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줄1호줄에(모노필라멘트)바늘달린줄 합사(케블라)0.8호사용하고요
편납홀더에 편납감고 찌는약....40센치정도에... (예)봉돌부력으로 얘기하자면요...
0.5호봉돌약간 깍은무게와비슷하게사용하는데요 (주위분들이예민한채비라고하더군요)
아참~저는 바닥낚시밖에는 할줄아는방법없습니다
궁굼한것은...편납홀더를 바늘달린줄 있는데까지 내리면 찌자체가움직이지를않고요
편납홀더를 바늘달린줄에서 약20cm정도올리면 찌는멋지게 올라오는데요...문제는요.. ㅜ.ㅜ
편납홀더를 올리고 사용하면 무조건 챔질시 헛방입니다.....
여러선배 조사님들 불쌍한 초보좀 갈켜주소서........
아~~~미티겠네영.....옆에서는많이잡아내는뎅...오늘도...한마리도못잡았어영
아무튼 새해 복 많이받으시고 건강한 한해가 되소서....
초보낚시 미치광이가 문의 드립니다......선배님들 도와주세영
-
- Hit : 692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1
바닥낚시는 중층이나 내림처럼 극예민 까지는 필요치 않답니다,,,
편납을 바늘있는곳 까지 내리면 입질이 없고 20센티정도 높이 올리면 멋진 찌올림에 챔질해도 헛방,,,
찌올림이 대류현상 때문에 올라 올수도 있고 떡밥이 떨어져서 올라 올수도 있을겁니다,,,
바늘에서 약 7~8센티 위에 편납을 달고 낚시를 하시면 조과가 달라질것 같습니다,,,
더 좋은 방법을 알고 계신 고수님께 패스합니다.
중요합니다
찌올림이 다소 느리지만 상승폭이 큰 형태를 원하시면 유선형의 다소 긴 몸통의 찌를 쓰시고
짧은 찌올림에도 바로 챔질하시는 스타일이시면 부력이 한곳으로 집중되어있는 몸통이 짧고 둥근 형태의 찌를 사용하시면
좀 더 나은 조과가 있을것 같읍니다^^
아무튼 연구좀해보아야할듯.....
새해복많이받으시고건강하세요! ~.^
편납을 올리지마시고 목줄길이를 조절해 보심이 어떠실지...
거의 내림에 가깝다고 하는게 맞을듯하네요...
바닥채비로해서 내림을 하시니 그런입질이 일어나는것입니다. 입질이 아니라 찌올림현상인거 같네요...
간단한 채비하나 말씀드릴꼐요...
편납을 사용하시데.. 목줄의 길이를 15~20cm정도를 주시고요. 바늘에서 4cm정도에 좁살을 하나 다셔서 사용해보시면 좋을듯하네요...
그럼 편납을 찌쪽으로 아무리 올려도 찌올림현상이 없어집니다.
찌맞춤은 모든채비를하고 캐미 완전 노출을하시고(예민한 채비를 선호하시는거 같애서..)
낚씨를 하실때는 찌를 수면에서 1cm정도 내놓으시고 하시면 좁살이 살짝 안착이 될것입니다...
그럼 좀더 좋은 찌올림과 헛챔질을 줄일수 있으실것입니다.
그래도 헛챔질이 자꾸 나온다면 챔질 타이밍을 바꿔가면서 해보심이 좋을듯하네요.
이상 허접한 답변이였습니다..
저의 지난 여름 청계산 모 낚시터 낚시시 일정 시간대에 나타났던 현상과 유사하군요.
그 낚시터에서는 꼭 여름밤 밤11시에서 새벽 2시까지의 시간대에 아주 우아한 입질에
챔질은 헛방인 일이 연속 한 3주간 나타나더군요. 첨에는 거의 미칠뻔 했습니다.
물론 채비는 님과 거의 같은 분할 봉돌 채비이고 분할 간격은 30cm(ㅡㅡ;;)였습니다.
