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하우스 낚시의 홀더 분납을 이용한 올림 채비도 입니다.
이 채비법은 몇년 전까지 양어장 장찌(1m 50cm~) 낚시에 빠져 살았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의 채비법을 응용하여 극히 예민한 하우스 붕어들의 찌올림을 상향시키기 위함이
목적인 채비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린다면 하우스 기준 찌의 부력은 고리봉돌 3호(9푼/3.3g) ~ 4호(11푼/4.1g)
정도가 최적일 거라 생각합니다. 이하 부력의 찌는 까불거림이 많고 이상 부력은 전체 채비의
무게가 높아 어신 전달면에서 예민함이 떨아지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채비를 구성 및 찌맞춤시 순서는
1. 도래와 바늘을 제외한 모든 부속물을 연결한다.
2. 찌맞춤(1차) : 현장에서 채비를 투척하여 찌몸통 상단부분(보통 금색으로 되어 있슴)이 수면에
일치되도록 편납을 감아(+/-) 준다. 편납홀더가 2개이므로 아래쪽 홀더에 모두 감아서 맞춘다음
이것을 다시 풀어 1/2로 나눠 위 아래 홀더에 균일하게 되감아 준다.
3. 1차 찌맞춤이 끝났다면 이젠 수심을 측정해야 합니다. 제일 중요한 부분이죠..
원줄 맨끝에 마지막 소품 맨도래(해동 8호)를 연결한 후 몸통에 3mm 편납을 감아 투척하여 수면위에
찌톱 두목이 노출되도록 수심을 맞춥니다. 실제 낚시시 찌톱 두목을 내어놓고 합니다.
3. 정확한 수심 측정까지 완료되었다면 2차 정밀 찌맞춤을 하기 위해 도래에 수심측정용 편납을 풀고
찌멈춤고무 아래쪽 2개를 도래 방향으로 10cm 내리고(위쪽 2개는 측정된 수심임으로 고정) 투척합니다.
찌가 직립하여 수면으로 내려가 주간캐미 끝 부분이 살짝 수면 밖으로 노출 될 것입니다. 위, 아래 2개의
홀더에 감긴 편납을 찌톱 한목이 수면에 일치되도록 머리카락 정도로 잘라내어 다시 투척 합니다.
이때 찌톱이 아주 천천히(일명 슬로 비디오) 내려가 찌톱 한목에 수면에 일치 될 때까지 위 아래 편납을
번갈아 가며 잘라냅니다. 찌가 아주 천천히 내려가니 투척 후 최소한 2분 정도는 지켜봐야 합니다.
4. 정밀 찌맞춤까지 완료되었다면 아래로 10cm 내린 2개의 찌멈춤 고무를 원위치로 올립니다. 위 아래 2개씩
의 멈춤고무 간격은 1cm를 유지 합니다. 이제 바늘을 달고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낚시시 찌올림이 빠르면
구멍봉돌을 10cm씩 아래로 내려서 하며 또 부로와로 인한 대류 현상이 있을때는 구멍봉돌의 위치를 도래위
10cm에 놓고 하시면 됩니다.
※ 위의 모든 채비가 이상없이 맞쳐졌구 입질이 들어 온다면 10중 7~8 정도는 찌몸통까지 올라오는 멋진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위에 내용은 채비도에 적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들을 기술한 내용이며, 모든 부분이 정확하게 완료되었다 할
시라도 붕어가 미끼를 물어주어야 찌가 상승한다는 기본적인 상식을 잊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초록님 안녕하세요.
이체비 제가요즘 테스트중인데요 효과는 있는거 같아요
그련데 문제점이 발견되었어요 전 찌맞춤시에 분납 유동홀더3개를 모두 밑으로 내리고 조정을 합니다 .
현장에서 입질패턴에따라 홀더의 위치를 오르내리며 변화를 줍니다. 그때마다 찌 한목이 잠길때도 있고 떠오를때도 있습니다.
이젠 어느정도 완성 단계에 접어 들었습니다.
