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고수님들이 하도 많으셔서 이런질문을 드려야 할지 말아야할지 고민이긴 하나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은바로 질문함 드려봅니다.
카본라인 사용시 이단입수를 경험합니다.
원줄의 뒷줄이 쳐지면서 찌를 앞으로 당기고 그에 따라 찌가 한두목 더 내려가는현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떡밥을 제외한 낚시 특히 생미끼나 지렁이 낚시는 찌맞춤을 그리 예민하게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좀더 둔탁하게 만들어 확실한놈만 찌에 표현되도록 만드는거죠
떡밥낚시를 주로 하는 사람으로서 군계일학 성재현 사장님 말씀대로 카본라인을 사용해도 아무 상관없는건지
아니면 뒷줄이 쳐짐으로 찌올림이 둔해지는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아직 카본줄과 모노줄을 동일하게 비교해본적이 없구요 이전엔 계속 모노줄을 사용하다 최근에 카본줄을 사용하면서
찌올림이 예전같지 않다는 느낌이 자꾸 들어서 입니다.
카본라인 좋습니다. 직진성이나 내마모성을 따지면 여느 모노줄과 비교도 안될정도로 좋더라구요
한편으론 찌올림에 카본줄이 훨씬더 유리할것 같다는 생각도 드는데 아직 머릿속에서 정리가 안되네요
고수님들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카본라인이 진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건가요?
-
- Hit : 11087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6
중층에 머무르는 써스펜드 같은 줄은 없다고요.
줄은 물위에 뜨던가 아님 가라앉는 다고 하던데...
제생각엔 줄의 굵기는 영향을 좀 주긴하는거 같구요
너무 많이 생각하면 머리 아픕니다....차라리 포인트를 찾으시는게..
저또한 옥올림 하는데..... 카본 비중을 생각한 찌마춤 합니다
스위벨에서 비중 을 생각안한 찌마춤을 할경우 좁쌀과 본봉돌은 슬루프 형태를 나타냅니다
정확한 분납과 카본비중을 생각안한 채비는 입질이 빨고 들어가는 입질로 나타 납니다
카본줄 영향을 줍니다
원줄이나 목줄로 쓰는 카본라인도
그것이랑 같거나 흡사한 재료입니다.
다만 낚시줄보다 조금 굵을 뿐이죠.
찌맞춤 하실때 찌톱이 오르락 내리락 하죠?
카본원줄도 굵어지면, 그만큼 무거워지고
장대로 갈수록 원줄길이도 늘어나기 때문에 찌에 주는 무게부담도 낚시대 길이에 비례해서 더 늘어나게 됩니다.
일반적인 모노(?)라 불리는 라인은 순나일론으로 보면, 비중이 1.14입니다.
그것보다 좀더 가볍게 만들어서 요즘 유행하는 세미플로팅 타입은 비중이 1.07입니다.
카본라인은 보통 1.5~1.8수준인데...1.8이라 한다면...
이 세가지 라인들이 공기중에 있을때는 무게차이가 많아야 2배 이하이지만,
물속으로 들어가면 물의 부력 영향을 받아서
모노(순나일론)라인은 (1.14 - 1)로 0.14가 되고,
세미플로팅 타입 라인은 (1.07-1)로 0.07가 되고,
카본라인 1.8짜리는 (1.8-1)로 0.8이 됩니다.
세가지 라인이 수중에 잠겼을때 무게비는 0.14 : 0.07 : 0.8이 되는 셈입니다.
카본라인이 세미플로팅 라인보다 10배 이상 무거운 줄이 되는 셈입니다.
카본줄은 처음에 말씀 드린대로 찌톱과 성분이 같습니다.
낚시할때 "한톱만 더 올려라 한톱만...." 그렇게 잘 올려주지 않는 찌톱을 원줄로 사용하고 있는 셈입니다.
다만 원줄무게가 감안된 상태의 찌맞춤(일명 현장맞춤)을 한다면, 카본라인으로도 민감한 채비의 구사가 가능하지만,
낚시현장이 항상 현장찌맞춤 할때처럼만 항상 이상적이지 않은게 보편적이죠.
수초 같은 장애물이 하나도 없는 곳에서 민감한 찌맞춤을 했다가,
땟장이 앞으로 4~5미터씩 뻗은 곳으로 가서 낚시를 하면, 캐스팅 후에 좀 있으면
찌가 스물스물 찌 몸통까지 올라옵니다.
이거 대류때문에 그러는거 아니고,
현장찌맞춤 당시에 수중에 잠겨서 찌맞춤 무게에 관여를 하던 원줄무게가 땟장에 얹혀지면서
그만큼 가벼워진 채비가, 가벼워진 만큼 찌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이렇듯 수중무게가 무거운 카본 원줄과 예민한(찌톱 1cm~3cm를 오차범위로 하는)채비는 원초적으로 궁합이 맞지 않는 것입니다.
