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입문한지 1년도 안된 새내기 초보입니다.
요즘들어 낚시에 공부도? 나름하면서 연구도 하면서 낚시가 재밌어지고있습니다.
어릴적 공부를 이렇게 했더라면... 하하하
다름이 아니오라 현제 저의 채비는 스위벨채비이며, 원줄 모노4호에 유동봉돌채비로 쓰고있습니다. 찌맞춤은 케미고무가 살짝보이게 예민한찌맞춤을 해놓았습니다.
실제로 낚시를할땐 한목정도 나오게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예민한 찌맞춤으로 해놓았는데 입질이오면(주미끼는 지렁이입니다. )
찌가 3~5마디 쭉 올라올때 챔질을하면 거진 헛챔질이됩니다... 한번씩 찌몸통까지다올리는(몸통까지올렸을경우에도 헛챔질이많았음) 경우에는 챔질이되는데,,, 찌가 무조건 올라온다고 챔질을하는게 아닌가요...?
도무지 챔질타이밍을 모르겠습니다ㅠ
경험부족인지, 채비에 문제가있는건지...
선배 조사님들 도움좀주세요ㅜ
챔질타이밍과 찌맞춤에 대해서...
-
- Hit : 821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3
생미끼낚시에있어 떡밥낚시와는다르게
예민한채비는 그리도움되지않을걸로 생각됩니다
생미끼는 떡밥과달리 미끼를 흡입하는시간에 차이가있기 때문에
좀더무거운 채비를하셔야한다는것이죠
보통 지렁이낚시라하면
가장중요한것이 챔질타이밍이라 할수있습니다
경험많은 꾼들이라해도 떡밥과는달리 타이밍을 놓치는경우가 많은것도
그만큼 타이밍잡기가 힘들다라는것입니다
촌놈님~
보통지렁이가 입질을하였을때 몸통까지올라오기를 기다렸다가 챔질을하는것이
일반적이라할수잇며
위와같은촌놈님의 입질형태와챔질타이밍을 봤을때
채비가 가볍다보니 지렁이를물고 찌를들어올리것과
입안에흡입하는시간이 안맞다는것입니다
저는 스위스벨채비를 한번도사용해보지 않아서
그채비에대해 아는것이없습니다만
저의 짧은소견은
생미끼를운영하는것에비해 너무예민한찌맞춤이 문제가된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고요
여기서한가지더하자면
바늘의크기도 어느정도영향을 줄수있다고봅니다
저같은경우는
보통 생미끼에는 감성돔4~5호 정도를사용하며 환대를피한 여러마리의몸통끼우기를
하고있습니다
촌논님~
지금말씀드린모든것은 제가필드에나가 겪은 저만의경험치이므로
참고사항일뿐 정답은될수없습니다
아마도 좀더자세한것은 고수님들께서 많은 설명이있을거라봅니다
늘안출하시고
어복충만하시길 바랍니다
지렁이 입질이 보통 몸통까지 올라왔을때 챔질 타이밍 이라는말씀이시죠...? 제가 너무 급한가봅니다^^
그리고 무겁게 찌맞춤을 할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냥 봉돌만 무거운거 쓰면 되는건가요...?
!! 글루텐 사용을했을경우에는 챔질 타이밍이 언제쯤 인가요..?
지렁이미끼낚시라면 헛챔질이 많이발생합니다.
하물며 예민한맞춤에 스위벨을 쓰신다면 헛챔질
현상은 불을보듯 당연합니다.
같은맞춤이라도 원봉돌채비보다 스위벨채비는
좀더무거운 맞춤으로해야 헛챔질을 줄일수
있습니다.
요즘같은 고수온기에는 일반채비도 헛챔질이
많이발생하는 시기이니 스위벨채는 자제하시고
저수온기에 사용해보시라 말씀드려봅니다.
바늘 전체가 흡입이 안되는 잔챙이죠..
막말로다가 찌가 움직이거나 정점찍을때 어느때까도 바늘을 한입에 다 넣는정도의 크기면 앵간하면 다걸려요.
1봉돌에 목줄좀 길게 주시고 12~15cm정도
찌맞춤은 목줄+바늘은 빼시고, 캐미만 끼워서 캐미상단이 수면하고 맞도록 하시고,
찌맞춤이 끝난 후 목줄+바늘 연결해서, 캐미고무까지 수면위로 내놓고 낚시하셔보세요.
예민한 맞춤이면 입에 넣지않고, 툭툭 치기만 해도 그 반동으로 찌가 솟아오르거든요.
지렁이 같은 경우 온갖 자잘한 꼬마고기들까지 다 붙는 국민미끼라서,
찌맞춤을 약간 무겁게 가서 자잘한 입질은 거르고, 어느정도 본신에 가까운 입질에만 찌가 솟도록 약간 무겁게 맞추는 것이 낚시하시기 편하실겁니다. 물론 제걸림 확률도 많이 좋아지실거에요.
붕어가 지렁이만 입에 문 상태로 움직이기 때문이 대부분입니다
6치 정도 이상의 붕어는 지렁이를 통째로 바늘까지 함께 흡입하여
삼키려 하지만 작은 치어들은 지렁이 끝만 문채 바늘은 입밖에 있는 채로
움직이니 헛챔질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치어급 붕어가 몰려들었다고 판단되면 바늘을 큰걸로 교체하고 여러마리 꿰기를
하여 씨알이 큰 붕어를 골라 낚도록 하는 방법과
바늘에 지렁이를 누벼 궤되 지렁이가 바늘 밖으로 1cm 이상 남아 늘어지지 않도록
꿰는 방법이 헛챔질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채비와 찌맞춤은 여러마리 꿰기를 할 때 무겁게 맞추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헛챔질에는 크게 상관이 없지 싶습니다
찌의 움직에 따라 챔질 타이밍을 잡으세요
초보시라면 지렁이를 반잘라서 사용해보셔요.
