 마눌이 안정적으로 안착이 되지요 제가 실질적으로 실험한것이고 외봉돌이나 이중봉돌이나 비쓰합니다 그양 속는다생각 하고 믿으세요. 사실이니깐요.
그리고 모노즐은 노지에서는 사용 하지 안는 것이 득이될겁니다. 너무길어지내요 여기서 그만해야지 낚시는 내가 올타고 생각하는 기준 또는 올타고 생각하는 사람의 낚시기술을 보고 배우는 것이 편한것 같습니다 그리고 믿으새요. 정 알그만 끝
....................................................................................
바늘을 빼시고(무바늘),찌는 봉돌과 최대한 멀리해서 측정하세요.(원줄 무게)
즉, 수심이 2m이고, 찌길이가 60Cm인경우....... 찌는 1m30Cm에 두고 찌맞춤을 하세요.
현장 도착해서 수심을찾으세요.수심을 찾으셨다면 찌를 그 상태에서 15센치가량내리세요 그 상태로 던져보면 찌가 입수할껍니다 그럼 그때부터 봉돌깍으시면서 케미고무밑이 수면에 나올때까지 깍으시고 다 돼셨으면 그 상태에서 제일 처음 찌가 있었던 자리 15센치 다시 올리시고 미끼달고 낚수하시면됩니다
말그대로 캐미한마디만 나오게마춘후 실전합니다
가끔식 현장마춤시에는 봉돌캐미바늘달고 던져서 가라안즈면 캐미만나오게 깍습니다
머리만나오게깍을때도있고 실수로더깍앗다하면 캐미전체만나오게됩니다 ㅎㅎ 이러나 저래나 똑같습니다
고기가물면올리고요 내채비에 자신감믿음이있어야합니다 전 자부심가지고 열심히 품질하면서 집어하면서 어느정도집어됫다싶으면
콩알낚시 기다립니다 ㅎㅎ 옵니다 붕어가있으면와요
편히 낚시 하세요.~~~
님께서 하신 찌맞춤이 보편적인 현장 찌맞춤입니다.
집에서 케미(찌보기) + 봉돌(원줄에 도래가 있다면 도래 포함)만 달고수조에서 수평찌 맞춤 하시고,
현장에서 그냥 사용하여도 되고, 님처럼 현장찌 맞춤으로 하셔도 됩니다.
현장 찌맞춤을 하여도 수온과 대류 현상... 등으로 시간대마다 부력을 체크하여 보면 조금씩 달라집니다.
상황에 따라 눈꼽만큼 깍아 내기도 하고, 더하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수조, 현장 중 한가지만 하시고, 상황에 따라 가감하시면 됩니다.
비슷한 정도면 될듯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