(유동식 편납홀더 + 쫍쌀봉돌대신 8정도 바다 낚시용 맨도래+목줄 7~10cm, 원줄2호 목줄 1호)
답은 '내사랑민승'님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니 입질이 찌가 한 5~10cm 정도 올라오다
멈칫했다가 내려가면 놔두고 다시 올라가면 챔질.. 거의 한 80% 성공이더군요.
원인은 제 생각에는 그 시간대 그 양방에서 활성도는 좋으나 입질이 좀 약아 지는데,
가벼운 좁쌀이 예신으로 움직이면 찌에 과장대게 나타나는거 같았습니다.
예신에도 찌가 넘 크게 올라와 헛챔질을 하게 되는 것 같더군요.
이 방법도 안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잔챙이가 미끼에 덤비는 경우도 있습니다.
채비의 예민한 특성상 매우 작은넘(전차표)이 입질을 해도 찌가 마니 올라옵니다.
이 경우 바늘이 7호 이상이면 커서 안걸립니다.
으~~ 봉재지에서 당했는데, 몇시간 고생하고 바늘 3호로 바꾸니 전차표까지 나오더군요.
이 경우는 좁쌀 간격을 7~10cm로 해도 찌가 까부는 경우가 다반사 입니다.
일단 해결 방법 첫번째, 찌맞춤을 수면과 케미가 수평이 되는 약간 무겁게 하시고
그래도 찌가 넘 쉽게 올라오면 좁쌀 크기를 점점 올리고 본봉돌을 작게 하거나
그래도 안대면 아예 분할 간격을 0으로 하시면 잔챙이 건드리는게 찌에 안나타납니다.
경험에 의한 것이니 님의 경우 다른 상황일 수도 있습니다.
참조만 하세요. ^,^
좁살봉돌이나 목줄 연결 부분에 맨도래(좁살 대용)을 목줄에 추가 해주시면 대부분 안정된 찌올림이 보입니다
혹은 예민한 채비인지라 편납을 위로 올렸지만 워낙 저부력이라 홀더를 올렸지만
실상은 편납홀더는 바닥에 닿아 있을수도 있습니다 ^~^ 편납홀더을 올린만큼 찌를 더 올려야 된다면 홀더가 바닥에 붙는것이지요
0.5 정도 부력이면 어떤 편납홀더를 이용하는냐에 따라 감기는 편납의 양도 어마 어마 합니다 (그레봐야 개미 눈꼽이지만)
그 개미 눈꼽의 편납 차이에 저부력 찌는 2~3목 많게는 찌탑 전체의 부력의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극 저부력 vs 중저부력(2~3호 뽕돌~)
전 이 겨울에도 중저부력 선호 합니다 극 저부력의 미세함보다
이말을 따릅니다 (음~ 자주 가는곳 ㅋ 총무님이 한말)
'어느 정도 부력이 되야 밑에서 툭 하고 받아 처줄때 찌가 안정된 올림을 보인다'
늣게 글을 올리게되어 우선 죄송하구요...
님들의 고견을 참고로 오늘해법을 찾았음니다
간단한것이 최고라는 결론이죠......
편납홀더를 사용하지않고 전통바닥채비로 같습니다
0.5호봉돌 약간깍아서 사용하구요....원줄1호 목줄0.8호 바늘5호중층용스테끼바늘외봉
미끼는 글루콘인가요?섬유질이많은제품요....(다른거일절사용안함)
찌맞춤은 케미꽂이가 수면과일치하게(약간무겁게되나요?이렇게하면) 아무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우스에서 재미좀 보았읍니다(붕어19마리 잉어1마리)
찌올림이 약서너마디정도로 천천히올라오더군요
처음이라 단정지을수는없지만 이채비로 한번더 해보고 또 글올리겠읍니다
회원님들 동절기 건강하시고 만사형통 하시길 빌어봅니다 감사합니다
0.5호 뽕이면 좁살이던 그냥 전통 원뽕 이던
그다지 큰 차이 없을껍니다 역시 낚시 채비는 자기 만의 자신감이 생기고
어느정도 확신이 생겨야 여유로운 마음으로 낚시에 임하는거 같습니다
한번 자신감이 붙으시면 꽝을 처도 여유로워 집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어북 많이 많이 넘치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