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찌스토퍼 사용 시 장단점??

안녕하세요. 체리쥬빌레입니다. 요즘 날이 너무 추워 낚시는 가지 못하고, 머리로만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ㅋㅋㅋㅋ 그러던 중 과거 하우스에서 좋지 않은 조과를 얻은 기억을 가만가만 하고 있는데.. 그러다가 궁금증이 하나 생겼습니다. 저는 바닦채비 시.. 찌날라리 있는 찌를 사용치 않고, 스토퍼를 이용해 꼽아서 사용을 합니다. 그리고 스토퍼를 약 1센치 정도 차이를 주고 낚시를 해왔는데요. 무슨 원리때문에 그런건 아니고, 예전에 낚시를 배울때 저를 가르쳐 주신 분이 그렇게 쓰길래 따라한겁니다.;; 그래서 첫번째로 궁금한건 찌스토퍼 사이에 간격을 줬을때와 간격이 없을 때의 장/단점과 차이를 좀 알고 싶구요. 그리고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 하우스같이 입질이 예민하고, 제대로 된 찌올림을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즉, 찌를 1-2마디 또는 반마디에 채기도 하는.. 완전 초예민한 상황에서.. 찌스토퍼 사이에 간격을 주게되면, 간격을 준만큼.. 찌가 바로 반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민한 올림낚시를 할땐 그 간격이 없어야 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제 머리로는.. 그 간격이 없었다면 더 빠르게 입질을 파악하고 챔질을 하지 않았을까.. 헛챔질이 조금은 줄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조금 주절주절 썼는데요.. 제 질문이 이해가 되셨다면, 소중한 가르침 부탁드리겠습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입질이 없는곳에서는 찌 스토퍼 간격을 많이 주는것이 유리 합니다.입수 과정이 천천히 되기 때문 입니다.내림 낚시에서는 사선을 많이주기 위해서 일부러 찌 스토퍼 간격을 많이 주기도하고요.일단 찌가 바닥에 안착되면 찌는 스토퍼 간격하고 상관이없다고 보여지는데,헛챔질은 주로 챔질시하고도 상관이 많이 있습니다.그래서 챔질이 중요 합니다. 다음분에게 패스~
호남붕어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하는 건..

내림이든 올림이든.. 간격을 얼마를 주건, 찌는 상단에 있는 스토퍼에 걸려 있어,
내림낚시의 경우 입질 시 상단에 있는 스토퍼가 찌를 내려주기 때문에 스토퍼 간의 차이는
상관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제 머리속에서 생각하는 겁니다.)

하지만 올림의 경우..
붕어가 찌를 올려주려면 하단의 스토퍼가 찌를 올려줘야 하는데..
스토퍼 간의 차이가 있으면 있을 수록 늦어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겁니다.

일단 제 생각인데요.. 이 부분을 명확히 알려주실 분 있으신가요~~~
하지만 올림의 경우..
붕어가 찌를 올려주려면 하단의 스토퍼가 찌를 올려줘야 하는데..
스토퍼 간의 차이가 있으면 있을 수록 늦어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겁니다.

==> 바닥의 붕돌을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찌 부력의 무게만큼의 붕돌이 바닥에 있기때문에 찌는 상승을 하지 안습니다.

상단의 스퍼는 찌를 수심대에서 반고정용이구요 하단의 스토퍼는 찌가 채비(원줄) 아래로 내려 오지 안게하는 역활을 합니다.

실직적으로 생각한다면 찌 입수상태에서는 하단의 찌 스토퍼는 무의미합니다

상승하는 성질만을 생각한다면 하단의 스토퍼는 필요 없을수도 있지만 채비투척의 용이성을 위해서

사용하다고 생각하셔도 될듯합니다...바다의 붕돌을 붕어가 바늘을 취해서 들었을시 그 가감해 지는 부력만큼의 힘이 작용해

붕돌의 무게가 삭감되어서 찌가 상승합니다.

하단의 스토퍼가 얼마의 간격을 주건 간에 찌의 상승하는 것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깊은수심대에서의 찌위치를 고려한다면 투척시 용이성을 더하기위해서 유동폭을 주어서 찌가 붕돌 쪽으로 내려오게 해서

조금이나마 채비 추척시 쉽게 하기위해서 유동폭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저수심대 에서는 굿이 유동폭을 주지 안으셔도 될듯합니다.
쉽게 말해서 하단의 스토퍼가 찌를 밀어주는것이 아니라

붕돌을 붕어가 들어줄때 원줄이 들리면 찌의 상승을 잡아주는 상단 스토퍼가 원줄과 같이 들리기에

자연스럽게 찌의 상승하는 성질을 잡아주는 스토퍼가 원줄과 올라감이따라

찌의 상승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기에 자연스럽게 찌의 상승하는 성질이 반영되어서 올라옵니다.
뭔 오타가 저리도 많은지 양해 부탁드림니다.. ^^;;
전 아직 고정 찌를 사용해서 잘 모르겠네요 .^^
상단의 스토퍼가 찌를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잡고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제생각은 오히려 더 예민하지 싶은데요...
윗분들께서 올리셨지만...
줄은 잡고 만있고 상단 스토퍼가 찌의 상승하려는 성질을 잡고만 있는상황이라면,
붕어가 미끼를 흡입시 줄에도 상승의 효과가 나올테고 오히려 찌가 더 빨리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제 생각일뿐입니다..
원리는 청풍수님이 잘 설명하셨으므로 거들 필요가 없는것 같구요...
제 경험으로는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합니다.
약간의 간격을 두는 이유는 찌의 날라리가 없기 때문에 찌스톱퍼를 바짝 붙치면 찌가 약간의 사선을 그리게 됩니다.

