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미가 다 잠기고 케미 끝이 수면에 일치되는게 수평맞춤이라면
그리고 한목 내놓고 낚시한다면 절대 가벼운 맞춤은 아닙니다.
그 상태로 바늘을 빼고 찌맞춤 확인해보시면 케미가 살짝 더 올라오지만 절반도 채 안나올겁니다.
저라면 귀찮더라도 바늘 빼고 찌맞춤 하겠고, 케미 다 나오고 그 아래 케미꽂이가 보일락말락할 정도로 찌를 맞추고
바늘 달고 한 목이나 반 목만 내놓고 하겠습니다.
목줄 길이는 약간 긴 편이지만 긴 목줄의 장점도 있으니 나쁘진 않다고 봅니다.
저라면 8센치 10센치로 하겠습니다.
수초권 대물낚시가 아니라면 원줄 카본 2.5호는 너무 무거워 찌올림이 나쁩니다.
대형 잉어 노리시는게 아니라면 1.7호 정도가 나아보입니다.
저 같으면 그상태에서 목줄을 짧게 하든지(7,9cm) 봉돌을 조금더 깍고 찌를 조금더 내놓고 하겠습니다.
다만 입질상태를 보고 찌올림이 빠르다면 활성도가 좋으니 편납을 더하고
바늘이 깨끗하면 미끼만 따먹고 도주?했으니 활성도가 안좋다고 생각되므로 목줄중간에 편납이든 좁쌀봉돌 작은걸 물리고 찌내려가는 속도를 보고 느긋하게 내려가도록 맞추고 낚시하겠습니다.(이단입수...)
이단입수란? 물속 바닥에 바늘이 먼저 닿고 봉돌이 나중에 닿는 것 을 말합니다.
따라서 목줄길이가 10cm라면 바늘이 먼저 닿고 10cm 나중에 찌가 내려가겠지요?
천천히 내려가면 갈수록 더 가벼운 찌맞춤이 되는거니 활성도에 따라 찌맞춤을 하시고
간혹 비싼찌라도 물먹었거나 밸런스가 안맞는 찌라면 이단입수가 안되는 찌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주희파파님 채비도 이단입수가 되는 찌맞춤입니다.
주의사항 한가지! 바늘없이 찌맞춤은 어떤땐 굉장히 무거운 찌맞춤이 되는 경우(활성도 극히 안좋을때)도 있습니다.
내가 낚시한 자리는 내가 청소하는 멋진 낚시인이 되시기 바랍니다.
언제나 즐낚하세요~~~^^
초록고기님 오타인가요? 캐미빼고 수평맞춤이 아니라 바늘빼고?
전 캐미달고 바늘빼고 수평맞춤 하는데요 ㅠㅠ
참고로 수평맞춤은 1.-수평맞춤;캐미전부노출이상 2.+수평맞춤;캐미 수면일치 이하 3.일반수평맞춤; 캐미 중간정도?
참고로 전 -수평맞춤하는데요 ( 바늘빼고) 캐미전부노출 현장여건에따라 변화를 주기 쉬워서요
가령 목줄교체시나 바늘교환시 사용하기편해서
혹시제채비도 무거운건가요?
조언좀 부탁드려요
바늘까지 달고 찌를 맞추셨으면 조금은 가벼운듯한 생각입니다.
저의 경우 바늘빼고 1목에 맞추고 2목까지 내놓고 실전에 투입합니다.
목줄 길이도 좀 긴듯 하구요..
목줄은 약 6센치 내외로 사용하구요...단차를 줄경우 1센치에서 길면 2센치를 안넘게 줍니다.
바늘빼고 찌맞춤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처음엔 적응이 힘들어도 몇번 써보시면 안정적이구요...
가능하면 원봉돌 외바늘채비를 씁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ㅎㅎ
또 한 주가 시작됩니다....건강유의하시고 한 주 잘 보내시길...