끼우실때도 지렁이 끝과 바늘끝이 거의 일치하게 해보시라고 말씀드립니다.
바늘 목줄 당줄보다 모노줄 쓰시고 <지렁이>
지렁이 짧게 다시고 <지렁이 길게 달면 헛 챔질,,,>
찌가 그래도 촐랑대면 잡어의 성화가 의심되므로
미끼를 바꿔 줘 보심이,,,,
젤어려운게 지렁이 낚십니다
떡밥도 몇년 말아보니 할마나던데..
입질 지저분하다 찌오름폭 급겨기 커지거나 패턴이 달라질때가 챔질하면
훅키확율 젤 많습니다
깔딱이는거 채면 피곤해요
찌가 올라 갈때해도 헛챔질이 많이됩니다~
찌를 무겁게 쓰시려면 찌를 캐미까지 일단 가라 앉히면
조금 더 무거운 찌맞춤이됩니다~
하지만 지렁이 미끼는 잔챙이도 올릴수있기에
이걸구분하는건 지의 올라가는 속도로 느낄수있는데
이건 숙련되지않으면 구분하기 아주 힘듭니다~
그럼 조금 쉽게 잔챙이를 구분하는방법은 정상적인 붕어가 흡입
할때 후킹이 제대로 되어지는대 이경우에 찌의 올림은 3마디정도 오르다
잠시멈추고 다시 1마디정도 이상올라갑니다 이럴때 챔질하면 제대로 후킹됩니다~
아무리 찌가 하늘로 한번에 찌솟아도 챔질하면 헛챔질이 많이 발생하니
찌가 올라가서 딱 멈춤는 잠깐의 시간 그타임이 후킹 타임이라 보시면됩니다~
지렁이의경우를 말씀드린것입니다~
젤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내채비의 입질패턴을 알지못하면 아무리
챔질해도 후킹이 안돼네요
모두가 자기만의 방식이 있기때문에
본인이 지렁이미끼를 썻을때 입질이 들어와서
챔질해서 후킹했을때를 기억하심이
가장좋습니다 그리고 거기서 입질올때
또다른 방법으로 챔질타이밍 잡아보시고
그러면서 나만의 방법으로 찾아가는 겁니다
채비마다 챔질 타이밍이 다 다르기 때문에
내채비를 이해하는게 가장 빠릅니다
떡밥에서도 마찬가지구요.
봉돌을 조금 더 무겁게 하시면 개선 되리라 봅니다만
챔질 타이밍은 정석은 있으나 정답은 없습니다.
하물며 찌의 재질이나 형상등을 모르는 상태에서 정답 비슷한걸 제시 한다는건 어려운 일이지요...
나만의 챔질 타이밍이 정착되도록 상당기간 시행착오를 겪는게 좋습니다. 확률을 많이 높여주지요...
하지만 해 보시면 정답이 없다는건 바로 체득하실겁니다.
그게 그날그날 달라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래서 현장 적응력이 필요한거고 어느정도 경험이 쌓여야 하는것 같습니다.
남의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건 적어도 낚시에서는 그리 효율적이지 못할때가 많습니다.
1. 가벼운 찌맞춤
2. 잔챙이 붕어의 입질
3. 살치, 갈겨니, 피라미 등 잡어의 입질
이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살치나 갈겨니 등 잡어도 붕어보다 더 붕어스럽게
찌를 몸통까지 올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초보시라면 일단 윗분들 설명처럼 찌를 수평맞춤 정도로 무겁게 맞춘 다음
찌의 움직임이 있다면
1. 한마디 올릴 때, 두세마디 올릴 때, 몸통까지 올릴 때까지
2. 두어마디 올린 다음 끌고가는 입질
3. 살짝 잠겨서 끌고가는 입질
위와 같은 입질에 헛챔질을 각오하고 계속 챔질해보십시요
자신만의 경험과 요령이 생길 겁니다.
찌올림 폭에 집착하지 말고
찌의 움직임의 변화를 포착해야 합니다.
지렁이 입질은 정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1. 두세마디 올리더라도 찌가 멈추거나
2. 올라오던 찌가 기우뚱 거리거나
3. 살짝 올리다 끌고 갈 때
대체로 붕어가 나옵니다.
맨바닥에서는 두어마디 올리다 끌고가는 경우가 많지만
장애물 주변이나 수초 속에서의 입질은
시원하게 몸통까지 밀어올리는 경우가 많음도 참고하십시요
찌움직임이 빠르면 찌가넘어져도 소용없읍니다
찌가 깔작대도 오래연속성이있으면 챔질해도 됩니다
낚시에있어 정답은없읍니다
경험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언젠가 부터 지렁이에 손이 안가는~~
잡어가 뎀벼서요~~
채비가 가벼워도 헛챔질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감성돔바늘3호에5-6치도입걸림잘됨)
붕어입질 1 빠르게 큰폭으로 오르락 내리락 하다가 서서히 올라온다
2 찌가 갑자기 잡기며 옆으로 짼다
보통 이두가지 패턴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