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케블러합사 목줄 강도....

원줄 카본 2.5호 쓰는데요 바늘을 묶음바늘을 샀는데요 ENTRY(목줄:듀퐁사 케블러합사3호) 질문1 : 원봉돌채비시 카본 2.5호 원줄에 이 묶음바늘(케블러3호)을 썼을때 비상시(?) 목줄이 터질까요 아니면 원줄이 터지려나요 질문2 : 스위벨채비를쓸경우 원줄(카본2.5호),1차목줄(PE합사1.5호) 1차목줄을 PE합사를쓴 이유는 줄이 터질경우 2차목줄(바늘목줄)이 터지게하여 스위벨을 분실하지 않기위해 이렇게 사용했는데요 이때 바늘목줄을 어느정도를 사용하면 스위벨까지를 유지할수있을까요 카본2.5호와 PE합사1.5호보다 약하면 될거 같은데 PE합사와 케블러합사는 인장강도면에서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까요 원줄(카본2.5호)+ PE합사1.5 + 케블러합사3호(ENTRY묶음바늘) 이렇게 쓰면 원줄이 터지겠죠? 채비 준비하다가 이렇게 저렇게 생각이 많습니다 채비에 관한 고민도 나름 재미있는거 같습니다 ^^;;(아직초보라서요 ㅎㅎ) 내일이 입춘이네요 이제 봄이네요 푸하하하하하하하하하 회원님들 모두 모두 건강하세요~~~~

제 경험에 비추어 답변을 드리자면,
질문 1에 대해서는 원줄이 터집니다. 케블라 3호 엄청 강합니다.
질문 2에 대해서는 PE 1.5호 보다 케블라 1.5~2호 정도를 권해드립니다. 제가 써본 바로는 PE1.5호가 생각외로 약하고 너무 부드러워 엉킴이 심하더군요. 아니면 아예 중간목줄 없는 해결사채비도 좋아보입니다.
참고로, 카본 2.5호로 스위벨채비 하시면 2단입수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저도 다음에 채비 바꿀땐 원줄을 세미플로팅으로 바꿔서 해결사채비로 한번 해볼 생각입니다.

안출하시고 어복 충만하시길....
아, 질문2에 대한 답변으로 1차목줄을 저렇게 바꾸시면 당연히 바늘쪽은 더 약한걸로 바꾸셔야 합니다.
그런데 시중 묶음바늘은 케블라 목줄은 다 굵은 것밖에 없을텐데...
직접 더 낮은 호수로 묶으시거나, 닭무리학한마리(?)에서 묶음바늘로 파는거 쓰시면 됩니다. 당줄이 케블라보다 약하거든요.
그럼...
질문1 답은 원줄 터질확률이 높습니다.합사1호줄이 웬만한 원줄4호줄 이상 강도 나옵니다. 합사줄0,6써도 웬만한 고기 잡아도
충분히 버팁니다. 웨냐면 대탄성하고 원줄이 어느정도 인장강도는 버텨줍니다.

질문2 답은 1번 참고하세요 원줄 사실때 보면 인장강도 나와있으니 그거를 참고하셔서 목줄인장강도가 원줄보다 반혹은2/3 정도
약한걸 선택해야 원줄이 보호됩니다...
윗조사님들 말씀과 같이 질문1에서 원줄이 거의 터집니다. 저는 원줄 2.5호일경우 목줄은 케브라 1호이하로 사용합니다.
그래야 원줄손상을 방지할수 있는것같군요.
그리고 질물2번에서도 PE라인 1.5호면 원줄이 끈어집니다.
PE라인 1.5호의 강도가 케브라목줄 3호정도의 강도가 되는듯합니다.
PE라인 생각보다 엄청질깁니다. 제경우에 PE라인 1.5호정도면 원줄4호이상을 사용합니다.
원줄이 두꺼워지면 입질이 둔탁해지니 참고하기길....
감사합니다^^ 초보라서 여기저기 올라온 글만보고 배우다 보니 어렵네요
그냥 낚시점에가서 묶음바늘(바늘7호) 샀더니 이제야 확인해보니 케블러 3호더군요
독야독조님 말씀처럼 학(?)이 있는그곳에서 당줄로 묶어진 바늘 써야 할거 같습니다
케블러로 묶어진 묶음바늘은 제가 가지고있는 원줄에는 사용하지 못하겠군요.. 괜히 샀네요 ㅠㅠ;(아까워요ㅠㅠ)
독야독조님 그리고 2단입수가 뭔지요 그럼 카본 2.5호에서는 스위벨채비를 쓸수 없는건가요?
2단입수는...
원줄 무게로 인하여 찌가 안착한 후, 한 두 마디 더 잠기는걸 말합니다.
카본 줄이 물에 가라앉다보니 그 무게로 인해 추가로 찌를 끌어내리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이것때문에 스위벨 채비를 포기하고 원봉돌채비로 돌아왔습니다. 게다가 유속있는 곳에서도 힘들어서...
그런데...
그 채비로도 고기는 많이 잡았습니다. ㅎㅎ
어이쿠~
카본2.5에 캐블러 4호면
원줄이 안나가면 대가 부러질 겁니다.

