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터가 세다고 하는 저수지에서의 낚시

일반적으로 터가 세다고 하는 저수지에서는 붕어낚시가 유리한지 아니면 잉어낚시가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이곳은 대물터로 알려진 관리형 저수지 입니다.

대상어종을 어떤 것으로 정하는 가는 취향의 문제이면서

저수지에 주로 푸는 어종에 따라 결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당일 고기의 활성도에 따라 어종을 선택하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다른 조사분들이 잡은 고기를 보면서, 혹은 물어보면서 내심 결정하겠지요.


터가 센 곳에서는 입질 자주보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므로, 요즈음 어쩌다 한 번 출조하는 제 경우는

어종 불문하고 찌맛, 손 맛을 자주 보는 것을 원합니다.

관리형 저수지라면 붕어낚시를 하는 편이 찌맛이나 손맛을 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가끔 걸려나오는 잉어는 보너스 손맛이라고 생각하고 낚시하면 어떨까요?

저라면 대물터에서는 붕어낚시용으로는 둔한편인 3 - 4호 정도의 원줄에 3합사 정도의 목줄, 바늘은

후지크 이두메지나? 9-10호 정도로 채비하고 붕어낚시를 하겠습니다.

낚시하는 당일의 고기의 활성도나 나오는 빈도수에 따라 잉어가 붙은 것 같으면 바늘을 교체해주면 되겠지요.

36칸 쌍포로 붕어낚시하다가 어지간한 잉어/향어는 보너스로 그냥 끌어내는 것이 재미있더군요.

미터급의 초대형 대물만 아니라면 어지간한 잉어는 제가 주로 사용하는 노을 36대로 충분히 꺼낼 수 있습니다.


깜박하고 들어가는 잉어입질 보는 것도 피곤하고, 대물채비에 240 - 350g 넘는 바다민장대를 사용해서

자주 품질하기도 힘들고, 어쩌다 한두번 오는 입질에 심심하기도 하고요.

붕어입질이 거의 없으면 포인트에 따라서는 지렁이를 이용한 메기/장어낚시나 아님 잉어대물 낚시로 전환합니다.

어차피 꽝맞을 바에는 큰 것 하나 노려보는 거지요.
무교..무신론... 하지만서도
가끔 댕기다보면 계곡형 저수지 안쪽을 탐하게 됩니다
붕어터는 존디 ....자신이 갇힐것같은 분위기...
억눌려 조여오는 분위기 ...(뭔지 모르게 답답~~허지요)
절대 그런곳에서는 낚시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아침에 철수 하려면 밤새 헛귀신에 시달리고 다리에 힘빠져서리 ..ㅡㅡ;;
아마도 호래비 신령님이
사람들 들어오지 말라고 하는것 같습니다 ^^*
산붕어2님과 Enter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