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새우채집망으로 민물새우를 잡아 미끼로 사용을 하고싶은데요..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떡밥 낚시만하다가 잡은 생새우를 미끼로 사용하면
과연 입질을 받을수 있을까하는 의문은 아직까지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직접 요번 출조때 저수지에서 새우를 채집하거나
새우가 채집이 안되면 대하를 껍데기를 깐상태에서 새끼손톱만큼씩 토막을내어
지금 냉동중에 있습니다.
정말 살아있는 생새우를 붕어가 흡입하나여?
생새우를 미끼로 사용한다면 바늘에 어느방향으로 꿰어 사용하면되는지요?
그리고 살아있는 생새우든 죽은 새우든 상관없다고 알고있는데,
이것에 대한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생새우를 사용한다면 껍질을 까지않고 사용한다는것인데 뾰족한 새우의 수염
이 붕어의 흡입에 방해가되지않나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껍질도 질기고 붕어에겐
딱딱한것일텐데 말이죠..
새우로 미끼로 사용한다면 이봉채비로 한쪽은 떡밥 한쪽은 새우 이렇게 달면되나여?
보통 알기론 외바늘을 많이들 사용하시는것 같은데요.
바늘은 지누(감성돔)바늘 몇호정도 사용하면되나여? 두바늘채비일때나 외바늘채비일때 다른지요?
새우미끼에 관련된 궁금증을 모두 써봤습니다.
새우미끼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아직 월척을 잡아보지못한 초자가 질문을 남깁니다.
채집한 민물새우 바늘에 꿰는 방법좀 알려주세여.
-
- Hit : 1162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7
그 후론 이렇다할 조과가 없지만 많은 분들이 새우를 쓰시는 이유가 있겠죠.
바늘은 외바늘 지누 3호 정도가 적당하고 굳이 수염이나 앞다리를 뗄 필요는 없습니다.
새우 채비로 검색하시면 사진 자료 많이 나옵니다. 등꿰기부터 시작해보세요.
생새우의 모양을 절대 다듬으려는 노력 같은거 하실 필요 절대적으로 없습니다.
생미끼는 그 자체로 살아있을때가 미끼로서의 효율이 더 좋습니다.
일부러 죽여서 끼우거나 머리를 벗기지는 마시구요.
인터넷에서 검색해보시면 여러 영상이 있습니다만.
새우가 바늘에 끼울때는 커보이지만, 7~8치급 붕어도 한입에 입안으로 쏙 빨아들입니다.
믿음을 가지고 써보십시요.
새우라고 해서 반드시 월척을 잡기위한 특효미끼는 아닙니다.
하지만, 덩치 좀 있는 붕어들이 가장 일순위로 좋아하는 미끼중에 하나가 새우입니다.
지금 시즌부터는 월척을 노리는 낚시를 하시려면, 1봉 채비로 수초군에 최대한 근접해서 낚시하시구요.
월척붕어를 노리는 낚시를 방해하는 육식어종들이 자꾸 새우를 탐하면, 옥수수를 대체 미끼로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토종터의 경우 밤낚시에는 새우 쓰시고, 잔붕어들 성화가 심해져서 잔붕어들이 새우를 물고늘어지는 아침이 되면
옥수수로 바꿔서 입질을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믿음을 갖고 우직하게 기다리셔서, 대물입질 받아내시길 기원합니다.
1. 억센 수초지대와 강한 챔질을 견뎌내는 튼튼한 찌
2. 강제집행이 가능한 튼튼한 원줄과 목줄
3. 최소 감성돔 3호 이상의 굵은 바늘(개인적으로는 감성돔 5호 가장 선호)
4. 잔챙이 입질에 까불지 않는 다소 무거운 찌맞춤
5. 새우 미끼의 부족한 유인력을 보완할 수 있는 다대편성
6. 한 박자 늦은 챔질
대충 이정도가 필요한데
현재 떡밥낚시 채비라면
외바늘에 붕어 10호 이상 바늘(감성돔 바늘이 없을 경우)로 도전해 보시고
새우낚시에 매력이 느껴지면 차츰 준비를 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이방법은 새우가 절때로 죽지않고 지속적으로 발버둥을 치면서 다른 새우까지 유인을하여 붕어를 집어 시키는 효과도있습니다.
먼져 새우의 수염을 바늘에다가 잘 묶어서 새우가 도망가지 않게 잡아줍니다. 이때 수염의 매듭강도가 떨어지지않게 매듭법을 잘 숙지하신 후 묶어줍니다.
그러면 이놈이 수염을 부여잡고 발버둥을 칠것입니다.
그러면 주위에 있던 그 새우의 친구들이 구출해주러 우르르 모여들것입니다.
이젠 붕어의 눈에 이놈들이 포착이 됩니다.
사냥이 시작되고 도와주러왔던 새우들은 생명의 위협을 느끼자 의리없이 토껴버리고, 바늘에 수염이 묶인 새우는 붕어를 잡는 좋은 미끼가됩니다^^
웃자고 한 말입니다ㅎㅎ
새우미끼로 꼭 대물상면 하십시오
다대편성 대물낚시 하실거면 지누 3호 이상 쓰시면 될거고,
잔챙이 입질도 받고 싶으시면 붕어바늘 7호 이상 쓰시면 적당할 겁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등꿰기 보다는 배쪽으로 훑어서 꿰는게 좋더라구요.
바늘도 감춰지고, 아무래도 등꿰기 보다는 이물감도 덜 할 것 같구요.
늘 안출하십시오.
1.채집한 새우를 끼우는 방법...
2.몸통 관통 꿰기를 하십시요.
3.꼬리 부분에서 몸통을 통과하여 바늘 끝이 머리 부분을 향하게하여 바늘을 완전 관통을 하십시요.
4.산새우. 죽은새우...
5.모두 미끼로 사용 합니다.
6.낚시터 여건 상황에따라...
7.각각 쓰임세가 다르고 장.단점이 있습니다.
8.산새우: 껍질을 벗지지않고 그대로 사용 하십시요.
9.붕어(20cm)가 넘으면...
10.(통새우)를 그대로 삼킵니다.
11.잦은 입질이 있어서...
12.챔짐을 했는데...
13.붕어는 낚이지 않고...
14.새우가 훼손이 됐을 때는...
15.새우 (머리. 꼬리)를 떼어내고 몸통만 미끼로 사용 하십시요.
16.그래도 여의치 않으면...
17.(몸통)의 껍질을 벗겨내고 (속살)만 사용 하십시요.
18.(이봉) 두 바늘을 사용 할때는...
19.긴바늘: 주 미끼를 사용 하십시요.
20.짧은바늘: 미끼용 미끼를 사용 하십시요.
21.(새우)를 주 미끼로 사용하면...
22.(긴바늘)에...
23.(새우)를 끼워서 사용 하십시요.
24.바늘...
25.외바늘. 쌍바늘...
26.바늘 호수는 똑같이 사용 하십시요.
27.(이두메지나) 향어바늘 13호. (지누) 감성돔바늘 4호.
28.새우...
29.낚시 챔질 타이밍...
30.약 (15cm) 정도 찌를 올릴때 챔질을 하십시요.
31.낚시터 여건 상황에따라...
32.챔질 타이밍은 각각 다릅니다.
33.새우낚시의 (초심자) 라면...
34.약 (15cm) 찌가 상승 했을때 (챔질) 타이밍 입니다.
35.새우 크기는...
36.(3cm - 4cm)가 가장 이상적이며...
37.사용하기 원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