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비구성; 원줄-핀도래-고리봉돌-바늘채비 찌맞춤; 물속에서 고리봉돌이 서서 한쪽끝이바닥에 닿아있는 상태 계속해서 의구심이 드는것은 핀도래의 핀과 고리봉돌의 고리 간의 유격간격이 입질표현과 챔질타이밍에 정말 아무문제가 안되는건지요?
입질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대신 전 핀도래부분에서 도래에 해당하는 부분은 잘라내고 핀부분만 사용합니다.
봉돌교체도 할수있고 쇠링사용도 할수있어 편하네요
저도 첨에 봉돌고리와 핀과의 결속부분에대한 고민을 한적이있는데여
사용전이나 사용후나 챔질이나 입질에대한 차이를 못느껴서
계속 사용중입니다
사이즈는 1cm이하 작은거 사용중인데 장점이 더많은듯해요
저또한 지금 떡밥낚시와 생미끼 대물낚시에 사용하고있는데. 확실히 좋고 편합니다.
절대 입질표현과 챔질타이밍에는 지장이없습니다. 오히려 수직면에서 채비를 약간정렬해주는 좋은현상이생깁니다..
수조통안에 그물망(?)처럼생기고 옆에 철사(?)처럼생긴것하고 연결된거를 수면위로 천천히 올려보시면
핀과봉돌고리와의 유격이 생기는지 안생기는지 알수 있을겁니다,
봉돌은 가라안으려고하는성질이고 찌는 물위로 뜨려는성질이라 봉돌이 들리면 찌도 또한 들리게 되죠
피래미입질처럼 순식간에 들어올린다면 모를까 천천히 올라오는경우는 유격이 안생길겁니다
핀도래와 봉돌고리 사이의 유격때문에 사각이 안 생기는지 궁금해서.
채비 다 하고 바늘끝에 실 묶고 수조에다 다 넣고 실을 당겼더니 바늘이 바닥에서 들리는 동시에 찌가 올라오더라고요, 그래서 아주 빨리도 당겨 봤죠, 역시나 아무리 빨리 당겨도 동시에 찌가 상승하며 봉돌을 들어 올렸습니다.
결론은 핀도래와 봉돌간의 유격으로 인한 사각은 사람이 인지하는 한도내에서는 전혀 사각이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