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하우스 얼레벌레 채비

선배님들 반갑습니다. 왕초보 조사 인사드려요 (__) 매일 매일 월척에서 선배님들께 많은것들을 배워가 정말 감사하게 생각하고있습니다. 실례지만 질문 몇가지만 더 하겠습니다. 쉬는날이면 어김없이 집근처 하우스로 달려가곤합니다. 낚시를 군X사이트에서 배우다보니 주로 쓰는 채비는 스위벨채비였는데 요즘같이 저수온기에 입질이 미약하다보니 조과가 너무 안나오는겁니다. 거금들여 하우스전용찌까지 갖추고 했는데 옆분은 양바늘에 붕어가 두마리씩 걸려들어올때 저는입질하나못받고 가끔씩 눈먼고기한마리씩 잡다보니깐 눈물나더라구요 ㅠㅠ 그래서 물어보니 요즘 유행하는 얼레벌레 채비라고 말해주시네요.. 실례지만 조그만 뇌물?(캔커피)을 드리고 채비와 찌맞춤법을 배웠는데 이해가지 않는게 몇가지있어서 선배님들께 도움을 구하고자 합니다. 먼저 채비는 모노줄로 원줄은 0.8~0.6호에서 목줄은 0.4~0.3호줄을 사용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저같은 초보는 1호줄에 0.8호줄을 사용하는것이 좋다구 하시네요.. 그리고 찌스토퍼2개 찌 찌스토퍼3개 유동편납홀더 찌스토퍼 쾌속전환도래에 고무오링에 목줄길이를 30/25 단차를 주셔셔 꽤길게 사용하고 계시더라구요. 제가 알기로는 위의 채비가 내림에서 쓰이는 채비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이 채비에 바닥낚시대와 올림찌를 사용하더라구요 여기서 먼저 질문할것이 유동편납 홀더를 사용하는 이유가 채비의 입수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하는것이 맞는지? 편납을 초릿대부분으로 올리면 천천히 입수되면서 떠있는고기나 중층에 있는 고기들을 유인하는 역할을 하고 반대로 편납을 바늘쪽으로 내리면 입수를 빠르게하여 고기를 밑으로 유인하는 역할을 하는게 맞는지 궁금하네요. 그밖에도 다른 용도가있는지.. 제짧은 생각으로는 이해가 잘안갑니다. ㅜㅜ 두번째로 찌맞춤 보통 인터넷검색에서 얼레벌레 찌맞춤을 찾아보니 빈바늘로 캐미꼿이 하단에 반목이나 한목에 찌를맞춘후 수심을 찾은후 3목에 맞추어 낚시를 하면 짧은 바늘은 팽팽하게 바닥에 닿아있고 긴바늘은 슬로프형식으로 누워있다고 나와있더라구요 그런데 제가 현장에서 노조사님께 배운 찌맞춤은 역시 빈바늘로 캐미꼿이 5초딸깍으로 맞춘후 수심측정후 캐미만 내놓고 낚시를 하면서 캐미가 조금만 움직이면 챔질하는 방식으로 배웠습니다(이때 캐미는 아가미3미리 캐미를 사용했구요 캐미가 조금이라도 움직임이 있으면 챔질하는 형식으로 하니깐 조과는 좋았습니다. 대신 몸걸이가 많더라구요 붕어들 미안해 ㅜㅜ) 제가드는 의문점이 위상태로 찌맞춤을 하고 캐미만 내놓고하면 물속에서의 채비상태가 어떤지 궁금하더라구요 얼레벌레라는게 봉돌(편납)은 떠있고 바늘만 바닥에 닿아있는상태에서 찌탑의 길이르 슬로프를 조절하여 사용한다고 알고있는데 위방법처럼 찌를맞춘후 캐미만 내놓고 사용한다면 채비상태나 어떤장단점들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얼레벌레 이것도아닌 저것도 아닌 낚시라고 하는데 제대로 알고 응용할줄안다면 저수온기에 손맛보기에는 좋은 채비라고 생각되네요 제대로 배우고싶습니다. 선배님들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아는 쪼금

1번은 전층 낚시 응용하신것 같구요.

내림 체비에 일반 떡밥 저부력 찌로 내림 낚시하시는것 같습니다.


더 자세한건 고수님께 패~~~~스~!
얼레벌레채비??
저도 하우스에서 조사님들이 하는 이야기 귀동냥으로 들어보고 인터넷 찾아보고 했는데
아직 까지 정확히 정의된 정석은 없는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내용은 올림낚시 채비로 내림낚시 하는것 으로 알고 있는데,
조사님들 보면 다양한것 같아요!!

올림낚시대에 올림찌로 내림하는형태 올림낚시대에 내림찌로 하는형태등등...
조금 지나다 보면 얼레벌레 채비도 정리가 되겠죠!!

그럼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 질문에 답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유동편납 홀더 사용하는 내용인데요
질문자게서 질문하신 내용대로 맞습니다.
보통 붕어낚시라는게 올림이든 내림이든 채비가 안착되고 부터 낚시가 시작 되는데요.
저수온기 12월~3월달 까지는 채비가 바닥에 안착되면 붕어들의 흥미가 떨어져서 낚시가 잘 않됩니다.
저수온기시 수심에 따라 온도 차이가 바닥층은=4도 중층은=5도 표층은=6도로 고기가 짜꾸 위로 뜰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동 편납을 초리대 쪽으로 올려서 중층에서 미끼가 자유낚하 할때 노리기 위한 방법입니다.
바다낚시로 이야기 하면 전유동 낚시방법의 붕어낚시 도입 이라고 해야 할까요!! (똑같지는 않지만 원리는 비슷함)

두번째는 노조사님의 방법대로하면 봉돌은 떠있고 바늘은 바닥에 닿아 있는 형태일 겁니다.
그대신 수심을 정확히 찾아서 슬로프를 주어야 합니다.
이방법은 직접 하신다고 하니 원리만 이해하시면 될듯 합니다.
원래 방법은 목을 2~3목 내놓고 하는 것이 맞는것 같은데,
노조사님게서 그런 채비를 하는것은 올림낚시 하는 사람은 내림낚시 하는 사람이 옆에 오는것을 싫어 합니다.
그래서 미안하셔서 그런게 아닌가 싶네요!!
제가 아는 찌맞춤법은 바늘 안달고 2목에 맞춰서 수심측정고무를 짧은 바늘에 달아서 수심을 정확 하게 찾은후 3목에이나 4목에 낚시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저도 목줄은 모노06정도로 단차 30에25정도 주고 사용 합니다... 그리고 홀더는 사용 안하고 완충고무를 걸수있는 고정형 편납감게를 봉돌로 사용 하고 있습니다...다음에서 말씀하시 찌맞춤법인 바늘안달고 케미꽂이 5초딸각을로 맞춘후 실제 낚시시 케미만 내놓고 사용한다 하셨는데 그방법은 영점찌맞춤법 아닌가요..그러면 긴바늘은 슬로프 져있고 짧은 바늘은 바닦에 살짝 닿아 있는거 아닌가요??? 다음에 그방법으로도 한번 해봐야 되겠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