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봉돌교환을 쉽게하기위해 핀도래에 봉돌을 바로연결하여 사용하는분들이 많은것같은데
붕어압질시 봉돌이 윗쪽으로 움직일시 찌가 거의동시에 상승하여 붕어가 이물감을
많이 느끼지 못할거라 생각되어지지만 봉돌의 좌우움직임에는 유격이 심하여(봉돌과 원줄을 직결매듭했을경우보다)
많은 이물감과함께 찌의상승에도 많은영향을 줄거라 생각됩니다.
물론 활성도가 좋을시는 먹성이 강하여 큰제약을 받지않겠지만 저수온기나 활성도가 미약할시에는 영향이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여기까지는 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핀도래에 봉돌을 연결해서 사용하시는분들의 의견을 여쭤봅니다.
핀도래에 봉돌연결문제
-
- Hit : 1452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3
실보다는 득이 많은듯 합니다.
이유로는 봉돌이 생각많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지요
부력과 침력사이에 중간에 핀도래가 유격을 준다고 해도 얼마만큼이나 유격을 줄지가 의문이구요..
이유격을 우리 낚시인이 얼마나 예민하게 받아들이는냐에 문제일듯 합니다.
결과만 놓고보면..고/저수온기든 우려할만한 상황은 안되는것 같습니다..
어쩌피 퐁당 채비이기 때문에...
그리고 관리형 에서 떡밥 낚시를 할때도 크게 영향이 없는듯 합니다..
저수온기 스위벨채비에도 별다른 영향을 주지는 않는듯 합니다..
올리는만큼 같이 찌가올라옵니다 핀도래에 공간이있어서 찌올리는데 걸림돌이 될줄알았는데
그렇지않았습니다 대물채비에는 핀도래안쓰고 분납채비에만 씁니다
핀도래의 편리성을 알면서도 그리고 왠지 촌스러 보이기도 하여 사용을 안했지만
작년 봄부터 노안으로 안경 안끼고는 밤에 채비교환이 불편해져(원줄을 가늘게 쓰는 편이라 원줄고리에서 봉돌교체시 리턴이
잘 안됨) 할수없이 눈물을 먹음고 모든 채비에 핀도래 부착해 사용합니다
아~~ 한때는 양쪽 전부 1.5였는데.....
쓰니까 편하긴 한데도 찌의 반응의 예민도와 관계없이 좀 깔끔하지 못한것 같아
좀 그렇네요
편리함에 만족하고 있고요...
핀도래(스냅도래)에서 도래를 제거하거나
처음부터 스냅만 구입해서 사용하면 찜찜함(??)이 줄어듭니다.
정말 실보다는 득이 많~~~~~~~은 소품입니다.^^*
저는 삼봉낚시님에 의견이 가장 공감이 가네요.
채비는 일단 간결한것이 제일 입니다.
삼봉낚시님처럼 저도 시력이 1.5였는데 노안이 와서 지금은 돋보기 사용해야하는 처지입니다.
저는 예민한 맞춤으로 떡밥낚시만 고수하는 사람입니다.
편리한것은 사실임인데 채비의 간결함도 그렇고 예민성에서 손실이있지 않을까 걱정되어 고민입니다.
저도 사용하는건 핀도래가 아니라 스냅핀입니다 핀도래보단 스냅핀이 좀 덜 하긴하지만....
전에는 편납을 쪽가위로 미세하게 잘라 무게가감을 했는데 이제는 스냅핀이 있어 남들 처럼 쇠링으로 침력가감을 합니다
근데 이 쇠링이 제눈에는 또 거슬입니다. 에휴~~
개인적으로 간결한 채비를 선호해서 특별한 경우아니면 왠만해선 어떤 종류의 분봉채비도 잘 안하는 편입니다
예를들어 10푼짜리 찌를 분봉채비하느니 5~ 6푼짜리 찌를 외봉돌채비로 합니다
경험상 예민함에 있어 더 낫다고 생각하거니와 (물론 틀린거라 말할 사람도 많겠지만)
무엇보다 주렁주렁 메달린것 보다 간결한 외봉돌이 좋아서요
그나저나 해가 바뀌고 시력이 더 안좋아진것 같습니다
가벼워 집니다.그때 핀도래 연결되어 있으면
중층용 금속 오링을 사용하면 부력을 맞출수 있고 떡밥낚시시 오링을 가감하여 예민하게 맞출수도 있습니다.핀도래 단다고 붕어가 찌들어 올릴때 이물감을 더 느끼지 않습니다.
추가로 한낚시대에 필요에 따라 용도에 맞는찌로 곧바로 바꾸어 쓸수도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봉돌 교체시 비싼 원줄을 자르지 않아도 되근요.
다만
도래가 바닥에 닿을 경우와 봉돌이 바닥에 달을 경우
물밖에서는 인지하기가 쉽지않죠.
만일 이를 알지 못하면 피곤한 낚시가 되는 것은 뻔 하지만
수조 맞춤시
상태를 잘 파악해서
현장맞춤도 동일한 조건을 응용하면 해결됩니다.
수조에서 한번 해바야 겟네여
좋은글 잘읽고 갑니다...
핀도래라는 표현은 틀렸네요.
핀도래에 도래를 제거하면 스냅핀이 되겠죠.
올해는 함 스냅핀을 봉돌에 연결하여 사용해봐야겠네요.
저는 봉돌도 고리봉돌사용하는것도 탐탁치않게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아직도 조개봉돌을 애용하여 사용중이고 (요즘은 조개봉돌도 구하기가 쉽진않더군요)
이유는 원줄과 봉돌과의 굴절을 없애기 위함으로 예민함이 더좋다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편리함의 이유로 고리봉돌을 많이 사용하는것과같이 스냅핀사용도 대세인가봅니다.
민감도에서 차이가 없다면 참으로 여러면으로 편리하고 유용하겠지요.
너무 깊이 생각 하신듯 싶네요.
찌 맞춤이 어떤지에 붕어가 이물감을 느낍니다.
밑으로 당겨주던게 올라오면 찌의 부력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올라갑니다.
밑둥치는 봉돌이 잡아주고 위는 찌가 올려주고 긴장상태유지!
많이 편리한것같아요...
특히 옥내림..목줄 교체를 자주하는경우는...
목줄 길게 달면 옥내림,목줄 짧은것에 제거된 도래 2개정도만 스냅핀에 걸면 바닥체비가 되요...
교체쉽고 원줄 안잘라먹고 장소 시기별 봉돌 가감해서 쓸수있고
찌맟춤의 원리만 잘 이용하면 더 편한 낚시가 될듯 합니다.
우선 노지에서 밤에 무지 편리합니다. 찌와 목줄의 교체시 가장 빠릅니다. 채비의 변화도 자유롭습니다.
단, 핀도래와 스냅핀의 자체 무게로 인해 예민한 맞춤을 원하는 분은 수조에서 찌맞춤시 봉돌에 핀도래와 스냅핀을
단 상태로 맞춤을 하셔야 한다는 것이 약간 불편합니다.(저는 그래서 모든 낚시대의 핀도래와 스탭핀의 호수를 일정하게 유지함 )
대물낚시의 풍덩채비에서도 막상 핀도래와 스냅핀의 무게를 고려하지 않고 측정한 부력의 차는 예상을 뛰어넘는 다는 사실을
인지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