저도 한마디~~^^
위 채비가 옥내림이라면 몰라도 떡밥 낚시에 바닦채비라면 이해가 안되는 채비 입니다
떡밥과 짝밥도 겸용 하신다고 하셧는데요`~ 위채비는 일명 얼레벌레 채비라고 생각 합니다
바닦채비는 아닙니다.
일단 수평 찌맞춤에 대해서>> 수평 찌맞춤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올려 수평인지 내려 수평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올려 수평 맞춤 >> 채비를 던져서 찌가 수면으로 내려갔다가 서서히 올라오면서 수평++++
내려 수평맞춤 >> 채비를 던져서 찌가 서서히 내려가고 케미 끝부분에서 멈칫거리며 물의 장력에 의해서 서서히 수평++++
위 두가지 수평 맞춤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위채비로 내려 수평맞춤일때 한목 꺼내서 사용 하신다고 하셧는데요 과연 봉돌이 바닦에 있을까요?
아니라면 떡밥낚시에 맞는 채비법은 아닙니다.....
위 채비법이 이단입수라면 그건 이단입수하는만큼의 목차이만큼 목줄이 구부려서 있는것입니다 .. 결국 얼레벌레 채비라는 것이죠
사용자의 전천후 채비법이라면 그럴듯 하지만 떡밥낚시에는 맞지 않는 채비법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위 답변 주신분들 중에 <<워니워니>> 님 맞춤법이 떡밥 바닦낚시에 가장 이상적인 맞춤법이 아닌가 생각 합니다
워니님 맞춤법 처럼 1목에 맞추고 사용시 2목을 내논다면 안정적으로 봉돌이 바닦에 안착이구요 상황에 따라 가볍게 쓰려면 사용시 1목을 내논다면 적당 하다고 생각 합니다
저는 바닦 콩알떡밥 낚시만 주로 하기에 다른분들과 생각에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안출하시기 바랍니다
글에 맞는 답변을 하시길 바랍니다
저 역시 비슷한 채비를 자주 하는데
유속이 있는 곳에선 찌가 흐를 수 있습니다.
그럴땐 좁쌀봉돌 물려주면 되니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일반 바닥채비라면 목줄길이로인해 입질사각이 커져 득보다는 실이 더 많을 것이구요
저라면....
갑작스런 챔질이나 대형잉어나 대물의 고개돌림에 의한 터짐을 방지할수 있는 오링고무를 달아줄것 같구요
목줄길이를 5Cm, 7Cm 정도로 줄일것 같습니다.
저도 비슷한채비입니다.
생미끼도하고요.
바늘빼고 수평찌마춤해서 사용하심은어떠실지
한가지 저 수평맞춤이 가벼운 링이 1~2개 낀 상태의 수평맞춤이면 어떨까 해요~~
그래서 이른 초봄 늦가을댸 예민할때는 봉돌을 약간 뛰우는 어리버리 내림도 가능하니깐요~~
오링으로 문제는 다 해결돼니...
괜찮아보입니다..
바늘빼고 수평맞추고 목줄 7,8센치 맞춘것과는 크게 차이가 나진 않아보입니다..
봉돌만 납이 아닌것으로 바꾸시면 되겠습니다.
결코 가벼운 채비가 아닙니다
안정적인 바닥채비로 생각되고
수초 등 여건에 따라
외바늘 채비로 하시면 좋겠네요
저두 극세사 이불 덮고있습니다^^
목줄이 다소 긴듯하니 수평맞춤보단 더 예민하게 하여 캐미고무 하단 맞춤하여 한목정도 내어놓고
하는게 더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위의 채비는 가벼운 채비는 아닙니다...
현장에서 수심 따라 원줄무게 감안 하시면 가벼운거 같지는 않습니다
잘 하신거 같아요^^
1.부력맞춤은 생미끼,옥수수 사용시 그대로 하시고 떡밥일경우 약간 무거운 느낌.
2.낚시를 배우는 단계시면 두개 목줄길이는 같게하는게 챔질 타이밍에 유리.
(목줄길이가 서로 다르면 붕어흡입 단계가 서로 달라서 챔질에 혼돈발생, 약간 극단적으로
5cm,15cm 목줄길이면 한쪽은 입질하자마자 찌반응, 한쪽은 입속에 완전들어간후 찌반응)
3.수초끼고 하시기엔 너무 긴 목줄길이네요.