카본원줄 사용시 가장 좋은 바닥낚시 찌맞춤은 (바늘+목줄)빼고, 캐미끝이 수면에 일치에서 잠기는 찌맞춤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왜냐하면, 부력치 0.23g전후를 가지는 캐미가 어지간한 오차(수초위로 얹혀지는 원줄무게, 바람이 불어 수면이 일렁 거릴때 채비가 들떠서 흘러다니게 되는,,,,기타등등)
들을 다 커버해 줄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과 차이 엄청 많이 나더군요.
한 홋수와 한두 마디 올라오게 맞춘 찌맞춤에 그리 조과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도 놀라운 경험이었습니다.
전 원래 떡밥(글루텐 포함) 낚시를 잘 안해서요. ^^;
오늘 줄 갈아야겠네요 ㅋㅋ
- 카본줄 비중은 1.7 ~ 1.8 이고, 모노줄은 1.2 전후 정도라고 하며,,
- 경험적으로 3.2칸에 사용한 바리바스 슈퍼헤라 1.5호 (모노)의 무게는 0.22g이었고,
이에 대응하는 win-win 카본 1.5호는 0.40g정도였습니다. 대략 0.2g 차이가 납니다. (일반 케미 무게 차이 정도)
필요없는 걱정을 하시는 겁니다.
카본줄은 2호이하는 비중 무시하고 낚시해도 포인트만 잘 잡으면 큰 문제없이 낚시 가능하고요
모노줄은 당근 줄 긁기 신경쓰지 마세요
아셨죠?
내림낚시나 중층낚시 아니면 이 정도는 문제 없다 입니다... 고민하지 마시고 하세요
감사히 잘보고 갑니다~~~
카본 라인과 카본톱은 전혀 상관없는 재질입니다.
카본톱은 원소명 카본(탄소)을 고열처리하여 섬유(fiber)로 뽑아낸 뒤 성형한 것입니다.
따라서 카본톱은 카본과 접착용 수지가 소재이고 카본톱이라는 용어도 적절한 것이겠죠.
그러나 카본라인은 '폴리불화비닐리덴' 소재로서 카본과는 사실상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후로로카본'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후로로'가 '폴리불화비닐리덴'에 포함된 원소명 불소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카본라인을 처음 출시한 곳은 시가줄로 유명한 일본의 쿠레하社인데요.
라인을 개발하여 상표명을 붙일 때 당시로서는 첨단의 느낌이 강한 카본이라는 용어를 선택하여 '후로로카본'이라 정한 것 뿐이에요.
말하자면 카본줄에서 카본은 상표명일 따름이고 소재와는 무관합니다.
제가 개인적인 간단한 계측으로 카본톱이나 솔리드톱의 단위중량을 뽑아보니
1.55~1.65쯤 사이 었습니다(도료포함)
그래서 보편적인 카본라인과 실제 찌톱의
부력에 관련된 물성은 흡사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카본라인이 찌밎춤에 어는 정도의 영향을 미칠수 있는것인지에 대해 알아듣기 쉽도록
카본톱과 카본라인의 부력과 관련하여 물성의 유사성이 있음을 이야기 한 것이고
제조와 관련하여 고유한 재료가 같다는 표현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찌올림도 붕어맘.
전 카본쓰다 모노쓰는대 별차이못느끼겠어요
그냥 붕어맘아닐까요? 올릴놈은 다올리고 아닌놈은 아닌거같아요
비중 감안하여 찌 맞춤만 잘 하면 상관 없어요.
원줄 무게를 감안한 찌 맞춤 하시면 됩니다.
2.5카본에 수조통에서 바늘, 캐미 달고 캐미 완전노출(캐미꽂이 끝 수면과 맞춤)합니다.
현장 가면 카본 무게로 인해 봉돌이 살짝 안착 됩니다.모노는 카본 보다 비중이 가벼우므로 좀더 무거운 찌 맞춤 하시면 되겠죠.
저는 찌맞춤 기준이 투척후 적당히 느린 속도로 입수후 봉돌이 새우가 쉽게 이동 시키지 않을 만큼만 예민하게 안착 되게 맞춤 합니다.
그리고 중요한게 찌의 선택 입니다.
떡밥낚시때 자중 대비 부력이 좋은 찌, 붕어에게 이물감을 안줄 만큼 적당한 부력의 찌를 선호 합니다.
노지 바닥 떡밥 3.5g 내외가 좋고, 맹탕 옥수수 생미끼더라도 제아무리 가벼운 맞춤 하더라도 봉돌 5g이 넘어가면 잔챙이들의 입질은 급격히 떨어집니다.
가벼운 맞춤 하더라도 들어 올릴때 이물감이 가중 된다 입니다.
그러므로 저수온기 너무 고부력의 찌들은 예민성이 떨어져 입질 빈도수를 떨어 뜨린다 보시면 됩니다.
저의 생각이고 다른 조사님들의 의견도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