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초가 밀생한 곳에서는 챔질후 잠시의 여유만 생겨도 고기가 수초속으로 파고들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곳은 낚시대를 양손으로 잡고 위로 올리듯이 강한 챔질을 하여 일단 고기를 수초 물위로 띄우는게 급선무입니다.
수초 없는 곳은 어떤 챔질도 가능하나 가끔 대물이 걸렸을때는 양쪽대의 채비를 걸어 야간에 엉킨 채비를 풀어야하는
곤혹스런 일을 당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무조건 위로 강한챔질로 초기제압에 신경씁니다.
* 챔질 중요합니다. 약하게 스넵만 주신분들은 고수이거나,, 대물을 못만났거나 ,, 그런생각이 듭니다.
저도 스넵을 사용하거나, 뒤로 빼기식을 했는데.. 초릿대 세워 보지도 못하고 2번 터지고 ,, 아님 수초에 걸리고..
전엔 그런일 없었는데.. 항상 월을 생각하며,,, 일단 강하게 챔하고,, 천천히 제압합니다..
그래도 습관을 고치기 힘들어.. 뒤로 살짝드는 챔을 가장 많이 씁니다. 수고하세요.
유료 대물터만 다니는 저는 향상 카메라 플래쉬 터치듯 100% 에너지를 발산합니다.
대가 부러진 적도 있구요,
찌 허리가 부러진 적도 있구요,
어쩌다 작은 씨알은 나무에 걸린적도 있답니다, ㅠㅠ
워낙에 큰 씨알 위주로 풀다보니 순간제압 안되면 옆사람 대를 휴려감아서리, 아직 초보인지라,,
일반 붕어대물대 몇번 부러지고 은성 파워와인드조선경조, 강원 향어2, 강원 자수정대물2, 위주로 쓰고 손맛이 그리울땐 자수정큐 씁니다.
낚시의 챔질은 들어 올리는 챔질이 정석이 아닐까 싶습니다.
당기는 챔질은 낚시대의 휨새를 이용한 탄력을 살리지못해 고기의당기는 힘과 사람이 당기는 힘을 고스란히 낚시줄이 감당하게돼서 낚시줄에 부하가 많이걸리는 챔질 방법으로 낚시대의 탄력을 이용하는 들어채기보다 낚시줄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결국 들어채기보다 더 두터운 호수의 낚시줄을 사용해야 합니다. 낚시가 둔탁해지지요.
이곳는 수초를 낀 대물위주의 낚시가 주패턴이다 보니 낚시줄 두터운 것에 개의치 않는 분위기이나 어찌됐든 당기는 챔질은 들어채기보다 낚시줄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챔질입니다. 처음 가볍게 스넵으로 챔질후 서서히 대를 세워야 하는데 이곳은 수초를 끼고 낚시를 하는 경우가 많아 붕어가 날아다닌다거나 입술이 찢어 진다고 하는데 .... 거시기 합니다..
어릴적 향어낚시를 할때 챔질을 하다보면 글라스재질 낚시대의 무게손목에 무리가 갈까봐 뒤로 당기듯 챔질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낚시대 소재가 가볍고 강하기 때문에 3.4칸이하는 손목스냅을 이용한 챔질후 바로 제압을 들어가고, 3.6칸이상의 긴대는 손목의 보호를 위해 들어올리듯 하는 챔질을 하고있습니다.
아직도 그때가 생생하네요..걸었는데 안들어지더라구요.. 걸려서 서로 힘쓰는데.. 결정적으로 무뽑듯 죽 뽑아서 쳐든 상태에서
힘써야 했는데 45도 수준에서 손맛보듯 엉거주춤한 상태로 들고있다가 제가 오히려 제압당했죠.. 수초감아서는 결국...
대가 뿌러져라 하고 쭉 들어올려 걸어내는 방식은 원칙이 아닌가 싶습니다.
챔질 합니다.
아직까지 이렇게 해서 떨구거나 했던 기역은 없었습니다.
수초 낚시는 주위의 역건이 매우 거치므로
채비를 한 단계 올려 보심이 어떨까 사료 됩니다.
맹탕에선 손목의 힘으로만 살짝 위로 튕기면서 들어올립니다 ^^
그래서 이런 곳은 낚시대를 양손으로 잡고 위로 올리듯이 강한 챔질을 하여 일단 고기를 수초 물위로 띄우는게 급선무입니다.
수초 없는 곳은 어떤 챔질도 가능하나 가끔 대물이 걸렸을때는 양쪽대의 채비를 걸어 야간에 엉킨 채비를 풀어야하는
곤혹스런 일을 당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무조건 위로 강한챔질로 초기제압에 신경씁니다.