(목줄길면 수초에 얹혀서 오류발생, 수초없는 곳에서는 목줄길이는 크게 상관없다고 생각
하고 오히려 중후한 입질보시려면 모노줄에 긴목줄이 좋음)
결론적으로, 떡밥/짝밥/옥수수 전전후로 하시려면 두바늘 목줄길이 같게하고 7~8cm면 좋을듯해요.
낚시할때는 1목 내놓구 낚시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한목 내놓고 낚시한다면 절대 가벼운 맞춤은 아닙니다.
그 상태로 바늘을 빼고 찌맞춤 확인해보시면 케미가 살짝 더 올라오지만 절반도 채 안나올겁니다.
저라면 귀찮더라도 바늘 빼고 찌맞춤 하겠고, 케미 다 나오고 그 아래 케미꽂이가 보일락말락할 정도로 찌를 맞추고
바늘 달고 한 목이나 반 목만 내놓고 하겠습니다.
목줄 길이는 약간 긴 편이지만 긴 목줄의 장점도 있으니 나쁘진 않다고 봅니다.
저라면 8센치 10센치로 하겠습니다.
수초권 대물낚시가 아니라면 원줄 카본 2.5호는 너무 무거워 찌올림이 나쁩니다.
대형 잉어 노리시는게 아니라면 1.7호 정도가 나아보입니다.
목줄이 길기 때문에 캐미빼고 수평맞춤으로는 사각지대가 크므로 활성도가 안좋은 날에는 입질보기 어렸습니다.
저 같으면 그상태에서 목줄을 짧게 하든지(7,9cm) 봉돌을 조금더 깍고 찌를 조금더 내놓고 하겠습니다.
다만 입질상태를 보고 찌올림이 빠르다면 활성도가 좋으니 편납을 더하고
바늘이 깨끗하면 미끼만 따먹고 도주?했으니 활성도가 안좋다고 생각되므로 목줄중간에 편납이든 좁쌀봉돌 작은걸 물리고 찌내려가는 속도를 보고 느긋하게 내려가도록 맞추고 낚시하겠습니다.(이단입수...)
이단입수란? 물속 바닥에 바늘이 먼저 닿고 봉돌이 나중에 닿는 것 을 말합니다.
따라서 목줄길이가 10cm라면 바늘이 먼저 닿고 10cm 나중에 찌가 내려가겠지요?
천천히 내려가면 갈수록 더 가벼운 찌맞춤이 되는거니 활성도에 따라 찌맞춤을 하시고
간혹 비싼찌라도 물먹었거나 밸런스가 안맞는 찌라면 이단입수가 안되는 찌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주희파파님 채비도 이단입수가 되는 찌맞춤입니다.
주의사항 한가지! 바늘없이 찌맞춤은 어떤땐 굉장히 무거운 찌맞춤이 되는 경우(활성도 극히 안좋을때)도 있습니다.
내가 낚시한 자리는 내가 청소하는 멋진 낚시인이 되시기 바랍니다.
언제나 즐낚하세요~~~^^
전 캐미달고 바늘빼고 수평맞춤 하는데요 ㅠㅠ
참고로 수평맞춤은 1.-수평맞춤;캐미전부노출이상 2.+수평맞춤;캐미 수면일치 이하 3.일반수평맞춤; 캐미 중간정도?
참고로 전 -수평맞춤하는데요 ( 바늘빼고) 캐미전부노출 현장여건에따라 변화를 주기 쉬워서요
가령 목줄교체시나 바늘교환시 사용하기편해서
혹시제채비도 무거운건가요?
조언좀 부탁드려요
저의 경우 바늘빼고 1목에 맞추고 2목까지 내놓고 실전에 투입합니다.
목줄 길이도 좀 긴듯 하구요..
목줄은 약 6센치 내외로 사용하구요...단차를 줄경우 1센치에서 길면 2센치를 안넘게 줍니다.