1. 1차 수심측정: 현장에 가서 찌맞추기전에 일단 수심을 알아본다
- 찌만 달고 원줄 끝에 찌부력보다 많이 나가는 봉돌을 달고 투척을 하여 캐미꽂지 상단에 맞춘다
2. 무거운봉돌을 제거하고 찌를 20cm정도 내린다
3. 원줄에 편납홀더2개,황동추를 단다
- 편납홀더와 황동추의 위치: 2개의 편납홀더는 찌다리의 찌멈춤고무와 원줄끝과의 1/2지점에 놓고
황도추는 편납홀더 밑으로 10cm정도의 위치에 놓는다
4. 1차 찌맞춤
- 황동추와 편납홀더 2개를 달고 찌맞춤을 찌탑과 찌몸통(찌몸통이 살짝보이도록) 연결부분에 맞춘다
소유시간은 2분정도 지켜보고 정확하게 맞춘다
이때 편납은 편납홀더 2개중 1개에만 편납을 감고 찌몸통까지 찌맞춤을 한다음 편납을 풀어서
편납홀더 2개에 각각 똑같이 나누어 다시 감아 준다
5. 2차 수심측정
- 찌몸통에 찌맞춤을 했으면 맨도래8호를 달고 투척을 했을때 캐미꽂이만 보이면 되는다
이보다 더 내려가 캐미가 잠기면 캐미꽂이가 보일수 있는 맨도래를 찾아야 한다
- 적당한 맨도래라고 했을때 맨도래에 편납을 조금감아서 투척하면 캐미상단만이 살짝 보이거나
캐미가 잠기게 될것이다
- 맨도래에 편납을 감은 상태에서 투척하여 찌의 2목이 보일정도로 마춘다(실제낚시하는 위치임)
6. 2차 찌맞춤
- 맨도래에 편납을 감아 찌 2목이 보이게 맞추었다면 다시 맨도래에 편납을 제거하고 찌를 10cm를
내리는데 이때 찌멈춤고무 4개중 상단에 1개는 움직이지 않는다(수심측정고무역활)
맨도래에 편납을 제거후 찌를 10cm내리고 투척했을때 역시 2차 수심측정처럼 캐미꽂이만 보임
- 편납홀더의 편납을 가감하여 찌1목이 보일정도로 마춘다 이때 2분정도의 시간을 두고 관촬하여
확인을 한다
- 찌1목에 맞추었다면 찌를 10cm다시 올려서 투척을 하면 2목이 나올것이다
이체비 제가요즘 테스트중인데요 효과는 있는거 같아요
그련데 문제점이 발견되었어요 전 찌맞춤시에 분납 유동홀더3개를 모두 밑으로 내리고 조정을 합니다 .
현장에서 입질패턴에따라 홀더의 위치를 오르내리며 변화를 줍니다. 그때마다 찌 한목이 잠길때도 있고 떠오를때도 있습니다.
이젠 어느정도 완성 단계에 접어 들었습니다.
저역시 분납채비를 이용해 오다 이제 홀터를 사용하려하는데요
찌에서 부터 1번째 2번째 홀터는 어느정도 위치에 자리해야하나요?
아니면 바늘을 기준으로 잡아야 하나요?
아무래도 홀터를 올리면 찌가 좀 내려가고 무겁게 느껴집니다
내리면 반대로 올라가고요
궁금합니다 그리고 사진 좀 크게 보여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ㅠㅠ(어떻게던 보려고 노력했지만 볼수가 없어욤)
하우스에서도 올림으로 승부를 봅시다...
붕애들 다 주거써~~~
전 편납을 찌다리에 감아서 찌맞춤을 했던기억이...(몸통까정)
그리고 편납을 감을수있는 도래와 바늘을(외바늘 적은호수) 달아서 캐미고무 밑에까정..(아주 느리게 내려가다가 정지해야함)
찌는 반다루마형의 70~80cm정도 사용하고 미끼는 어분을 충분히 불려서 작고 찰지게...
그리고 자주 밥질을 하고.....
고기가 집어된다음엔 자주 할수밖에 없더군요...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대류나 브로어의 영향으로 편납홀더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낚시하는건 좋은방법인것같군요..
단 하우스에서 일명 '팅' 일땐 채비의 엉킴내지는 찌의 손상이 생길우려가..(편납홀더가 찌를 때리더군요)
미니캐미 두개가 벌떡 일어나서 아주 천천히 내려가고
입질하면 찌몸통 다올라오는거 보면 환상이죠..
건너편 조사님들 꽝칩니다.. 남의찌 쳐다보다가 자기찌 못보죠.. ㅎㅎㅎ
예민한 입질에 찌가 쭉~~올라 옵니다...