챔질할떄 약간 비스듬,,? 하게 스넵으로 톡~!하고 쳐주는데요 ,,
일직선으로햇다가 붕어를 터트린적이 좀잇어서 ,,,ㅠ
붕어인줄알고 톡쳣을떄에 ,, 잉어 큰놈이면 좀놀라죠 ,,
손목이 묵직하니 ,,,,
배드민턴은 손목스냅,,,
테니스는 팔 전체로,,,,
저는 주로 손목을 쓰지 않고 팔 전체(팔꿈치?,,,팔목??)를 이용하여 위로 챔질!!
헛챔질때 날아오는 봉돌에 몇대 얻어 맞고는..
요즘은 45도정도로 뒤로 빼면서 하고 있어요..
ㅎㅎ
챔질 다 비슷합니다....
다소 챔질 타이밍이 늦을꺼 같긴 하지만 한두마디 찌가 올러오면 챔질 준비를 하니 챔질시기가 늦어서 헛챔질 경우는 몇번 없네요
뼈다귀가 안좋다보니 뼈에 무리갈까봐요 ㅠㅠ
붕어주둥이 찢어진다고...
저는 두손으로 번쩍 올립니다 직각으로...
잉어 입질 처럼 찌를 끌고 들어가길래 ,, 힘껏 챔질햇다가
날라오는 피래미에 ,, 따귀맛을번 한적잇죠 ,,, ㅠ
경험상 뒤로 당기면 불완전 걸림이 되는것 같아서....
뒤로 살짝 당기면서 낙시대를 들어줍니다
신수향을 사용하고 있지만
챔질을 잘못해서 수초를 감은 경우는 아직까지...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얼래벌래채비라 세게당기면 목줄이 나가서 ㅎㅎ
뒤로 빼는 방법도 해봤는대 헛 챔질이 많은거 같네요
이론은 드는게 맞는데 습관을 바꾸기 힘들더군요 .
그래도 잘 잡습니다.^^
대물출조객들이 많은 곳에서 월척이상 붕어 잡아서 자세히 보면
의외로 입터진 붕어들 많습니다.
고기걸어도 자기도 모르게
챔질이 강해서 터진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스넵을 사용하거나, 뒤로 빼기식을 했는데.. 초릿대 세워 보지도 못하고 2번 터지고 ,, 아님 수초에 걸리고..
전엔 그런일 없었는데.. 항상 월을 생각하며,,, 일단 강하게 챔하고,, 천천히 제압합니다..
그래도 습관을 고치기 힘들어.. 뒤로 살짝드는 챔을 가장 많이 씁니다. 수고하세요.
항상 안출하시길
작은넘은 텐트뒤로 뚝 떨어지고 ㅎㅎㅎ
대가 부러진 적도 있구요,
찌 허리가 부러진 적도 있구요,
어쩌다 작은 씨알은 나무에 걸린적도 있답니다, ㅠㅠ
워낙에 큰 씨알 위주로 풀다보니 순간제압 안되면 옆사람 대를 휴려감아서리, 아직 초보인지라,,
일반 붕어대물대 몇번 부러지고 은성 파워와인드조선경조, 강원 향어2, 강원 자수정대물2, 위주로 쓰고 손맛이 그리울땐 자수정큐 씁니다.
얼마전 4짜급 놓친것도 끄잡아 내는데 1분도 안걸렷으니...
강제집행으로 입술터진거 받침틀 앞에 끄잡아놓고 눕혀놓고 구경하다..나중에 들어올리려다..ㅠ
터진입사이로 바늘 빠지며 놓치고..잡으려다 저까지 물로 꽈당..^^
저도 자세 신경쓰면서도 습관적으로 대물이다,,란 느낌들면
찌오르면 양손으로 말탄 챔질자세..*침놓으면 ㅎㅎ
월척급들 미만은 당기면 날라오네요..^^~
고수님들 흉내 내야하는데..폼생폼사..ㅋ
낚시대에 휨새나 이론상에 이야기는 생각이 안나니 원^^~!