이것보다 도 투척 시 낚시대를 뒤로 당겼다가 찌가 섰을 때 낚시대를 놓는데요 이 과정도 간격을 10cm 이상 주게 되면

굳이 안해도 된다고 하더군요. 찌가 투척 시 하단 스톱퍼 부위에 있다가 입수를 하면 봉돌이 가라 앉으면서 찌는 천천히

상승을하여 상부 스톱퍼에 올라가면서 자연스레 목줄 부분을 당겨주는 역활을 하게 되는거죠. 그럼 목줄의 긴장감은 더욱

올라가는 것이죠 자연스레. 그래서 더욱 예민해 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윗분들이 설명 해주신 데로 하단 스톱퍼는 크게 작용을 하지 않습니다.

내림이든 올림이든 위쪽 스톱퍼의 영향으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들은 야간에 하단 스톱퍼를 많이 내려서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면 챔질 후 봉돌을 잡을 때 찌의 케미가

봉돌과 같은 위치로 오기 때문에 어두운 상황에서도 봉돌을 잡을 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안보이면 봉돌에 맞을수도..ㅎㅎ 농담이구요. 좀더 야간에 편하게 하실려고 깊은 수심에서 하단 스톱퍼를 많이 내려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그리고 하우스는 개장한지 1달 정도가 지나면 올림은 시원한 입질을 보기 힘듬니다. 개장한지 얼마 안지나선 시원한 찌올림도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이시기에는 올림은 거의 보기 힘들구요 내림 입질을 많이 보게 되더군요.

물론 안성에 농*지하우스 라는 곳에 최근 보름전에 가봤는데 거기는 올림낚시만 하는 곳인데 그래도 여전히 2마디 이상 올리는

모습을 봤습니다. 물론 채비를 얼마나 잘 하셨는지는 알지 못하나 직접 구경을 하다가 봤습니다.

손맛이 그리워 하우스를 찾게 되신다면 내림을 한번 배워보시지요. 내림 저도 배운지 얼마 안되지만 찌올림과 다르게 긴장감과

집중력이 생기더군요...물론 눈은 아프고 피곤도 많이 쌓이죠... 그러나 내림도 나름 매력이 있더군요..^^

같은 하우스에서 바닥 2대로 15마리 정도 잡았는데 내림 1대로는 40~50 여마리 손맛을 보더군요.

그래도 찌 올림이 더 보고싶네요...빨리 봄이왔으면 하는 1인 입니다....

다들 추운데 감기들 조심하시구요...늘 안전운전 안출 하세요~ ^---^
간격차이는 실험해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는데
전 일부 낚시대는 찌부레를 사용하다보니 아래 스토퍼를 붙여서 사용하는 형태이고
찌부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 스토퍼를 찌길이보다 약간 위 높이만큼 두고 사용합니다
원래는 찌부레 사용하던 습관때문에 찌부레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올려서 쓰다보니
수심이 다소 깊은 경우 투척하는데 불편해서 그리 사용합니다
참고로 찌부레의 경우 조구회사에서도 찌 바로아래에 두길 권장하고 사용하는 입장에서 생각해도
아래쪽에 두면 찌의 부력과 찌부레의 부력이 위아래에서 상당한 간격을 두고 작용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나중에 물낚시할 때 기회가 있으면 한번 테스트 해보아야겠네요
님의 궁금증 덕분에 저도 호기심이 일어!!!
입수되는 과정에서의 모습만 틀린다고 생각하는데요..간격은 그다지 상관없고요
더 내려오거나 더 올라가지 못하게 간격만 맞추주는것이지요 낚시할때 불편하지 않게요..
너무 밑에꺼를 내리면 투척에 찌가 걸릴꺼고요.위꺼를 너무 올려놓으면 찌톱이 너무 많이 나올꺼구요..
깊게 생각하지맙시다!! 머리만 아픈 낚시됩니다. ㅎㅎ
아우.. 댓글 하나하나.. 짧은게 없네요..ㅋㅋㅋㅋ
일단 횐님들께서 써주신 댓글 하나하나 차근차근 읽어봐야겠습니다~

읽어보면서 궁금증 나는거 댓글로 재질문 드리도록하겠습니다.^^
윗분들께서 자세히 설명해주셨네요
유동채비시 찌스토퍼의 간격이 없이 사용하시면 찌가 사선을그리며 서있게 됩니다
그래서 약간의(보통1cm이내에서)간격을 주는것이고요 날라리가없으니 줄꼬임도 적고요 또 유동간격을 많이 주시고(저는 노지많하는데 야간케미갈기 귀찮아 통상 봉돌에서 하단브토퍼는 1미터 정도로 내리고합니다)하면 사선입수를 최대한 줄이는 효과도 있습니다^^
찌와 바닦의 미끼와의 사각이 아닐까 생각 됩니다.

스토퍼를 어느정도의 간격을 주었을때는 찌가 발딱(?) 선후 봉돌을 잡아당겨서 최대한 찌에 가까운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서 .
입질시 사각을 없애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찌와 미끼가 정확히 바로 밑에 있기는 힘들지만 , 어느정도는 끌어당길수 있다고...

예전에 저도 궁금해서 여기저기 알아본적이 있는데...맞는건지는 확실치 않고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