원줄 카본5호
목줄 케브라합사2.5호
바늘 감성돔3호의 조합에서

밑걸림 생겨 수평으로 당기면 100% 바늘이 부러지거나 펴집니다.
바늘이 먼저 안터지면 1~3번대 절번 물림이 터질겁니다.
케브라 합사의 강도를 가늠 할 수있지요.
케브라합사가 강할거라 예상은했는데... 낚시점에서파는 묶음바늘이 대부분 케브라로 묶어진 것밖에 없어서...ㅠㅠ;
군x일x에서 당줄로 묶어진걸로 구입하는방법밖에 없군요 -_-;;
그냥 직접 묶어서 하세요
몇번 묶어서 손에 익으면
본인이 하고 싶은대로 묶어서 편해요
사용하신 제품명이 없어서 답이 조금 틀릴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원줄 : 2.5호 (제품명 없네요 10,000원 이상이면) 무매듭 & 강화8자 매듭시 :약 4.5k, 일반 8자 : 약 3.5K (같거나 조금이하)
목줄 : 듀퐁사 케블러줄로 사용하셨네요. 3호에 견딜려면 5호줄 사용하시구요. 2.5호에 견딜려면 1호 정도면 비슷합니다.
엔트리 합사도 1호줄이 약 3k 정도의 매듭강도를 보입니다. (8자매듭과 바늘매듭)

해서 사용하시는 원줄이 2.5호 카본줄이시면 목줄 :케블러 1.0 ~ 1.2호를, 또는 당줄 3호를 권장합니다.
# 당줄 3호가 약 3k의 결정강도를 보이더군요 ^^

참고가 되셔서 꼭 498하시길 ... ^^
케블러는 생각보다 약해서 오래전에 붕어용 목줄로만 사용했었습니다. 물론 같은 호수일경우 카본이나 모노보다 케블러가 훨~신 강하고요

만일 원줄과 같은 호수에서 케블러가 약하다면 케블러 호수대비 직경이 얇꺼나 정품이 아닐것 같습니다.

목줄중에서 같은 두께일때 강도는

당줄 < 케블러 < PE합사 입니다.
아.. 그리고 묶음 바늘중에서 케블러 합사 목줄쓴 붕어바늘은 목줄 강도 별로 신경 안써도 됩니다.

붕어 9호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면... 목줄 강도와 상관없이 바늘 펴지거나 부러집니다. 물론 원줄이 너무 얇으면 원줄 터지겠지만요

보통 6~7호 붕어바늘의 경우 : 원줄 2~4호 정도의 강도 뿌니 안나옵니다.

묶음 바늘 제조시에.. 같은 호수에서 바늘 강도가 우수한 제품 쓰려면 단가가 많이 오르겠지만... 목줄의 경우 2호사용하나 3호 사용하나 단가차이가 미미하니.. 그냥 튼튼한 목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아요

바늘을 직접 묶어 쓰는게 제일 좋지만, 번거롭거나 어려워서 안한다면.. 원줄대비 좀 작은 붕어바늘을 사용하면 대부분 바늘이 터집니다.
원줄 카본2호에
케블라합사 1.5호~1호
바늘 다나고 8호 이하 손수 바늘묶어
찌는 수평맞춤하여 떡밥낚시 하면 되지요
이것 저것 다해봤는데 간단한 이 채비에 잡을수 있는 민물고기는 다잡을 있어요.
단 6개월지난 줄은 과감히 교체하세요
골치 아프게 하면 힘들고, 스트레스 더받고, 조과는 차이없고 즐기는 낚시가 아니라 오히려 피곤해져요
대물낚시가 아니라면 그냥 간단히 하세요
모노 1.5호에 PE합사 1호 이하씁니다.. ㅎㅎ

원줄 터지는 경우는 없지만요 가끔 봉돌이 없어집니다 ㅡ,.ㅡ;;;;;;;;;;;;;;;;;;;;;;;;;;
다른 내용들은 윗분들이 잘 설명하셨고 덧붙인다면
케브라 와 PE의 차이점은 뻣뻣함과 부드러움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1차 목줄은 케브라 , 2차 목줄은 PE 쓰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강도를 확인하시고 호수 선택 하면 됩니다.
원줄 강도>1차목줄 강도>2차목줄 강도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