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조 전날 수조찌맞춤 0점으로 맞춘후, 현장가서 다시 0점 찌맞춤 한적이 단한번도 없거든요; 조사님들 현장가서 다시 0점 맞추시는지 궁금해요.
목록 이전 다음 현장 찌맞춤 중요한가요? 흐르는저수지처럼아이디로 검색12-06-26Hit : 7706 본문+댓글추천 : 0댓글 26 공유 인쇄 신고 네이버 밴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https://www.wolchuck.co.kr/월척지식/전통바닥낚시/현장-찌맞춤-중요한가요 URL 복사 출조 전날 수조찌맞춤 0점으로 맞춘후, 현장가서 다시 0점 찌맞춤 한적이 단한번도 없거든요; 조사님들 현장가서 다시 0점 맞추시는지 궁금해요. 추천 0 다윤아빠아이디로 검색 12-06-26 12:07 현장찌맞춤이 필수다 아니다. 아직까지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습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추천 0 신고 현장찌맞춤이 필수다 아니다. 아직까지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습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잠자는봄아이디로 검색 12-06-26 12:25 확인은 해봅니다...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추천 0 신고 확인은 해봅니다...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오로지붕어만아이디로 검색 12-06-26 12:33 노지에서라면 그냥 하고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추천 0 신고 노지에서라면 그냥 하고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물돼지조사아이디로 검색 12-06-26 12:54 저는 카본줄 쓰지만 오로지붕어만님과 마찬가지로 노지에서는 그냥하고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추천 0 신고 저는 카본줄 쓰지만 오로지붕어만님과 마찬가지로 노지에서는 그냥하고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새벽찌아이디로 검색 12-06-26 13:53 '0점'의 기준이 조사에 따라 모호해서 ......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추천 0 신고 '0점'의 기준이 조사에 따라 모호해서 ......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개또이아이디로 검색 12-06-26 15:28 모노줄사용시는 수조맞춤이 현장맞춤보다 더욱정확합니다. 현장의 수온, 수압관계로 현장맞춤해야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수조맞춤이나 현장맞춤이나 아주아주미세영향은 있으나 우려할만큼에 영향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시하셔도됩니다. 제의견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분은 1년동안 영점맞춤상태(찌톱 한마디맞춤상태)로 수조에서 여름과 겨울에 찌맞춤에 변화가 생기나 실험해보시면 답이나옵니다.문제는 수심이 3미터이상 깊어질경우인데 물속 조류로인하여 수조맞춤시 봉돌안착이 않될수있으니 오링 중자하나 추가하시면 안정적인 봉돌안착에 도움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추천 0 신고 모노줄사용시는 수조맞춤이 현장맞춤보다 더욱정확합니다. 현장의 수온, 수압관계로 현장맞춤해야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수조맞춤이나 현장맞춤이나 아주아주미세영향은 있으나 우려할만큼에 영향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시하셔도됩니다. 제의견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분은 1년동안 영점맞춤상태(찌톱 한마디맞춤상태)로 수조에서 여름과 겨울에 찌맞춤에 변화가 생기나 실험해보시면 답이나옵니다.문제는 수심이 3미터이상 깊어질경우인데 물속 조류로인하여 수조맞춤시 봉돌안착이 않될수있으니 오링 중자하나 추가하시면 안정적인 봉돌안착에 도움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공주의남자아이디로 검색 12-06-26 15:57 집이 몇층 인가요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추천 0 신고 집이 몇층 인가요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엉터리꾼아이디로 검색 12-06-26 20:37 될 수 있으면, 현장에서 봉돌만 달고 천천히 잠기게 찌맞춤을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추천 0 신고 될 수 있으면, 현장에서 봉돌만 달고 천천히 잠기게 찌맞춤을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찌르가즘이아이디로 검색 12-06-26 21:44 전 그냥 무저건 현장에서 마처욤 추천 0 신고 전 그냥 무저건 현장에서 마처욤 꼬앙아이디로 검색 12-06-26 22:17 수조통에서 맞춘것과 현장 찌 맞춤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추천 0 신고 수조통에서 맞춘것과 현장 찌 맞춤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꼬치큰스님아이디로 검색 12-06-26 22:43 수조통이 집에 있지만 사용을 안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추천 0 신고 수조통이 집에 있지만 사용을 안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환상적인찌올림아이디로 검색 12-06-26 23:20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추천 0 신고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붕어랑지기아이디로 검색 12-06-27 02:24 수조통과 현장 찌맞춤의 차이가 큰 것을 알고난 후부터는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추천 0 신고 수조통과 현장 찌맞춤의 차이가 큰 것을 알고난 후부터는 무조건 현장 찌맞춤 합니다.^^ 하얀강아이디로 검색 12-06-27 03:05 현장 맞춤 합니다. 추천 0 신고 현장 맞춤 합니다. 흐르는저수지처럼아이디로 검색 12-06-27 10:53 그냥 현장 찌맞춤을 해봐야 할것같네요. 의견도 의견이시지만....제가 여적껏 안했으니 한번 해봐야할듯 하네요. 아무쪼록 조사님들 정성깃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추천 0 신고 그냥 현장 찌맞춤을 해봐야 할것같네요. 의견도 의견이시지만....