개인적으로 원봉돌 좋아하지만...입질 예민한 겨울..
하우스 낚시 할때만 이 채비를 씁니다...
일단 손맛은 봐야지..입어료가 아깝지 않죠...
2. 편납홀더2중 아래것에 편납을 감은후 편납을 가감하여 찌몸통상단부분에
찌맞춤한후 편납을 분리 똑같이 나누어 2개의 홀더에 감아준다
3. 수심측정은 맨도래을 달고 맨도래에 3mm정도의 편납을 감아 투척하여
수면위에 찌톱 2목이 나오도록 수심측정한다
**여기까지의 의문점
- 홀더에 편납을 감아 찌몸통상단부분에 찌맘춤시 홀더의 위치는?
4. 수심측정후 2차 찌맞춤시 맨도래의 편납을 풀고 찌멈춤고무 아래쪽2개를
도래방향으로 내린다 하셨는데
**여기에서 의문점
- 그림에서 볼때 어느 멈춤고무를 내리는것인지?
- 제가볼때는 찌쪽에서 가까운 첫번째홀더의 위쪽의 두개의 멈춤고무중
아래것을 내려야 될듯하는데 맞나요?
그리고 홀더의 납을 가감하여 1목에 맞춘다고 하셨는데 이때의 홀더의 위치는
그림처럼 2/1정도의 중간 위치에 놓고 맞추는것인지 아니면 아래로 내려서
찌맞춤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1. 준비물
- 3칸낚시대, 찌(조개봉돌3호~4호), 원줄(모노1.2호), 편납홀더2개, 황동추(1호)1개, 찌멈춤고무, 맨도래8호
** 해동 맨도래8호 확인해보니 좀 크던데? 로링맨도래8호 해동보다는 작은데 혹시 로링맨도래가 아닐까?
1. 1차 수심측정: 현장에 가서 찌맞추기전에 일단 수심을 알아본다
- 찌만 달고 원줄 끝에 찌부력보다 많이 나가는 봉돌을 달고 투척을 하여 캐미꽂지 상단에 맞춘다
2. 무거운봉돌을 제거하고 찌를 20cm정도 내린다
3. 원줄에 편납홀더2개,황동추를 단다
- 편납홀더와 황동추의 위치: 2개의 편납홀더는 찌다리의 찌멈춤고무와 원줄끝과의 1/2지점에 놓고
황도추는 편납홀더 밑으로 10cm정도의 위치에 놓는다
4. 1차 찌맞춤
- 황동추와 편납홀더 2개를 달고 찌맞춤을 찌탑과 찌몸통(찌몸통이 살짝보이도록) 연결부분에 맞춘다
소유시간은 2분정도 지켜보고 정확하게 맞춘다
이때 편납은 편납홀더 2개중 1개에만 편납을 감고 찌몸통까지 찌맞춤을 한다음 편납을 풀어서
편납홀더 2개에 각각 똑같이 나누어 다시 감아 준다
5. 2차 수심측정
- 찌몸통에 찌맞춤을 했으면 맨도래8호를 달고 투척을 했을때 캐미꽂이만 보이면 되는다
이보다 더 내려가 캐미가 잠기면 캐미꽂이가 보일수 있는 맨도래를 찾아야 한다
- 적당한 맨도래라고 했을때 맨도래에 편납을 조금감아서 투척하면 캐미상단만이 살짝 보이거나
캐미가 잠기게 될것이다
- 맨도래에 편납을 감은 상태에서 투척하여 찌의 2목이 보일정도로 마춘다(실제낚시하는 위치임)
6. 2차 찌맞춤
- 맨도래에 편납을 감아 찌 2목이 보이게 맞추었다면 다시 맨도래에 편납을 제거하고 찌를 10cm를
내리는데 이때 찌멈춤고무 4개중 상단에 1개는 움직이지 않는다(수심측정고무역활)
맨도래에 편납을 제거후 찌를 10cm내리고 투척했을때 역시 2차 수심측정처럼 캐미꽂이만 보임
- 편납홀더의 편납을 가감하여 찌1목이 보일정도로 마춘다 이때 2분정도의 시간을 두고 관촬하여
확인을 한다
- 찌1목에 맞추었다면 찌를 10cm다시 올려서 투척을 하면 2목이 나올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