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계곡지가 있는데 육식어종도 없고 오직 붕어와 새우밖에 없는데요....
여긴 희얀한게 평소 입질이 드물기도 하지만 떡밥 옥수수에 물리면 7치이상이고 잔챙이급 입질이 전혀없습니다 큰고기가 있으면 당연히 잔챙이도 있고 특히 토종터라면 잔챙이가 많을텐데 왜항상 잔챙이가 한마리도 안잡힐까요ㅎ 물은 몇년동안 한번도 안말랐다는데... 그물질의 영향으로 잔챙이가 전멸할가능성도 있나요?
토종터 잔챙이 자원없는 곳???????
-
- Hit : 5471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1
맑은물색때문에 잔챙이들은 연안으로 접근을 안하는것같고 어느정도 씨알되는 녀석들은 본능적으로 새우를 탐하던지 연안에서 먹이활동을 해서 그런것 같습니다.
제가 자주 가는 토종터도 위 상황과 비슷합니다. 배스, 블루길 없고 자생새우 많습니다. 요즘 같은 무더운 날 수면위에서 노는 치어에서부터 4~5치 많이 보입니다만
글루텐, 옥수수를 썼을때 6치 이하는 구경 잘 못합니다.
떡밥을 조금 단단히 쓰거나 바늘이 크면(감성돔2~3호) 잔챙이포함 4~5치들은 대부분 걸러지는 편이었습니다.
옥수수는 잔챙이도 먹지만 옥수수 알을 골라 쓰시면 그리고 델몬트처럼 태국산 단단하고 알맹이가 큰 걸 쓰면 최소 6치부터 잡히더라구요.
님께서 떡밥을 어떻게 운용하시는지 옥수수를 어떤걸 쓰시는지 그리고 바늘홋수도 어떤걸 쓰시는지 모르겠으나 작은바늘에 지렁이를, 떡밥을 조금 묽게 쓰시면 4~5치들도 잡힐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물질을 설령 했더라도 큰 붕어를 잡을려고 할 것이고 작은 치어나 4~5치를 취했을 확률은 낮아보입니다.
지렁이나 떡밥 쓰면 5치급이 붙기도 하지만
새우나 참붕어 쓰면 7치 이하는 아예 입질도 안 합니다.
계곡지 중에 그런 터 의외로 많고
잔챙이 많은 곳은 생미끼가 특효입니다.
우리동네도 한군데 있습니다 ㅋㅋ 잡았따하면 9치...
저랑 같이 가시면 잔챙이 구경시켜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