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채비보호!!

원줄 2호 루어줄(나일론)에 목줄 1호줄(나일론)로 낚시를 하는데...수심스토퍼 달랑 하나 남기고 모두 날라가 버렸네요. 붕돌 걸어 날라갔으면...위로라도 되지만 꽝치고 채비 접으려는 순간 수초인지 돌땡인지 걸려서 땡기다 날라갔네요~~ㅠㅠ" 수초나 바위에 걸렸을 경우 찌 만이라도 건질 수 있게 나름 노하우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목줄을 좀더 가는것으로 쓰셔야될듯 싶네요

그래도 어쩔땐 조심한다해도 원줄까정 날라 갈때도 있습니다.

주무대가 수로쪽 이여서 전 거의 건져 내지만 말입니다.~~ㅎㅎ
수초에 걸렸으면 답이 없구요, 그냥 낚시대 낮추고 지긋이 당겨내는 수밖에

없을듯 하구요,

바위에 걸렸으면 원줄을 바로 당기지 말고 잠시 그대로 놓아두었다가 다시 당기면

쉽게 빠져나올때가 많이 있습니다.
강원도 저수지에서 찌가 쑤욱 올라오기에 챗더니 우~웅 소리나며 대를 들지도 못했습니다. 순간 핑하더니 원줄에 찌상단고무만
대롱 대롱 하더군요. 그순간 고기도 고기지만 찌와 채비가 생각나서 통곡을 하였습니다.
그전에 저는 릴에 망둥어 바늘달고 찌를 악착같이 건졌습니다.본줄에 걸리면 천천히 당깁니다. 대신 옆사람에게 피해를 주면 아니되겠지요.
봉돌아놀자님..

낚시대 접을때 스폰지에 바늘 걸어주고 낚시줄 낚시집에 감아 주면 괜찮아요..

저두 옛날엔 철수때 채비 많이 터주었네요.
줄을 잡아당길때 순간적인 힘이나 지속적인 힘에서 더 주게되면 줄이 터지기 마련입니다 .어느정도 원줄이 목줄보다 버텨주는 상황을 가정한다봤을때 걸린곳을 등지고 머리숙이고 (봉돌이나 바늘이 튈수있으니 )지긋~이 잡아당깁니다 그러다보면 터지기직전에 느낌이라는게 있을것입니다 .그상태에서 그냥 버티고만있는것입니다 그럼 바늘이 휘어져서 빠집니다 .(바늘이 휠시간을 지긋이 당긴상태에서 버티는것이라 할수있죠 ) 만약 바늘이 호수가 크고 원줄과목줄에 관계상 휘거나 부러져서 빠질상태가 아니다한다면 그낚시대보다 긴낚시대사용 원줄도 더 굵으면 좋겠네요 .기존에 낚시줄을 평행으로 맞춰놓고 걸린 원줄 에서 목줄에 가까운 쪽으로 사선방향에서 몇번시도 멀리던지고 걸렸다면 기존 걸린 원줄을 빙글빙글 한두바퀴 휘감습니다 .그리고 천천히 잡아당깁니다 (밑걸린 원줄 찌아래쪽으로 걸리게...수심이 있는곳이면 찌는 상단 스토퍼쪽으로 올라와있을것입니다)
당기다 걸렸다면 분명 스토퍼에 걸릴것이고 천천히 잡아당기다보면 찌를 초릿대까지 끌어올수있습니다 아니면 나중에 던진 낚시대에 원줄이 강하다면 수평상태로 지긋이 잡아당기면 걸린곳 아래쪽으로 터지게됩니다 .스토퍼와 스토퍼사이 찌다리 유동고무에만 걸려 빠졌다해도 낚싯대 길이에 가까운곳에서 빠질것이며 낚싯대로 깔짝거려도 건져낼수있습니다 .
수초속에서 이런일이생긴다면 기존에 걸린줄을 약간 옆쪽으로 팽팽하게 당겨놓고 더긴대를 살짝살짝 몇번시도해서 찌아래쪽 원줄에 걸친다음 천천히 살랑살랑 흔들면서 내려주면 걸린곳에 가까운쪽에 위치하게되고 위와마찬가지로 해주시면되구요 .뗏장에 걸렸다한다면 후에 던진 낚싯대도 걸려 채비를잃거나 망칠수있으니 원줄보다 약한 목줄 차이를좀두고 사용하시는게좋습니다 .위와같은방법은 낚시하시다보면 경험으로 나올수있는방법입니다만 추후 이런상황이 또 발생한다면 시도해보심이 좋겠습니다 .
수초가있는곳에서는 지금에 원줄보다 한 호수 더 높은 라인을 사용하심이 좋을듯하며 ,수초가 있는곳에서는 비싼찌나 아끼는찌는사용하지않으심이 좋습니다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손쉽게는 전자,인내는 후자쪽 같네요!!
다시말해 목줄을 원줄보다 1/3 정도 되는 수준으로 채비를 하시면

목줄만 터지도록 하는게 젤 좋습니다.

예를 들어 2호 원줄이면 0.8호, 0.6호 정도의 케브라 합사를 사용하는거죠..

목줄 가늘다고 쉽게 목줄이 터지는게 안닌것 같아요.

날이면 날마다 대물 잉어가 걸리는것도 아니고,

그럴때 목줄 터지는게 훨 낫지,

아끼는 찌에 맞춰논 봉돌 등등이 아까워 잠도 안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