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멈춤고무와 사선요~

1)찌멈춤고무 찌 찌멈춤고무 대개 한5센티나 10센티정도 간격을둬서 채비를하는데요 궁금한점은 이 간격을 음청 길게 쓰시는분들이 계시더라고요 특별한 이유라도 잇는건가요? 2)주위 몇 지인들과 낚시를 가면요 사선입수를 없애기위해서 낚시대를 땡겻다가 놓더라고요~헌데 문제는 다 틀려요;;ㅎㅎ 어느분은 캐스팅후 찌가 스기도전에 땡긴다? 다른분은 찌를 던지고 딱스면 땡긴다? 또 어느분은 바늘이 바닥에 닿앗을때 땡긴다? 무지무지 궁금합니다 횐님들의 지식을 빌려주세요~^^ 밑에쪽에 비가 무진장 많이 왓네요 낚시도 좋지만 안전제일 입니다^^

투척이 용이 하게 되지 않을까요?1번의 경우 무게가 밑쪽에 있으니 날라가는것도 편하구요..간격은 실제 낚시 하는데 지장이 없다고 하더라구요...
2번의 경우 전 앞치지 반캐스팅만해서 떨어질 위치 에 뚝 하고 내려게가 해놓도록 노력합니다..
100프로 사선 입수 없애는건 힘드니 비슷하게 마추려고 노력하는거지요...저렇게 한다고 한들 정확하게 물속상황이나 바닥상황을 읽고 하신다면 낚시의 참맛을...쉬러 가는게 일하러 가는게 되실수 있어요..ㅎ
간단하게 생각합시다.

사선입수란 찌가 저부력입니다
부력보다 머리가 무거우니 찌가 서기도 전에 부력이먼저 중심을 잡는겁니다.
만약 부력이쎄고 머리가가벼우면 벌떡선 상태로 입수 하겠지요..?
부력이쎄다는건 봉돌무게가 중심을 잡아주니 찌가 일자로 서는데
저부력일경우 중심잡기전에 머리가 눌리는힘에 의해 찌가중심를 잡으니 사선입수라 봅니다.
오로지 제경험이니 그냥 참고만 하세요.
1. 아랫멈춤 고무를 봉돌에서 찌의길이만큼 올려서 고정 하시고 윗멈춤고무는 수심에 맞게 하시면 야간에 케미를 보고바늘잡기. 투척의 이로움. 사선입수 예방 등의 장점으로 알고요.
2. 무거운채비 ( 무거운 미끼) 투척시에는 찌와 봉돌의 사선을 줄이려 투척후 찌서기전에 약40 cm 손잡이대를 당겼다가 찌가 서면 원위치 시키면 사선을 줄인다 생가4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멈춤고무를5~10cm 간격을 두시는 점이 더 궁금합니다.
현장에서 가끔본적이 있는데... 어떤 장점이나 이유가 있는지요?
유동 채비를 쓰는 자체가 사선입수를 줄이고자함이 아닌가요?
유동을 거의 안주고 쓰신다면 굳이 몇 푼이라도
더 비싼 유동채비가 필요할까요?

좀 딱딱했네요.
바늘과 찌가 엉키지 않을만큼 내려서 쓰시는게
밤 중에 줄을 잡거나 뜰채 질 할 때 캐미와 가까워서
편리하구요
또한 사선입수를 좀 더 줄여 줍니다.
횐님들의 댓글을보니 유동폭을 많이주는 이유가 잇엇네요ㅎ사선방지및 밤낚시때 원줄위치 등.. 제가 5~10센티 주는이유는 챔질후 스토퍼가 움직이지않게하기위함이에요 별다른 이윤없습니다
ㅎㅎ;;요번기회에 폭을 더줘서 해봐야겟어요
네칸 대 거리에 지름 4~50cm짜리 수초구멍이 있습니다.
수심이 1.2m로 가정했을 때.
찌톱이 봉돌쪽으로 내려온 유동채비가 그 수초구멍에 넣기 쉬울까요.
1.2m 높이에 찌가 매달려있는 고정채비가 투척이 쉬울까요.
1.2높이가 더 쉽지않나요?;;맞나?;;
봉또올림 그게 아니고요 ㅎㅎ
유동폭이 크면 구멍에 넣기가 좋아집니다. 봉돌과 찌가 한자리에 떨어지거등요.
반대의 경우는 봉돌은 구멍에 들어갔는데 찌는 수초위에 올라타는일이 생기구요. 물론 숙달되시면 별문제 없겠지만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