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토종붕어는 (1)입부터 아가미까지의 길이 보다 (2)아가미부터 등지느러미 시작부분까지의 길이가 더 깁니다
(아가미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말임)
2. 눈알이 떡붕어와 비교해서 작다
3. 꼬리 지느러미의 생김새가 둥그스름하다 (떡은 날카롭고 뾰족하다)
4. 아가미안에는 물과 함께 플랑크톤이나 먹이감을 걸러내 주는 새파라는 기관이 있는데 토종붕어는 새파의 갯수가 최대 44개정도인데 비해 떡붕어는 최대 118개 정도로 토종보다 훨씬 많은 갯수를 가지고 있다
5. 토종붕어는 아래턱선이 매끄롭다 (떡붕어는 약간의 각이 져 있슴)
6. 눈의 위치가 다르다 (토종은 입과 꼬리지느러미의 중앙부분과의 일직선이 중앙선이라고 본다면 이 중앙선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떡붕어는 중앙선상에 위치한다.
7. 체형에 따라 다르다.
토종붕어는 체형이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매끄로운데 비해, 떡붕어는 일본에서는 헤라붕어라고 말하는 것처럼 아가미 뒤쪽이 급격히 체고가 높아졌다가 꼬리까지 가느다란 형태로 전체적으로 보면 마름모와 흡사한 주걱과 같은 모양이다 그리하여 일본에서는 주걱(헤라)붕어라고 불리운다
8. 창자의 길이가 다르다 (토종붕어는 창자의 길이가 몸길이의 3배정도이나 떡붕어는 몸길이의 최대 6배가량까지 길다. 이는 소화력이 토종보다 강하다는 것을 뜻하고 이때문에 토종붕어는 25Cm~3Cm/년 떡붕어는 9~10Cm/년 의 성장률이 달라지는 이유이다
저게 토종으로 보이시는분들이 계실줄이야...그리고희나리는 절대 고유 토종이 아닙니다. 예전 국내 어류 학자가 희나리 연구를 위해 안동댐인가 어디서 표본채취를 하는데 어부들과 낚시꾼들이 가져다준 희나리가 모조리 떡이 었다는 글이 생각나네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희나리는 떡붕어를 교잡하는 과정에서 나온 한 갈래로 알고있습니다.
개체 발생시기가 이미 일제시대라고 했던가...
시기상 발생시기가 충분히 토종고유종으로 오해할만하죠
월척사이트 어디선가에도 관계자료가 있을겁니다
그래도 월척급 손맛보신것 축하드립니다
여튼 축하드려요
토종붕어와 떡붕어를 구별하는데 몇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1. 토종붕어는 (1)입부터 아가미까지의 길이 보다 (2)아가미부터 등지느러미 시작부분까지의 길이가 더 깁니다
(아가미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말임)
2. 눈알이 떡붕어와 비교해서 작다
3. 꼬리 지느러미의 생김새가 둥그스름하다 (떡은 날카롭고 뾰족하다)
4. 아가미안에는 물과 함께 플랑크톤이나 먹이감을 걸러내 주는 새파라는 기관이 있는데 토종붕어는 새파의 갯수가 최대 44개정도인데 비해 떡붕어는 최대 118개 정도로 토종보다 훨씬 많은 갯수를 가지고 있다
5. 토종붕어는 아래턱선이 매끄롭다 (떡붕어는 약간의 각이 져 있슴)
6. 눈의 위치가 다르다 (토종은 입과 꼬리지느러미의 중앙부분과의 일직선이 중앙선이라고 본다면 이 중앙선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떡붕어는 중앙선상에 위치한다.
7. 체형에 따라 다르다.
토종붕어는 체형이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매끄로운데 비해, 떡붕어는 일본에서는 헤라붕어라고 말하는 것처럼 아가미 뒤쪽이 급격히 체고가 높아졌다가 꼬리까지 가느다란 형태로 전체적으로 보면 마름모와 흡사한 주걱과 같은 모양이다 그리하여 일본에서는 주걱(헤라)붕어라고 불리운다
8. 창자의 길이가 다르다 (토종붕어는 창자의 길이가 몸길이의 3배정도이나 떡붕어는 몸길이의 최대 6배가량까지 길다. 이는 소화력이 토종보다 강하다는 것을 뜻하고 이때문에 토종붕어는 25Cm~3Cm/년 떡붕어는 9~10Cm/년 의 성장률이 달라지는 이유이다
토종붕어는 아래입술과 윗입술이 비교적 같은 위치에 있지만, 떡붕어는 아래입술이 윗입술보다 더 앞쪽으로 튀어 나와 있다
토종붕어는 35센치가 되면서부터 아가미의 윗쪽이 둥그스런 혹이 돋아나게 되는데
이 혹부리가 바로 4짜로 가는 준비과정입니다
토종붕어 맞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이질문......
중층한달만 해보시면 떡 ,참 ,희
감딱 오는데...
묻지마 떡입니다!!
그냥 스쳐봐도 떡입니다
희나리랑 헷갈릴수도 있겠네요
떡떡떡
채비운용...
현장 상황...잡힌 물고기를 대입해 보시면
답나옵니다
가차없이 떡
희나리 비스무리 하네요
어디에도 확실히 토종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아직 정확히 모르는걸루 알고 있습니다...
낙동강 주의에서 흔히볼수 있는데 토종이라 핏대세우시는분 많으신데 저도 토종 이였음하는데
확실한 토종인줄 모르겠네요
헷갈릴수도 없는 떡 같네요 ㅠ
떡으로 보여집니다
떡은 동물성도 먹지만 주로 작은플랑크톤이 주먹이로 알고있구요 그래서 새파가 더많고 장이발달 된걸로 압니다
육식동물은 장이짧고 초식동물은 길덧이요 주먹이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장길이는
성장에관련 상황에따라서 붕어도 4년정도면 월척까지 자란다고 알고있어요 서식환경이좋을때
죄송하지만 배를갈라봐야 정답이 어종구분 힘더시면 비슷한놈들 해부하심이 제일좋은거같아요
모양새는 비슷해도 장기는 태생을 몬속이지 않을까요
희나리가 내장이 떡이랑 조금 작은지큰지 차이가 났구요 정확진 않구요 붕어>희나리>떡
첨중층할때 해부한기억이 나서요
1.떡붕어
희나리
그냥 웃고 가지요~
장난은아닐꺼고 낚시는 한번이라도 해본사람인지...
또서식환경에 따라서 체형도 많이 달라지죠 붕어도요
이놈은 사진상어론 붕어입니다
하지만실물은 중국붕어입니다 님들은 사진만봐서 구분하시곗어요
같은곳에서잡은 두넘은 붕어 마지막에인는 넘이 윗사진넘입니다
제가 직접 잡았고 주둥이 주름 확인하고 만약에 이사실을 말않하고 붕어라고 글올리면 구분하시겟어요
세마리 사진속에선 좀차이가 나죠 이렇듯 사진상 구분이힘든 사진도 있다는걸 좀 알아주세요
저늠을 토종으로 보는분들은 아이러니하네요^^
낚시안다니는 울집 마누라도 토종은 아니랍니다^^
희나리는 어떤 책에서 보니 우리나라 고유토종어로 나와있었는데...
그게 잘못 된 건가요??? --;;
체색이야 사는 환경에따라 그렇지만
사진으로 봤을때 부분적인 생긴세는 희나리 아주 조금 냄세는 나지만
전채적으로 보면 그냥 떡이네요
어종을 글로만 배우니깐 실제 구분못하시는듯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