제가 여적껏 안했으니 한번 해봐야할듯 하네요. 아무쪼록 조사님들 정성깃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32쌍포아이디로 검색 12-06-28 09:44 찌 맞춤은 자신이 경험해보고 판단해서 쓰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추천 0 신고 찌 맞춤은 자신이 경험해보고 판단해서 쓰는게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찌맞춤십년째아이디로 검색 12-06-28 10:09 제 경우는 현장찌맞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추천 1 신고 제 경우는 현장찌맞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안개속낚시아이디로 검색 12-06-28 12:23 저는 현장에 가면 대 칸수 자리로 던져서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추천 0 신고 저는 현장에 가면 대 칸수 자리로 던져서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키큰붕어아이디로 검색 12-06-28 12:40 현장과 집수조는 완전히 다르다. 라고 생각하는 1인중 한 사람 입니다 추천 0 신고 현장과 집수조는 완전히 다르다. 라고 생각하는 1인중 한 사람 입니다 스고이아이디로 검색 12-06-28 12:51 가볍고예민할채비일수록 현장맞춤이라고 생각되네요 추천 0 신고 가볍고예민할채비일수록 현장맞춤이라고 생각되네요 금빛바늘아이디로 검색 12-06-29 13:05 현장에서 쇠링 가감으로 다시 맞춥니다..1분도 안걸립니다. 추천 0 신고 현장에서 쇠링 가감으로 다시 맞춥니다..1분도 안걸립니다. 시즌2™아이디로 검색 12-06-30 09:29 종이컵 뒷처리 만한 수조통은 현장하고 차이가 나는데 대형 수조통은 별 차이 없이 사용합니다. 추천 0 신고 종이컵 뒷처리 만한 수조통은 현장하고 차이가 나는데 대형 수조통은 별 차이 없이 사용합니다. 잉철아이디로 검색 12-06-30 16:04 카본줄 사용중이구요, 예민한 채비일경우 합니다만,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추천 0 신고 카본줄 사용중이구요, 예민한 채비일경우 합니다만,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황씨아자씨아이디로 검색 12-07-01 15:51 현장 찌 맞춤~~~~이런게 일거리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추천 0 신고 현장 찌 맞춤~~~~이런게 일거리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시즌2™아이디로 검색 12-07-02 00:04 그런데 대물 낚시 채비에 풍덩하고 들어가는 찌를 세끼 손가락 반도막 만한 미끼인 참붕어 만한 붕어가 찌를 쭉쭉 올리는 것 보셨지요?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 추천 0 신고 그런데 대물 낚시 채비에 풍덩하고 들어가는 찌를 세끼 손가락 반도막 만한 미끼인 참붕어 만한 붕어가 찌를 쭉쭉 올리는 것 보셨지요?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 당첨아이디로 검색 12-07-02 16:40 찌 맞춤의 근원은 정석이 무엇인지 아직도 미궁입니다. 추천 0 신고 찌 맞춤의 근원은 정석이 무엇인지 아직도 미궁입니다. 목록 이전 다음 하단에 목록보기
다윤아빠아이디로 검색 12-06-26 12:07 현장찌맞춤이 필수다 아니다. 아직까지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습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잠자는봄아이디로 검색 12-06-26 12:25 확인은 해봅니다...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오로지붕어만아이디로 검색 12-06-26 12:33 노지에서라면 그냥 하고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물돼지조사아이디로 검색 12-06-26 12:54 저는 카본줄 쓰지만 오로지붕어만님과 마찬가지로 노지에서는 그냥하고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새벽찌아이디로 검색 12-06-26 13:53 '0점'의 기준이 조사에 따라 모호해서 ......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개또이아이디로 검색 12-06-26 15:28 모노줄사용시는 수조맞춤이 현장맞춤보다 더욱정확합니다. 현장의 수온, 수압관계로 현장맞춤해야한다는 이론이 있는데, 수조맞춤이나 현장맞춤이나 아주아주미세영향은 있으나 우려할만큼에 영향은 없습니다. 한마디로 무시하셔도됩니다. 제의견이 틀리다고 생각하시는분은 1년동안 영점맞춤상태(찌톱 한마디맞춤상태)로 수조에서 여름과 겨울에 찌맞춤에 변화가 생기나 실험해보시면 답이나옵니다.문제는 수심이 3미터이상 깊어질경우인데 물속 조류로인하여 수조맞춤시 봉돌안착이 않될수있으니 오링 중자하나 추가하시면 안정적인 봉돌안착에 도움됩니다.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공주의남자아이디로 검색 12-06-26 15:57 집이 몇층 인가요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꼬앙아이디로 검색 12-06-26 22:17 수조통에서 맞춘것과 현장 찌 맞춤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많이요)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꼬치큰스님아이디로 검색 12-06-26 22:43 수조통이 집에 있지만 사용을 안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흐르는저수지처럼아이디로 검색 12-06-27 10:53 그냥 현장 찌맞춤을 해봐야 할것같네요. 의견도 의견이시지만....제가 여적껏 안했으니 한번 해봐야할듯 하네요. 아무쪼록 조사님들 정성깃든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찌맞춤십년째아이디로 검색 12-06-28 10:09 제 경우는 현장찌맞춤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잉철아이디로 검색 12-06-30 16:04 카본줄 사용중이구요, 예민한 채비일경우 합니다만,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시즌2™아이디로 검색 12-07-02 00:04 그런데 대물 낚시 채비에 풍덩하고 들어가는 찌를 세끼 손가락 반도막 만한 미끼인 참붕어 만한 붕어가 찌를 쭉쭉 올리는 것 보셨지요?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
그냥 자신에게 맞는 맞춤으로 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전, 찌맞춤은 200kg드럼통에 물받아놓고, 찌맞춤한다음에 현장에서는 안합니다.ㅎ
그런데 제가 모노줄을 사용해서 그런지 수조와 차이가 있던적은 없더군요..