무조건 양손으로 강하게 하늘로 챔질하여 원줄이 물쌀을 가를정도로 했습니다. 그떈 입질이 대물인지 잔챙인지 구별을 못할때니까요 요즘은 무지막지하게 챔질은 하지 않는편입니다. 보통 예신이 들어오고 본신까지 이어질때 까지 찌놀음을 살피는데
큰씨알인지 작은씨알인지 대충감이 오더라구요~ 왜 느낌이란게 있지않습니까? 하다가보면 자연스럽게 터득하는 그런느낌
확실이 굵은 씨알일거라는 느낌이 올때는 과감히 강하게 챔질해줍니다. 그것도 본신이라는 확실한 감이 올때요~
대부분 모든 이론적 조건과 경험에 의한 느낌이 일치했을때 붕어의 바늘걸림은 윗턱또는 천장깁숙한 곳에 박혀있지요
입질이 짜증날정도로 앙증맞거나 잔씨알이라는 느낌이들때는 그냥 살짝 빠른속도로 들어올려 치는편입니다. 회원님들이 말씀하신 붕어주둥이가 뜯겨나가거나 다칠때가 종종있어요 ~
결론은 무조건 힘껏 챔질해서 손해볼건없지만 상황에 따라서 살포시 챔질하는것도 좋을것 같네요~ㅎ
맨날 붕애가 날라와 귀방맹이를 날립니다..T,.T
아직까지는 채비 터지거나 한적은 없네요.
사부님들의 충고로 뒤로 당기는 챔질로
바꾸었습니다
그떄당시 챔질하는 폼만 보아도 하순지, 고순지 구별이 가더군요...
하지만
어느덧 세울이 흘러
90년 초반으로 기억 됩니다
다른 사부로 부터 구식챔질이니 바꾸라 더군요...
뒤로 당기는 챔질은 큰놈 재대로 만나면
대 세우기 힘들 다고....
대 를 못 세우면, 뻗기 십상 입니다... 터지죠...
더구나 수초지역에서는 들어 챔질밖에 방법이 없죠..
밀집된 수초에서 주로 하다보니
챔질이 우왁스럽 습니다
또한 큰 놈일수록 턱에 꽂히는 경우가 많아 세게 챔질 합니다
붕어 씨알이 작으면 주뎅이 찢어지나 개의치 않습니다
센챔질이 어쩔수 없는 선택 이니 까요..
가끔
내림, 중층도 하는데
챔질 적응이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무의식 상황에선 야구처럼
본능의 폼이 나오니까요...
지금은 강하게 챔질해서 수초나 주변낚시줄을 못감게 수면위에 올려서 공기좀 먹여 제압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나머지는......다덜 아시죠???
100프롭니다
당기는 챔질은 낚시대의 휨새를 이용한 탄력을 살리지못해 고기의당기는 힘과 사람이 당기는 힘을 고스란히 낚시줄이 감당하게돼서 낚시줄에 부하가 많이걸리는 챔질 방법으로 낚시대의 탄력을 이용하는 들어채기보다 낚시줄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결국 들어채기보다 더 두터운 호수의 낚시줄을 사용해야 합니다. 낚시가 둔탁해지지요.
이곳는 수초를 낀 대물위주의 낚시가 주패턴이다 보니 낚시줄 두터운 것에 개의치 않는 분위기이나 어찌됐든 당기는 챔질은 들어채기보다 낚시줄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챔질입니다. 처음 가볍게 스넵으로 챔질후 서서히 대를 세워야 하는데 이곳은 수초를 끼고 낚시를 하는 경우가 많아 붕어가 날아다닌다거나 입술이 찢어 진다고 하는데 .... 거시기 합니다..
봉돌도 물위로 안올라오고 좋더군요.. 손목에 무리도 없고..
장애물이 있을경우에도 무리없이 잘 되던데...
내림 챔질식으로 챔질하면 후킹률도 좋고 괜찮을 듯 합니다만 수초를 끼고 있다면 기냥 두손으로 번쩍 들어 후다닥 물위로 끌어
올리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낚시대 소재가 가볍고 강하기 때문에 3.4칸이하는 손목스냅을 이용한 챔질후 바로 제압을 들어가고, 3.6칸이상의 긴대는 손목의 보호를 위해 들어올리듯 하는 챔질을 하고있습니다.
후킹이 되지않을까요. 대물낚시 수초지역은 무조건 뽑아 강제집행 않되면 내 고기 아닙니다.
그리고, 손목 스냅이용해서 위로 살짝만 채도 앵간한거는 다 후킹됩니다.
제대로 후킹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챔질 쎄게하면 붕어 주둥이 다 터집니다.
살살 챔질하세요. ㅎㅎ
수초군락지역 조건만 제외한다면 뒤로땡기시던지 세우시던지 아무렇게해도 되지 싶습니다.
참고로 뒤로땡기시면 자연스럽게 다들 45도로 대를 세우게 되더라고요..
챔질시 채비가 터질 우려가 있어요..
힘써야 했는데 45도 수준에서 손맛보듯 엉거주춤한 상태로 들고있다가 제가 오히려 제압당했죠.. 수초감아서는 결국...
대가 뿌러져라 하고 쭉 들어올려 걸어내는 방식은 원칙이 아닌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