바늘빼고 찌맞춤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처음엔 적응이 힘들어도 몇번 써보시면 안정적이구요...
가능하면 원봉돌 외바늘채비를 씁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ㅎㅎ
또 한 주가 시작됩니다....건강유의하시고 한 주 잘 보내시길...
중층채비 홀더를 이용하시어 분납으로 해보심을 추전하고..수로가아닌 저수지나 흐름이없는곳에서는
긴목줄에 좁쌀봉돌도 하나 달아주시면 입질표현좋을것같네요
옥내림은 불편한점도 좀 있고해서 가벼운 대물정도~ ^^
다만 원줄 2.5호 카본에 목줄2호 모노 쌍바늘이면 밑걸림이 두바늘다 발생시에는 100프로 원줄 나갑니다.
목줄이 긴 편도 아닙니다~
케미를 얼마만큼 노출시키는가 로 조정하시고
옥수수 미끼를 사용 할 때에는 목줄이 더
길어도 좋습니다...
수조에서 바늘빼고 케미 하단 맞춤을 하니
현장에서 바늘달구 케미 상단 맞춤이 되더군요.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목줄이길면 입질속도는 느려도 대물 만날 확율이 많다고 생가되네요
그래서 요즘 대물채비도 긴목줄을 쓰더군요
저도 그렇게 하고 있구요
저번달에 42하나 잡았습니다 목구멍까지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수평에서 한목노출은 찌가 툭떨어지는 입수가 됩니다.
목줄의 경우에는 깊은수심에서는 좋은 찌올림으로 나타나겠지만
수심이 앝을경우 옆으로 끄는 입질이 나올수 있겠네요..
위 채비가 옥내림이라면 몰라도 떡밥 낚시에 바닦채비라면 이해가 안되는 채비 입니다
떡밥과 짝밥도 겸용 하신다고 하셧는데요`~ 위채비는 일명 얼레벌레 채비라고 생각 합니다
바닦채비는 아닙니다.
일단 수평 찌맞춤에 대해서>> 수평 찌맞춤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올려 수평인지 내려 수평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올려 수평 맞춤 >> 채비를 던져서 찌가 수면으로 내려갔다가 서서히 올라오면서 수평++++
내려 수평맞춤 >> 채비를 던져서 찌가 서서히 내려가고 케미 끝부분에서 멈칫거리며 물의 장력에 의해서 서서히 수평++++
위 두가지 수평 맞춤은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위채비로 내려 수평맞춤일때 한목 꺼내서 사용 하신다고 하셧는데요 과연 봉돌이 바닦에 있을까요?
아니라면 떡밥낚시에 맞는 채비법은 아닙니다.....
위 채비법이 이단입수라면 그건 이단입수하는만큼의 목차이만큼 목줄이 구부려서 있는것입니다 .. 결국 얼레벌레 채비라는 것이죠
사용자의 전천후 채비법이라면 그럴듯 하지만 떡밥낚시에는 맞지 않는 채비법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위 답변 주신분들 중에 <<워니워니>> 님 맞춤법이 떡밥 바닦낚시에 가장 이상적인 맞춤법이 아닌가 생각 합니다
워니님 맞춤법 처럼 1목에 맞추고 사용시 2목을 내논다면 안정적으로 봉돌이 바닦에 안착이구요 상황에 따라 가볍게 쓰려면 사용시 1목을 내논다면 적당 하다고 생각 합니다
저는 바닦 콩알떡밥 낚시만 주로 하기에 다른분들과 생각에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안출하시기 바랍니다
바늘달고 사용합니다
떡밥낚시하시려면 목줄이다소길어보이시구..
단차 안주시는게 어떨지요
옥수수낚시는 목줄 5~10정도 외바늘 추천합니다
찌맞춤시 클립도레하나 다시고 찌맞춤하시고
바늘 두봉 외바늘 번갈아가면서 미끼대로
노시는것도 괜찮습니다
어차피 바늘빼고 수평맞춤하면 바늘 구애안받습니다
개인적인 소견이니 참고만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