원줄 카본일경우 필히 다시 맞춤니다.
수조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수심이 2m가 넘어가면 풍덩채비가 되어버려서...
양어장에선 현장 맞춤 합니다.
노지에서도 입질이 아주 예민하다 싶으면 다시 확인 해서 조정 하기도 합니다.
손맛터는 잘 안가지만 가게 될 경우에는 반드시 현장 맞춤합니다....
저는 현장찌맞춤만 합니다.
외대만 즐기다보니 시간도 많이 들지 않고,
떡밥 숙성하는 시간도 겸하고, 바닥 상황도 체크할 겸
느긋하게 합니다.
생각보다는 번거롭지 않습니다.
시원한 그늘자리에서 대구리하세요.^^*
현장찌맞춤은 수조맞춤보단 정확성이 떨어지고, 빨리낚시하고싶은마음이 간절한데 찌맞춤하랴, 포인트 찾으랴 할일이 많은데 찌맞춤할시간 절약하시구요,여유롭게 집에서 수조맞춤해서 가세요.
단지 카본줄사용시는 뒷줄무게로 인하여 현장맞춤해야 합니다.
아파트거나 5 층 이상이면
약간 차이가 날 수 있고요
그리고 현장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집에서 0점을 맞추고 현장에서 다시 확인 합니다
만일 수조통에서 맞췄다면, 반드시 현장에서 다시 체크합니다.
전 집에서 캐미 끼우고 수평 맞춤만 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헌데!! 회사 후배가 무조건 현장 맞춤을 하라고 하여 혹시나 하는 마음에
바늘을 빼고 캐미를 꼽고 수조통과 동일한 조건으로 test 를 해본결과 정말
놀랄 정도로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그 후론 수조통에서 대략 맞춰 놓고..)
항상 현장 맞춤으로 재 확인후 재 수정을 합니다..
부력은 절대적으로 현장에서 조절합니다
투박한 생미끼 낚시에서는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예민한 옥내림이나 콩알떡밥
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해야할때는 원줄의
잠수여부에 따라 부력이 틀려집니다
수조통에서 원줄을 1 미터 넣을때 부력과
5미터 넣을때 부력은 틀립니다
따라서 옥내림이나 떡밥낚시에는 현장
찌맞춤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넘 맞춤법 따라 하다보면 끝이 안나는게 찌맞춤입니다
수조에서 바늘 빼고 캐미반 내놓게 맞추고 가도 현장가면 거의 수평됩니다.
수심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노지가면 현장맞춤 꼭 하는 편이구요.
관리형가면 최초 한번하고 담에 가면 똑같은 찌(봉돌) 사용 그냥 합니다.
일단은 한번은 봅니다
그러고 완전 편성을 하고 시작을 합니다
안출하세요
생각하는 1인중 한 사람 입니다
요즘엔 표준맞춤이나 약간 가벼운 정도로 하기에 맞춤보다 가볍지만 않으면 그냥 씁니다.
어제 빗속 노지에서 스위벨채비를 좀 가볍게 했더니,,,찌가 오르락 내리락 정신 없었습니다.
몇일전 원봉돌채비로는 2치 짜리도 천천히 잘 올리던 곳인데 말이죠.
걍~~~하면 좋을것 같고? 확인도 해보고 싶고?
하세요.....^0^
너무 신경 쓰지 마시고 둥둥 떠 다니게만 안해도 낚시는 됩니다...^^*